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전통 괴물사

한국 전통 괴물사

(첫 번째 괴물유산 답사기)

코몬 상상화샘 (지은이)
세모네모동그라미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전통 괴물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전통 괴물사 (첫 번째 괴물유산 답사기)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예술 통사/역사 속의 예술
· ISBN : 9791197925207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22-10-10

책 소개

오래전부터 우리 주변 가까이 숨어있던 전통 괴물들을 찾아 숨은 의미를 파악해야겠다는 생각이 도서의 시작이 되었다. 문화재 속 숨은 괴물을 찾아 오랜 시간 전국 지역 답사를 다녔고, 각 지역에 남아 있는 설화와 함께 전통 괴물의 발견 과정을 답사기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목차

제 1부 괴물이란 무엇일까?
보이지 않는 존재에 대한 불안과 공포 ˙ 19 / 전통 괴물의 분류_‘괴’와 ‘귀’ ˙ 22 / 우리 전통 괴물의 특징 ˙ 27 / 우리 역사 속 괴물의 시작 ˙ 32 / 웅녀 숭배와 곰에 대한 전설 ˙ 34 / 민족의 수호신 호랑이 ˙ 38 / 신화, 전설, 민담의 구분 ˙ 42 / 근대 민속학의 발전 과정 ˙ 44 / 거인 장길손_설화에 담긴 우리 땅의 면적 ˙ 49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_삼국을 바라보는 두 관점 ˙ 50 /『 산해경(山海經)』_동아시아 괴물의 뿌리 ˙ 52

제 2부 용(龍)
지배층의 대리인 ˙ 56 /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용의 형상 ˙ 59 / 상원사로 가는 길 ˙ 62 / 상원사 ˙ 64 / <상원사 범종>의 용(龍) ˙ 66 / 상원사의 ‘고양이 석상’ 이야기 ˙ 70 / <성덕대왕신종>_귀신과 사람이 함께 만든 종 ˙ 72 / 에밀레종 설화는 사실일까? ˙ 76 / 우리 용(龍)의 기원 ˙ 78 / 아홉 가지 용의 분류 ˙ 80 / 용생구자설(龍生九子說)_용의 아홉 아들 ˙ 84 / 형태는 염원을 따른다 ˙ 90 / 동서양의 용 ˙ 92 / 경회루 연못에서 발견된 조선의 용 ˙ 93 / 강서대묘_용의 형질을 지닌 고구려 고분벽화 사신(四神) ˙ 95 / 용의 첫째 아들 거북용 비희 ˙ 96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의 비희 ˙ 99 / 보림사 <보조선사 탑비>의 비희 ˙ 104 / <쌍계사 진감선사 탑비>의 비희 ˙ 107 / <숭복사 쌍거북 비석> ˙ 108 / <연곡사 동승 탑비>의 거북용 비희 ˙ 109 / 화엄사의 <벽암국일도대선사비> ˙ 110 / 탑비와 부도 ˙ 111 / 수로(水路) 부인 이야기 ˙ 112 / 수로 부인을 납치해 간 거북용 비희 ˙ 115 / 삼척시 ‘수로부인 헌화공원’ ˙ 116 / 이무기 전설 ˙ 119

제 3부 사자(獅子)
사자_한국의 토종 사자 ˙ 124 / ‘사자’와 ‘산예’의 구분 ˙ 127 / 사자의 한반도 전래_한반도 초기 사자의 형태 ˙ 128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의 사자상_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석사자 ˙ 129 / ‘아’와 ‘훔’ ˙ 132 / <경주 불국사 다보탑>의 사자상_사라진 우리 사자들 ˙ 134 /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 138 / 이사부 사자 공원 ˙ 142 / <화순 쌍봉 철감선사탑>_자기 뒷 발을 물고 있는 사자 ˙ 143 / <구례 연곡사 동 승탑> 사자 ˙ 146 /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의 쌍사자> ˙ 148 / ‘가루다’와 ‘가릉빈가’ ˙ 152 /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_귀엽게 변화된 고려 사자 ˙ 154 / 고려 전통 사자―전통 사자의 완성기 ˙ 156 / 고마이누_일본으로 건너간 고려 사자 ˙ 159 / <홍천 괘석리 사사자 삼층석탑>_전통 사자의 쇠퇴기˙ 162

제 4부 괴(怪)
괴(怪)_우리 땅을 지켜온 괴물 ˙ 168 / 무령왕릉을 지킨 진묘수(鎭墓獸) ˙ 171 / 상처로 남은
무령왕릉 발굴 ˙ 172 / 무령왕릉 ˙ 175 / <무령왕릉 석수> 백제 진묘수의 특징 ˙ 176 / 고구려 진묘수 ˙ 180 / 중국과 주변국의 진묘수 ˙ 181 / 가루베 지온 ˙ 184 / 고구려 고분벽화의 <사신도> ˙ 185 / 고구려의 상징 삼족오 ˙ 188 / 세 발 달린 두꺼비 삼족섬 ˙ 193 / 봉황(鳳凰)_천하가 태평할 때 세상에 나오는 새 ˙ 197 / 안동 봉황사에 얽힌 설화 ˙ 202 / 청와대의 엠블럼은 봉봉이? ˙ 204 / 황남대총 ˙ 206 / 금관에 나타난 사슴과 나무 신앙 ˙ 208 / 천마총_신라의 독특한 유니콘 ˙ 212 / 미추왕릉을 지킨 거북용 ˙ 215 / 불가살이 ˙ 217 / 주꾸미가 끌어올린 한국의 수중고고학 ˙ 219 / 고려 바다에서 나온 미지의 괴수 ˙ 222 / 해치_태양이 파견한 벼슬아치 ˙ 230 / 중국 해태와 한국 해치의 비교 ˙ 232 / 광화문의 해치상 ˙ 235 / 검찰청 앞 해치상의 신비한 일화 ˙ 237 / 경복궁_왕을 지키는 괴물 ˙ 238 / 천록(天鹿, 하늘의 사슴) ˙ 240 / 근정전의 서수 ˙ 245 / 개, 돼지가 빠진 근정전의 십이지신상 ˙ 246 / 함원전 이무기 ˙ 248 / 일곱 개의 발톱을 갖은 칠조룡(七爪龍) ˙ 249 / 기린(麒麟) ˙ 250 / 백택 ˙ 254 / 조선 왕릉을 지키는 괴물들 ˙ 257 / 괴의 시대에서 귀의 시대로의 변화 ˙ 259

제 5부 귀(鬼)
한(恨)―맺고 풀림의 조화 ˙ 262 / 귀신이란? ˙ 264 / 귀와 신의 분류 ˙ 266 / 개발로부터 조
상의 묘를 지키다_양주 최씨 가문 ˙ 268 / 귀신이 곡할 노릇 ˙ 270 / 선문대할망_제주도를 만
든 여신 ˙ 271 / 도덕산 처녀 귀신_광명시 도덕산(道德山)의 유래 ˙ 274 / 도깨비 ˙ 279 / 도
깨비의 이중성 ˙ 283 / 도깨비 덕에 부자가 되면 땅을 사야 하는 이유 ˙ 285 / 도깨비의 성격
˙ 287 / 도깨비불은 UFO? ˙ 291 / 오니 논란 ˙ 292 / 도깨비 기와(鬼面瓦)가 용(龍)이라고? ˙
295 / 어떤 형상이 우리 도깨비인가? ˙ 300 / 도깨비, 허깨비로 남을 것인가? ˙ 302 / 제주 도깨비 신당 ˙ 304 / 전통 도깨비의 현대적 활용_섬진강 도깨비 마을 ˙ 308 / 전통 도깨비의 현대적 활용_경남 의령 한우산 ˙ 312 / 방상씨_귀신 잡는 귀신 ˙ 315 / 방상씨가면(方相氏假
面) ˙ 318 / 구미호_칠곡군 구미호 이야기 ˙ 320 / 요망한 여우를 놓친 이회 이야기 ˙ 325 / 구렁이 총각_미내다리 전설 ˙ 328 / 창귀(倀鬼)와 호식총(虎食塚)_한반도에서 가장 무서운 귀 ˙ 330 / 호식총(虎食塚)을 찾아가다 ˙ 332 / 바리공주_한반도의 첫 번째 무당이 된 공주 ˙ 338 / 무장승_‘차도남’ 인줄 알았던 ‘따시남’ ˙ 349

참고 문헌 ˙ 350

저자소개

코몬 상상화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중고등학교 미술교사 상상화샘은 홍익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 박사과정에서 한국 전통문화 콘텐츠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미진사 고등학교 개정 미술교과서] 집필진, [한국 전통 괴물사] 시리즈, [나의 괴물유산 답사기], [붓으로 쉽게 따라하는 한국화 컬러링북], [사동에 살다], [안산을 만나다] 등 지음.
펼치기
코몬 상상화샘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