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98782908
· 쪽수 : 470쪽
· 출판일 : 2024-11-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능엄경을 통달하기를 발원함
능엄경 제1권
第一. 序分(서론) ----------------------- 15
능엄경을 설하게 된 인연
第二. 正宗分(본론) ---------------------- 21
첫째. 사마타를 말하여 眞心을 깨닫게 하다 ---------- 23
제1장. 아난의 출가 --------------------------------- 23
1. 사마타, 삼마, 선나 ------------------------------ 23
2. 여래 32상과 아난의 출가 ------------------------- 23
3. 윤회의 원인 ---------------------------------- 24
4. 여래 32상과 눈, 마음 ---------------------------- 25
제2장. 일곱 곳에 마음이 있지 않다(七處不在心) ------------- 26
1. 마음이 몸 안에 있지 않다 ------------------------- 26
2. 마음이 몸 밖에 있지 않다 ------------------------- 29
3. 마음이 눈 속에 있지 않다 ------------------------- 30
4. 마음이 내(어둠), 외(밝음)에 있지 않다 ---------------- 32
5. 마음이 사유체와 합하는 곳에 있지 않다 --------------- 34
6. 마음이 중간에 있지 않다 -------------------------- 36
7. 마음이 일체 집착이 없는 것(一切無著)에 있지 않다 ------- 38
제3장. 眞心과 妄心을 판별하다 ------------------------ 39
1. 마음을 깨닫기를 원하다 --------------------------- 39
2. 두 가지 종류 마음의 근본(二種根本) ------------------ 40
3. 妄心을 깨트리다 -------------------------------- 42 4. 眞心의 실체는 있다 ------------------------------ 44
5. 육진(六塵)을 말하여 眞心과 妄心을 밝히다 -------------- 45
6. 眞心 획득을 위해 방광하시다 ----------------------- 46
제4장. 見性으로 眞心의 실상을 밝히다 ------------------- 48
1. 見性이 眞心이다(보는 성품이 참마음이다) -------------- 48
2. 見性은 不動하다(보는 성품은 움직이지 않는다) ---------- 51
능엄경 제2권
3. 見性은 不滅하다(보는 성품은 멸하지 않는다) ---------- 54
4. 見性은 遺失하지 않는다(보는 성품은 잃어버리지 않는다) ----- 59
5. 見性은 不還이다(보는 성품은 돌려보내지 못한다) ------- 62
【 달을 가리켜 진심·망심을 판별하다 】
【 팔환(八還)으로 진심, 망심을 판별하다 】
6. 見性은 바깥의 물건이 아니다(보는 성품은 자신의 진성·진심이다)
------------------------------------------- 66
7. 見性은 늘어나고 줄어드는 것이 아니다 ---------------- 68
8. 見性은 無是見이고, 無非見이다(보는 성품은 보는 것도 없고, 보지 않는 것도 없다)---------------------------- 70
9. 見性은 인연도 아니고 자연도 아니다 ------------------ 76
10.見性은 妄見을 떠났다(보는 성품은 허망하게 보는 것을 떠났다) 79
제5장. 망견(妄見·妄心) ----------------------------- 81
1. 모든 유루자에게 보리과를 얻게 하시다 ---------------- 81
2. 별업망견(別業妄見)------------------------------ 83
3. 동분망견(同分妄見)------------------------------ 84
4. 보는 병(見病)---------------------------------- 85
5. 本覺은 화합·비화합으로 생긴 것이 아니다 ------------- 87
제6장. 여래장 묘진여성(如來藏 妙眞如性)이 眞心이다.----------- 91
1. 오음(五陰)이 본래 여래장 묘진여성 ------------------- 92
【 색음 】【 수음 】【 상음 】【 행음 】【 식음 】
능엄경 제3권
2. 육입(六入)이 본래 여래장 묘진여성 ------------------- 97
【 안입: 눈 】【 이입: 귀 】【 비입: 코 】
【 설입: 혀 】【 신입: 몸 】【 의입: 뜻 】
3. 십이처(十二處)가 본래 여래장 묘진여성 --------------- 106
【 안색처 】【 이성처 】【 비향처 】
【 설미처 】【 신촉처 】【 의법처 】
4. 십팔계(十八界)가 본래 여래장 묘진여성 ---------------- 114
【 안색식계 】【 이성식계 】【 비향식계 】
【 설미식계 】【 신촉식계 】【 의법식계 】
5. 칠대(七大)가 본래 여래장 묘진여성 ------------------- 125
【 소승을 떠나서 대승을 구하다】
【 지대 】【 화대 】【 수대 】【 풍대 】
【 공대 】【 견대 】【 식대 】
6. 아난과 대중이 상주불멸의 본심을 깨닫고 발심하다 ------- 142
능엄경 제4권
제7장. 부루나의 의문 ------------------------------ 144
1. 부루나의 질문 --------------------------------- 144
2. 세존께서 답하시다 ------------------------------ 146
【 세계·중생·업과의 홀생(문득 생김·창조) 】
【 세계·중생·업과의 상속 】
【 삼종의 전도와 상속은 망견 때문이다 】
【 여래의 보리·열반에 다시 전도가 생기지 않는다 】
【 상망성진(相妄性眞) : 모양은 허망하고, 성품은 진여이다 】
【 배각합진(背覺合塵)과 멸진합각(滅塵合覺)】
3. 여래장의 종류 --------------------------------- 158
【 공(空) 여래장 】
【 불공(不空) 여래장 】
【 공·불공(空·不空)여래장 】
4. 대승 부처님과 소승 아라한 ------------------------ 160
5. 연야달다의 미친 성품을 비유로 망성무인(妄性無因)을 밝히시다 161
6. 세간·중생·업과를 따라가지 않는다 ----------------- 163
제8장. 아난의 인연, 자연에 대한 의문 ------------------- 164
1. 아난의 질문 ---------------------------------- 164
2. 연야달다를 비유하여 인연과 자연을 부정하시다 -------- 165
3. 인연·자연은 생멸·희론이다 ---------------------- 166
4. 무루업·무루선을 닦아 탐·증·애의 고통을 벗어나다 ----- 167
5. 의문이 제거되고 실상을 깨닫다 --------------------- 168
둘째. 삼마제를 말하여 一門深入하여 닦게 하다 ------ 169
제1장. 소승을 버리고 대승의 최상승 수행로를 열다 --------- 169
제2장. 두 가지 결정적인 뜻(二決定義) ------------------- 170
1. 인지 발심(因地 發心)과 과지 각(果地 覺)의 같고 다름 --------170
【 가작(可作)과 불가작(不可作) 】
【 오탁(五濁) 】
【 불생불멸의 원담성에 의지하라 】
2. 번뇌의 근본 --------------------------------- 174
제3장. 六根을 해결하다 ----------------------------- 175
1. 세계와 六根의 공덕 ----------------------------- 175
2. 원통근을 택하라 ------------------------------- 178
3. 一門深入(일문심입, 하나의 문으로 깊게 들어가다) ------- 178
4. 六根은 非一非六이다 ---------------------------- 180
5. 12相과 6根 ----------------------------------- 181
6. 육근호용과 깨달음 ----------------------------- 184
7. 칠상주과와 단멸 ------------------------------- 186
8. 종소리와 듣는 성품 ---------------------------- 187
9. 6진과 생멸을 따라가지 말라 ---------------------- 191
능엄경 제5권
10. 육근의 結解(맺고 푸는 것)와 부처님의 방광 ----------- 192
11. 육근이 생사윤회이고 해탈이다 -------------------- 194
12. 부처님의 최상승 게송 -------------------------- 196
13. 수건으로 結解(맺고 푸는 것)를 보이시다 ------------ 198
【 여섯 매듭을 만들다 】【 육해일망 】
【 삼공(三空)을 얻다 】【 원통의 근본을 구하다 】
제4장. 25 圓通 ----------------------------------- 205
1. 육진원통(六塵圓通) ---------------------------- 206
【 교진나 오비구의 성진원통 】【 우파니사타의 색진원통 】
【 향엄동자의 향진원통 】【 약왕·약상의 미진원통 】
【 발타바라의 촉진원통 】【 마하가섭의 법진원통 】
2. 육근원통(六根圓通)----------------------------- 211
【 아나율타의 안근원통 】【 주리반특가의 비근원통 】
【 교범발제의 설근원통 】【 필릉가바차의 신근원통 】
【 수보리의 의근원통 】
3. 육식원통(六識圓通)----------------------------- 216
【 사리불의 안식원통 】【 보현보살의 이식원통 】
【 손타나난타의 비식원통 】【 부루나의 설식원통 】
【 우파리의 신식원통 】【 대목건련의 의식원통 】
4. 칠대원통(七大圓通)----------------------------- 222
【 오추슬마의 화대원통 】【 지지보살의 지대원통 】
【 월광동자의 수대원통 】【 유리광 법왕자의 풍대원통 】
【 허공장보살의 공대원통 】【 미륵보살의 식대원통 】
【 대세지보살의 근대원통 】
능엄경 제6권
5. 관세음보살 이근원통(耳根圓通)--------------------- 233
【 육결을 풀다 】【 두 가지 수승 】【 32 응신 】
【 14 무외력 】【 네 가지 불가사의한 덕 】【 이근원통 】
6. 부처님 오체에서 방광하시다 ----------------------- 249
제5장. 문수보살의 게송 ----------------------------- 250
1. 25원통 수행에는 우열이 없다 ---------------------- 250
2. 부처님께 답한 게송 ----------------------------- 250
【 순·역이 모두 방편문이다 】【 25원통 수행을 각각 점검하다 】
【 관세음보살의 이근원통 】
3. 아난에게 반문문자성(反聞聞自性)을 말하다 -------------- 259
4. 이근원통(耳根圓通)이 으뜸이라 말하다 ----------------- 262
5. 대중이 보리·열반으로 가는 길을 알다 --------------- 263
제6장. 능엄주 ------------------------------------ 264
1. 안립도량하여 말세중생제도를 묻다 ----------------- 264
2. 계·정·혜는 수행의 결정적 표준이다 ---------------- 266
3. 계를 지킬 것 - 사중계(四重戒)--------------------- 266
【 ① 음욕을 끊음 】【 ② 살생을 끊음 】
【 ③ 도둑질을 끊음 】【 ④ 거짓말을 끊음 】
능엄경 제7권
【 사중계를 지킬 것 】【 능엄주를 지송하라 】
4. 정·혜를 닦을 것 ------------------------------ 280
【 도량의 건립 】
【 불·보살님께 공양 】
【 불·보살님 등 형상을 모심 】
【 정·혜를 이루는 공부 】
5. 부처님의 방광과 능엄주를 연설하시다 ---------------- 285
6. 능엄주를 지송하는 공덕 -------------------------- 293
【 정각·항마 등 공덕이 무량함 】
【 가지거나 써서 두어도 공덕이 무량함 】
【 재앙이 없고 성중들이 보호함 】
【 악처에 나지 않고 청정계를 이룸 】
【 죄업이 소멸되고 소원을 이룸 】
【 일체 액난과 재앙이 소멸됨 】
【 초학 수행자를 보호함 】
7. 천왕과 신장들이 수행자를 옹호하다 ------------------ 303
셋째. 襌那를 말하여 修證의 果位를 정하다 --------- 306
제1장. 부처님의 삼매를 닦아 증득하는 55果位를 묻다 -------- 306
제2장. 전도되어서 윤회한다 -------------------------- 308
1. 妄·眞과 眞삼마지 ------------------------------ 308
2. 중생 전도 ------------------------------------ 309
3. 세계 전도 ------------------------------------ 310
【 세계와 육진경계 】
【 12종류의 중생이 생김 】
능엄경 제8권
제3장. 修證 55位의 단계 ---------------------------- 315
1. 삼점차(三漸次) -------------------------------- 315
【 제기조인: 오신체를 끊음 】
【 고기정성: 청정계율을 지킴 】
【 위기현업: 현재의 업습을 어김 】
2. 욕애간혜(欲愛乾慧)------------------------------- 320
3. 십신 위(十信 位)-------------------------------- 321
4. 십주 위(十住 位) -------------------------------- 323
5. 십행 위(十行 位) -------------------------------- 324
6. 십회향 위(十回向 位) ----------------------------- 326
7. 사가행 위(四加行 位) ----------------------------- 328
8. 십지 위(十地 位)-------------------------------- 329
9. 등각 위(等覺 位)------------------------------- 330
10. 묘각 위(妙覺 位) ------------------------------- 331
제4장. 정혜쌍수(定慧雙修)로 점차 깊이 들어가라 ----------- 331
제5장. 본 경의 다섯 가지 이름 ------------------------ 332
넷째. 칠취윤회를 벗어나기를 권함 -------------- 333
제1장. 칠취의 요점 -------------------------------- 333
1. 칠취가 있는 이유를 묻다 ------------------------- 333
2. 내분의 정(情)과 외분의 상(想)--------------------- 335
3. 정·상(情·想)의 비율 --------------------------- 337
제2장. 칠취의 종류 -------------------------------- 339
1. 지옥 취 ------------------------------------- 339
【 십습 인 】
【 육교 보 】
【 지옥의 명칭 】
2. 아귀 취 ------------------------------------- 353
3. 축생 취 ------------------------------------- 354
4. 인간 취 ------------------------------------- 357
【 인간과 축생 】
【 인간의 종류 】
5. 신선 취 ------------------------------------- 359
6. 천 취(28천상) -------------------------------- 361
【 욕계 6천 】
능엄경 제9권
【 색계 18천 】
【 무색계 4천 】
7. 아수라 취 ------------------------------------ 372
제3장. 허망한 칠취와 윤회를 끊다 --------------------- 374
다섯째. 오음 마 ---------------------------- 376
제1장. 마사가 일어나는 원인 ------------------------- 376
1. 정혜쌍수(定慧雙修)와 마경(魔境)---------------------- 376
2. 마음 안에 허공·세계가 있다 ---------------------- 377
3. 삼매를 닦으면 마가 놀라 요동한다 ------------------ 378
4. 마에 몰락당하다 ------------------------------- 380
제2장. 오음 마의 모양과 공부의 단계 ------------------- 381
1. 색음 마 ------------------------------------- 381
【 색음의 한계와 해결 】
【 10가지 경계 】
【 마를 극복하여 무상도를 이룸 】
2. 수음 마 ------------------------------------- 389
【 수음의 한계와 해결 】
【 10가지 경계 】
【 마를 극복하여 무상도를 이룸 】
3. 상음 마(천마, 귀마) ----------------------------- 400
【 상음의 한계와 해결 】
【 10가지 경계 】
【 마를 극복하여 무상도를 이룸 】
능엄경 제10권
4. 행음 마 ------------------------------------- 422
【 행음의 한계와 해결 】
【 10가지 경계 】
【 마를 극복하여 무상도를 이룸 】
5. 식음 마 ------------------------------------- 440
【 식음의 한계와 해결 】
【 10가지 경계 】
【 마를 극복하여 무상도를 이룸 】
제3장. 육근호용(六根互用) --------------------------- 453
1. 육근호용 ------------------------------------ 453
2. 정혜쌍수와 능엄주 ------------------------------ 453
3. 오음 망상과 육근호용 --------------------------- 454
【 오음의 제거를 묻다 】
【 오음의 발생 】
【 오음 망상이 육근호용으로 모두 소멸되다 】
【 오음의 한계 】
제4장. 이즉돈오 사비돈제(理則頓悟 事非頓除) ---------------- 461
第三. 流通分(결론) --------------------- 463
1. 부처님께 공양 올린 복이 무량하다 ------------------ 465
2. 능엄경을 말세에 전하는 공덕 ---------------------- 466
3. 능엄경, 능엄주를 지송하여 보리를 이루다-------------- 467
4. 대중들이 환희하고 물러가다 ----------------------- 4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