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IB 우리의 미래 교육

IB 우리의 미래 교육

(개정판)

하화주 (지은이)
스콜레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440원
15,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IB 우리의 미래 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IB 우리의 미래 교육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98104175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24-06-10

목차

PART 1 IB, 미래 교육을 위한 패러다임 11
1강 : 세계는 왜 IB에 주목하는가? 12
1. IB 교육을 주관하는 기관 및 그 기능 12
2. IB 교육의 역사 및 국제 표준 교육 프로그램 14
3. 세계는 왜 IB에 주목하는가? 15
4. 전세계 IB교육의 증가 및 현황 20
5. IB 한국어 프로그램의 도입 22
6. 우리나라에서의 IB 교육 프로그램의 확산 23

2강 : IB의 교육철학과 추구하는 학생상 24
1. IB 교육을 한다는 것”의 의미 24
2. IB 교육목표와 교육철학 25
3. IB의 사명선언 26
4. IB 목표와 학생상 26
5. IB 교육에서의 지적인 정직성 28
6. IB와 국내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인재상 비교 29

PART 2 유·초등학교 국제표준 교육프로그램 PYP(Primay Years Program) 개요 31
3강 : PYP의 기본 개념 및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32
1. PYP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32
2. PYP 교육 이념과 철학 33
3. PYP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34
4. PYP 운영을 위한 필수 요소 36
5. PYP 5가지 요소의 의미 41

4강 : PYP 교육과정을 위한 핵심 : 초학문적 주제와 교과 42
1. PYP 교육과정 철학 42
2. PYP 교육과정 모형 42
3. 지식(Knowledge) : 초학문적 주제(Transdisciplinary Themes)의 적용 43
4. 지식(Knowledge) : PYP 여섯 교과 46

5강 : PYP 교육과정 구안 및 실행 50
1. PYP 교육과정의 3차원 50
2. PYP 문서화된 교육과정의 핵심 : POI & UOI 50
3. 문서화된 교육과정의 핵심 POI와 UOI 개요 51
4. 탐구단원(UOI)의 구성 요소 53
5. 문서화된 교육과정(POI&UOI) 작성시 유의 사항 53
6. PYP 교육과정문서(POI) 예시 54
7. PYP 교육과정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58
8. PYP 교육에서의 평가 59
9. PYP Exhibition(학예발표회) 59
10. PYP 교육의 10가지 장점 61
11. PYP 교육의 국내 현황(대구교육청 사례) 62

PART 3 중학교 국제표준 교육프로그램 MYP(Middle Years Program) 개요 63
6강 : MYP의 기본 개념 및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64
1. MYP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64
2. MYP 프로그램 운영의 주요 특징 66
3. MYP 교육 프로그램 모형 이해 67
4. MYP 교과의 교육목표 및 강조점 69
5. Community Project / Personal Project 73

7강 : MYP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 74
1. MYP의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특성 74
2. MYP 교육과정의 기반: 개념(concept) 75
3. 핵심개념(Key concept)과 관련개념(Related concept) 77
4. MYP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의 기반 : 글로벌 맥락(global context) 79
5. MYP 교수 접근 방법 : ATT(Approaches to Teaching) 80
6. MYP 학습 접근 방법 : ATL(Approaches to Learning) 81

8강 : IB MYP 수업 설계 및 평가 방식 이해 00
1. MYP 유닛(unit) 플랜 양식과 단계 82
2. MYP 유닛(unit) 플랜 작성 및 실제 85
3. MYP 평가 방식에 대한 이해 89
4. MYP와 2015 개정 교육과정 92

PART 4 진학계 고등학교 국제표준 교육프로그램 DP(Diploma Program) 개요 93
9강 : DP의 기본 개념 및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94
1. IB DP(Diploma Program)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94
2. IB DP(Diploma Program) 모형의 구조 99
3. IBDP 교과군 구조 100
4. IBDP 과목 이수 시스템 100
5. IBDP 과목 이수 시간 100
6. IBDP 교과군별 선택과목들 101
7. IBDP 이중언어 프로그램 : DLDP(Dual Language Diploma Program) 102

10강 : IBDP Core requirements 개요 103
1. 지식론(TOK, Theory of Knowledge) 개관 104
2. 소논문(EE, Extend Essay) 개관 108
3. CAS(Creativity, Activiry, Service) 개관 109

11강 : IBDP 평가 시스템 개요 111
1. Diploma Program 평가의 특징 111
2. Diploma Program 평가의 방침 111
3. Diploma Program의 평가 점수 산출 111
4. Diploma Program의 내부평가 및 외부평가 방식 112
5. IBDP 과목별 외부평가 세부 방식 112
6. 지식론 및 소논문 점수 부여 방식 113
7. IBDP 내부 및 외부평가 채점 조정 시스템 113
8. IB 디플로마 획득 요건 115
9. IBDP 외부평가(예시) 116
10. IBDP 합격률과 평균 점수 118

12강 : IBDP 교육과정 구안 및 평가 - Group1 영역을 중심으로 119
1. Group1 과목에 대한 개요 119
2. Group1 과목에 대한 교육과정 대강화 121
3. Group1 한국문학 관련 교육과정 구안(예시) 122
4. Group1 한국문학 평가 개요 123
5. Group1 한국문학 평가 문항(예시) 126
6. IBDP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교육에 주는 함의 126

PART 5 진학과 취업을 동시에 준비하는 대안, CP(Career Program)에 대한 개요 127
13강 : IBCP의 배경과 역사,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이해 128
1. IBCP의 도입 배경 128
2. IBCP의 역사 128
3. IBCP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129
4. 고용의 경로(Pavement to Employment) 130
5. IBCP의 교육과정 구성 131
6. IBCP의 현실적 과제 135

PART 6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IB 교육의 비교 및 수용 137
14강 : IB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138
1. 국내 교육과정에서의 IB 도입의 근거와 교육적 화두 138
2. IB와 국가교육과정의 교육목표, 인재상, 핵심 역량 비교 139
3. 교육과정 편제의 구조 비교 140
4. 국내 고교 교육과정과 IBDP의 과목 편제 연관성 141
5. 수업시간 운영 방식 비교 142
6. 비교과 활동의 비교 : 창의적 체험활동과 IB의 CAS 143
7. 2015개정 교육과정과 IBDP의 종합 비교 144
8. 2015 개정 교육과정의 IBDP 수용 프레임워크 145
9. IBDP 교육과정 과목 편제 사례 145
10. IBDP 교육과정 NEIS 등록 예시 147
11. IBDP의 평가를 NEIS로 수용 148
12. IBDP와 대학입시 150

15강 : IB 프로그램 비교 및 도입 절차 151
1. IB 프로그램별 정리 및 비교 151
2. IB 인증 학교가 되기 위한 절차 154
3. IB 인증 학교가 되기 위한 단계별 과제 157
4. IB 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필수 고려 사항 158
5.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IB 학교와 IB 본부의 역할 158

PART 7 맺음말 : 인식의 전환 161
1. 인식의 전환 1 162
2. 인식의 전환 2 162
3. 인식의 전환 3 163
4. 인식의 전환 4 163

• 참고문헌 164
• 웹 기반 검색 자료 169

저자소개

하화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반포고등학교 교감.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고려대학교에서 교육과정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국제고 재임 시 아시아 태평양 IB 코디네이터 워크숍(2009년, 홍콩)에 참석했으며 고려대 대학원에서 국제 교육과정 비교 및 교육과정 세미나 등을 강의했다. 교육 과정 관련 다수의 공동 연구에 참여하고 여러 교육 기관에서 교육 과정 및 IB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