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97287237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11-30
책 소개
목차
■ 제1편 테니스 에센스
● 1장 테니스의 기본 --- 14page
◎ 테니스의 역사
◎ 테니스의 일반 용어
◎ 테니스 코트의 규격과 명칭
◎ 테니스의 경기규칙
◎ 테니스 용품
◎ 테니스 매너
◎ 아마추어와 프로테니스
● 2장 테니스의 그립과 풋워크 ---86page
◎ 테니스의 그립
◎ 테니스의 풋워크
● 3장 테니스 동작 분석 --- 158page
◎ 서브
◎ 서비스리턴
◎ 톱스핀 드라이브
◎ 슬라이스 드라이브
◎ 발리
◎ 스매시
◎ 로브
◎ 쇼트
● 4장 몸의 부상 예방과 치료 --- 212page
◎ 부상을 예방하는 방법
◎ 부상 치료를 위한 재활요법
◎ 테니스엘보의 회복 프로세스
● 5장 테니스 게임노하우 --- 232page
◎ 사전에 숙지할 게임노하우
◎ 단식게임의 노하우
→ 단식게임의 주요 전략과 전술
→ 실전게임에서의 전술들
→ 플레이 스타일과 상황별 주요 전술
◎ 단식게임 패턴 연습
◎ 복식게임 노하우
→ 복식게임의 전략과 전술
→ 네트대시를 할 수 있는 상황
→ 복식게임에서의 진형(포메이션)
→ 복식게임에서의 서브 앤 발리
→ 복식게임에서의 포치
◎ 단복식 모두에 적용되는 전술
→ 전술 적용을 위한 기본 능력
→ 전술 적용을 위한 유용한 팁
→ 확률 테니스(Percentage Tennis)
→ 두뇌플레이 전술
→ 샷의 전술
→ 상대방의 타구 방향 예측
◎ 그 밖에 유용한 게임 팁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존의 코칭법은 최적의 스텝과 몸동작을 인식함으로 인해서 결과적으로 임팩트 시점에서의 최적의 라켓 면의 상태를 만들어내는 일종의 귀납적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래서 목표지점으로 볼을 정확하게 치기 위해서는 우선은 스텝과 밸런스, 올바른 그립, 스윙 방법 등을 정확하게 수행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필자의 생각엔 기존의 코칭법으로는 어떻게 하면 볼을 정확하게 칠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고 본다. 왜냐면 목표지점으로 볼을 정교하게 치기 위해서는 스텝이나 스윙 방법보다는 사실상 임팩트 시점에서 볼을 어떻게 칠지를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테니스 자기암시법에서 제안하는 라켓 면상의 암시이미지는 그러한 근본적인 의문에 대한 해법을 찾는 과정에서 창안되었다. 암시이미지에는 임팩트 시점에서 라켓 면상의 어느 지점에 볼을 맞출 것인지, 볼을 맞춰서 어느 방향으로 볼을 굴릴 것인지, 그리고 볼과 부딪히는 라켓 면상의 접점을 어떻게 이미지화할 것인지에 대한 해법을 담고 있다. 그래서 암시이미지를 인식하게 되면 최적의 라켓 면을 먼저 인식함으로 인해서 결론적으로 최적의 몸동작을 자연스럽게 만들어내는 연역적 방식으로의 변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올바른 몸동작을 먼저 생각하는 기존의 귀납적 코칭 방식은 몸동작이 의식화되어 집중력이 분산되지만, 최적의 라켓 면을 먼저 생각하는 연역적 방식은 몸동작이 무의식화되어 보다 빨라지고 몸동작에 어떤 군더더기도 없어지게 된다.
라켓 면상의 암시이미지를 인식하면 샷에 대한 자신감과 안정감이 생겨서, 볼 컨트롤이 살아나게 되고, 또한, 게임 상황에 대한 융통성이 생기면서 결과적으로 경기의 패턴을 주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암시이미지를 분명히 인식할수록 파워, 안정성, 볼 컨트롤, 융통성(두뇌플레이) 등 모든 면에서 퍼포먼스가 향상된다.
테니스 라켓 면에 설정한 암시이미지의 ‘임팩트 모서리’에 볼을 맞춰서 치면, 라켓 면에 볼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수월해져서 샷의 파워와 컨트롤이 향상된다. ‘임팩트 모서리’는 사실 라켓 면의 정중앙이다.
라켓 면에 볼을 보다 예리하게 맞추고자 하는 의도에서 암시이미지 상에서 볼이 맞춰지는 부위를 ‘임팩트 모서리’라고 지칭한다.
또한 이러한 암시이미지를 인식해도 정신적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긴박하게 진행되는 플레이 상황에서도 암시이미지를 인식하는데 별로 어려움이 없으며 오히려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렇다면 남은 문제는 암시이미지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가이다. 필자는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지난 10년 동안 수백 번의 검증을 거쳐 결국 그 결론을 찾아낼 수 있었다. 이제부터 그 결론을 설명하고자 한다.
- 암시이미지 인식의 장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