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8455024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4-10-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6
서문 13
1. 상황화냐 회복이냐
A. 기독교와 문화 20
1. 초문화적 유대교 20
2. 비-초문화적 기독교: 문화의 장벽에 갇힌 기독교 23
3. "이제 그리스도인 되었으니 햄샌드위치를 드세요!" 24
B. 복음을 상황화하는 것 26
1. 유대인을 위해 복음을 상황화하는 것 27
2. 세 가지 형태의 복음전도 방식 28
3. 유대인에게는 어느 것이 적합한가? 30
C. 상황화가 아니라 네 번째 형태의 복음전도 방식 32
2. 복음의 유대성 회복
A. 정의 38
B. 신학과 역사에서 교회와 이스라엘 40
1. 세가지 신학: 언약신학, 세대주의 그리고 "올리브 나무“ 41
2. 역사에서 교회와 이스라엘: 초기 시대 43
3. 올리브 나무 신학 52
4. 역사에서 교회와 이스라엘: 현대 시대 55
C. 복음은 개인적일 뿐 아니라 집단적이다 58
D. 예슈아는 이스라엘 백성과 동일시된다 62
E. 하나님은 유대 민족에게 약속하신 것을 성취하실 것이다 68
1. 신약성경이 그것을 증명한다 68
2. 구약성경이 그것을 증명한다 70
3. 하나님이 유대 민족을 끝내셨다는 주장에 대한 반박 72
4. 땅의 약속 75
5. 왕국의 약속 82
6. 결론 84
F. 복음에서 토라의 역할 84
1. 미지의 영역, 토라 84
2. 노모스 88
3. “율법은 끝났다”라고 하는 복음은 전혀 복음이 아니다 97
4. 새 언약의 율법과 실천 101
5. 새 언약의 율법? 109
3. 복음의 유대성 회복을 위한 전제
A. 기독교는 유대적이다 116
B. 반유대주의는 비기독교적이다 120
C. 유대인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을 거절하거나 소홀히 하는 것은 반유대주의적이다 123
1. 유대인에 대한 선의의 무관심은 반유대주의이다 123
2. 역사에 의해 정당화되는 의도적인 무관심은 반유대주의이다 125
3. 신학에 의해 정당화되는 의도적인 무관심은 반유대주의이다 128
4. 로마서 1:16?복음은 “특별히 유대인을 위한 것”이다 133
4. 축복
A. 교회는 어떻게 복을 받을 것인가? 138
B. 유대 민족은 어떻게 복을 받을 것인가? 140
부록: 교회의 가장 큰 과제는 단지 유대인을 사랑하는 것 이상이다 146
히브리어 단어와 이름 해설 158
참고 문헌 164
성경과 초기 문헌 색인 167
책속에서
바울은 일생동안 유대 관습을 지킨 유대인이었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바울은 디모데에게 할례를 행했고(행 16:3), 규칙적으로 회당에 갔으며(17:2), 유대인의 서원을 하고(18:18), 유대 절기 샤부옷(오순절)을 지키기 위해 서둘러 예루살렘으로 올라갔으며(20:16), 다른 유대인들이 성전에서 제사를 드릴수 있도록 비용을 지불했고(21:23-27), 산헤드린 앞에서 자신은 이전뿐 아니라 지금 이 순간에도 바리새인이라고 진술했으며(23:7), 로마 총독 베스도 앞에서 자신은 “유대인의 율법(Torah)이나 성전을 거스르는 일을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25:8).
1장 상황화냐 회복이냐
나는 1세기 청중들이 신약성경의 본문을 이해하고 그들의 삶의 상황에 적용했던 것처럼 우리가 신약성경의 본문을 이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1장 상황화냐 회복이냐
이스라엘, 유대 민족 그리고 교회 이 세 가지 실체로 시작하여 이들의 관계가 무엇인지 물을 것이다. 우리는 이 문제를 신학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신학은 우리에게 진정한 관계, 즉 “하늘에” 있는 일들을 보여 줄 것이고 역사는 이 땅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보여 줄 것이다. 그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더 잘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장 복음의 유대성 회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