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91197606397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3-07-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제주에 대하여
연구 배경/ 문제 제기/ 연구 목적/ 선행 연구/연구 방법 및 범위
주요 용어 정의
민간신앙/ 제주의 민간신앙/ 조상제사/ 당문화/ 쿰다문화/ 제주 지역사회/ 개신교
2장 제주 민간신앙의 이해
제주 민간신앙의 형성 배경
민간신앙의 정의/ 민간신앙의 형태와 유형/ 민간신앙의 형성과 보편적 개념/ 제주 민간신앙과 종교/ 제주 민간신앙과 문화
제주 민간신앙과 외래종교의 결합 및 문화 형태
산담/ 동자석/ 동회천 석불단/ 입춘굿놀이/ 김녕사굴의 큰 뱀을 토치한 판관 서련/ 집안을 지키는 신들의 이야기/ 집과 터
3장 제주인의 의식세계 분석
제주인의 기질적 특징
제주인의 삶의 특징
제주인의 정체성과 의식구조
4장 제주 사회문화의 특이성
제주의 민속문화적 특성
당문화 쿰다문화
제주의 향토적·역사적 특성
제주 사회구조의 이해/제주 여성의 특징과 역할/ 제주 가족문화의 특징
5장 제주 사회문화 관점에서 본 개신교와 천주교
제주 사회문화에 유입된 개신교와 천주교의 정착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의 선교 방안
제주 사회문화에 유입된 개신교와 천주교의 8 ·15해방 이후부터 2000년 이전까지의 선교 방안
제주 사회문화에 유입된 개신교와 천주교의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선교 방안
6장 제주 사회문화 관점에서 본 개신교 선교 방안
제주 사회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공존
제주 사회문화 변혁을 위한 개신교적 문화 공간 및 접근 방식 창출
제주 사회문화에 적합한 선교적 접근 방안
맺음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주 출신 목회자의 한 사람으로서 제주에 부합한 개신교적 선교의 재정립을 늘 강조해 왔습니다. 이는 과거로부터 이어져 만연한 개종주의 선교 전략과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뜻이며, 다소 편향성을 띨 수 있는 외부의 평가와 이해를 선교적 근거로 삼는 것이 아니라 제주와 제주인에 대한 통전적 이해와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접근이 선교의 밑거름이 되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고민 가운데 저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제주에 적합한 선교 방안을 찾아보고자 노력했습니다. ‘어떻게 제주의 본래 모습을 들여다볼 수 있을까? 또한 제주 사회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어 왔으며, 그 속에서 살아온 제주인의 참모습과 기질은 무엇인가? 그들의 역사적 아픔과 상처는 무엇이며 어떻게 다가갈 수 있을까?’ 이에 대한 질문과 고민을 통해 제주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 공감을 갖게 되었으며, 이것은 제주 사회문화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숙고와 함께 제주 개신교 선교 방향에 대한 깊은 성찰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미주장로회신학대학교 박사과정을 밟으면서 논문으로 연결 짓게 되었고, 많은 분들의 지지와 응원 덕분에 단행본으로까지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제주에 관한 포괄적 접근, 적절한 반응과 상호작용을 통해, 제주 사회문화의 관점에서 오늘날 적합한 개신교 선교 방향을 궁구하고 제주형 맞춤 선교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첫걸음입니다. … 제주 개신교가 지금의 환경과 상황을 극복하고 성장하는 데 자그마한 용기와 도전과 힘이라도 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머리말’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