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91197156304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0-09-18
책 소개
목차
제1장 바이오헬스 기술과 특허
바이오헬스 시대의 도래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특허가 필요한 이유
우리는 왜 특허를 가지려고 하는가
지식재산 포트폴리오로의 활용
특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특허를 어디에 활용할 수 있을까
제2장 특허를 출원하기까지
특허, 이 정도는 알고 있자
바이오헬스 분야 발명의 성립성
출원 전 특허성 판단
출원 전 발명을 공개시킨 경우
출원 시기의 결정
등록받을 수 있을 정도의 실험데이터 수준
바이오마커와 특허
바이오 특허는 우선권 주장을 필요로 한다
공동 발명자 결정
특허출원 준비 과정
특허 명세서를 검토하는 방법
특허 제목은 어떻게 정해야 할까
어떤 변리사에게 의뢰해야 할까
제3장 출원 후속 조치
심사착수 시기의 조정
특허 등록을 위한 심사과정
특허 등록결정을 받기 위한 전략
후속 특허 출원 전략
특허 포트폴리오 확보 전략
해외 특허출원 국가 결정
등록 특허 유지 관리
제4장 특허의 활용
바이오헬스 기술의 가치 증대 활동
소비 주체를 고려한 기술 개발
오픈이노베이션 시대의 기술마케팅
특허권의 효력
특허의 활용을 위한 타인의 특허 점검 방법
의약품에 관한 특허 이외의 독점권
허가와 특허의 관계
허가o특허 연계 제도
제5장 기술 창업과 특허
창업기업에서 특허가 가지는 의미
대학 기술 창업 시의 직무발명 관련 이슈
특허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기술 특례 상장과 특허
경쟁기업 특허 회피 전략 점검
특허 관리 전략
사업 개발 시의 특허 정보 활용
제6장 지식재산 계약 실무
계약서에 등장하는 특허 관련 개념들
지식재산 계약서 검토 방법
공동연구개발계약서
공동 특허 출원 계약서
기술이전 계약서
비밀유지계약서
물질이전계약서
<알아두면 쓸모있는 특허지식>
특허 검색의 신속성과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
공동발명자가 몰래 특허 출원을 한다면
소프트웨어 개발 시 확보할 수 있는 지식재산권
등록 가능성과 권리 범위
출원 전 공개된 발명은 해외 출원을 할 수 있을까?
유전자 가위 기술과 리서치 툴 특허
미국 특허 현황 점검을 위한 존속기간 만료일 확인
특허 이외의 지식재산권
<글로벌 특허전략 수립을 위한 주요 국가 가이드>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대만
저자소개
책속에서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유망한 기술을 개발하였다면 그 기술이 세상의 빛을 보게 하기 위해 후속 연구와 임상시험, 허가 과정 등의 어렵고도 긴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여기에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투입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유망한 기술이라면 계속하여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외부의 투자를 받거나, 자본력을 갖춘 기업에 기술이전을 해야 한다. 투자를 받거나 기술을 이전하는 과정에서 특허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요소이다. 가치 높은 기술일수록 투자자나 기술 매수 희망자는 특허 포트폴리오가 얼마나 잘 만들어졌는지, 특허 권리 범위나 존속기간은 현재 어떠한 상황인지 등 특허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먼저 하게 된다. 이처럼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특허는 매우 중요하고 그 역할과 위상이 높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