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노벨상 0순위 137

노벨상 0순위 137

(아인슈타인도 파인만도 풀지 못한 마법의 수)

양동봉 (지은이)
생각의창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5,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노벨상 0순위 137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노벨상 0순위 137 (아인슈타인도 파인만도 풀지 못한 마법의 수)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97731181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3-11-20

책 소개

치의학을 전공한 치과 의사가 왜 물리학에 빠져들어 34년의 긴 세월 동안 연구에 매진했을까? 이 책의 저자를 34년 동안 물리학의 세계에 가둬둔 건 바로 숫자 137이다. 이 책에서 137이란 소위 ‘마법의 수’로서 모든 물리학 난제를 통칭한다.

목차

추천의 글_문명사적 전환을 예고하는 발견 • 4
프롤로그_누가 밤새 137의 비밀을 풀어 주었지? • 12

제1부 물리학이라는 세계를 만나다……기초 물리학
01 우연을 넘어선 여러 인연과의 만남 • 43
02 치과 의사가 왜 물리학에 빠져들었을까 • 60
03 34년 동안 마법의 상수를 파헤치다 • 64
04 하늘 끝까지의 높이를 재고 싶어 한 소년 • 86
05 오랫동안 믿고 있던 상식이 무너진다 Ⅰ • 106
06 오랫동안 믿고 있던 상식이 무너진다 Ⅱ • 112
07 아인슈타인도 파인만도 침묵했던 에너지의 정의 • 125
08 빛의 속도는 왜 일정한가 • 139
09 하나의 물리량에 하나의 숫자 붙이기 • 163
10 확률과 결정론의 조화, 버킹엄 머신 • 179
11 불가사의한 몬스터군의 물리적 해독 • 187

제2부 물리학 너머의 세계를 보다……응용 물리학
01 자연의 선택, ONLY ONE • 201
02 무한대와 무한소는 존재하는가 • 214
03 느낌만으로 풀 수 없는 오메가 문제 • 223
04 우주론의 제1 화두, 블랙홀 • 231
05 숨겨진 6차원과 중력자 • 234
06 세 개의 큰 질문 • 249
07 드디어 문샤인을 찾았다 • 278
08 중학생도 검증할 수 있는 양자 중력 • 282
09 운명처럼 찾아온 모든 것의 마지막 두 문제 • 294
10 영성은 어디에서 오는가 • 307
11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 316

제3부 수식의 세계를 완성하다……10개의 수식
수식 1 새로운 물리학의 출발 공준 • 327
수식 2 몬스터군의 물리적 해독 • 334
수식 3 쿼크에서 우주론까지 • 343
수식 4 최대·최소 블랙홀 질량과 최대 엔트로피 • 356
수식 5 K-방정식, 사랑 방정식 • 371
수식 6 중력자와 숨겨진 6차원 • 378
수식 7 최소 에너지양자, 궁극적 기본단위 • 391
수식 8 큰 수 가설 • 398
수식 9 문샤인 • 407
수식 10 허블 상수 구하기 • 413

에필로그_‘하나의 이치’를 실천하는 것 • 419
부록_그동안의 발자취를 담다 • 441
찾아보기 • 449

저자소개

양동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직 치과 의사로서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 특히 상대성 이론과 입자물리학 이론 실험 분야와의 통일적 접합接合을 위해 남모르는 노력을 34여 년 동안 경주해왔다. 처음부터 의도한 행위는 결코 아니었지만, 참으로 우연한 사건을 시발점으로 미치지〔狂〕 않으면 미칠〔到〕 수 없는 불가사의한 낯선 전문 영역에 전심전력으로 파고들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1999년에 들어서서 불과 6개월이란 아주 짧은 기간 동안 물리학의 거의 ‘모든 것’을 이루어 냈다. 지금껏 요원한 문제로 남아 있던 컴퓨터 언어 논리에 관한 형식 체계 및 수학·철학 등의 핵심 문제들의 해답이 마법의 상수 ‘137’과 함께 21세기를 목전에 두고 제 모습을 드러냈던 것이다. 이러한 열정은 어디서 유래한 것이며 왜 이런 사건이 일어났는가에 대해서는 스스로도 유감스럽지만 알지 못한다. 마법의 수 137과 우주 상수 람다(Λ) 간의 수식이 그간의 사정을 설명해줄 뿐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만큼 이 숫자 137은 세상의 모든 물리학자들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깊고 묘한 마력을 가진 ‘잘 알려진 수수께끼’다.


예를 들어 뉴턴이 말하는 중력은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고, 아인슈타인이 말하는 중력은 힘이 아니라 공간의 곡률曲率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서로 의견 차이가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