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불교미술개론

한국불교미술개론

(문명대 교수의 불교미술 강의)

문명대 (지은이)
덕주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26,1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610원
23,4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불교미술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불교미술개론 (문명대 교수의 불교미술 강의)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예술/사찰
· ISBN : 9791198814609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4-07-05

책 소개

한국 미술, 특히 불교 미술의 거장인 문명대 동국대 명예교수(한국미술사연구소장)가 우리나라 불교 미술의 전모를 알기 쉽게 풀이한 개론서이다. 불상과 불화 연구 등에서 독보적 존재로 평가받고 있는 문 교수는 ‘불교미술개론’(1980년 편찬)과 ‘한국불교미술의 형식’(1999년 발간)을 선보인 이후 내용을 대폭 수정·보완하는 작업을 거쳐 20여 년만에 이 책을 발간했다.

목차

머리말

서장 불교미술(佛敎美術)의 이해
Ⅰ불교미술이란 무엇인가?
Ⅱ불교미술의 발생과 전개
1. 초기 불교미술시대(기원전 6세기~기원후 1세기 후반)
2. 불상시대(佛像時代)

제1장 불교건축(佛敎建築)
Ⅰ개요
Ⅱ불교사원의 건축
1. 절이란 무엇인가?
2. 기원과 형성
3. 배치 형식
4. 불교사원의 종류
Ⅲ 불탑(佛塔)
1. 탑이란 무엇인가?
2. 기원과 전개
3. 배치와 구조
4. 종류(재료와 형태)
5. 탑 안에 넣는 보물

제2장 불상(佛像)
Ⅰ개요
1. 불상이란 무엇인가?
2. 불상의 기원
Ⅱ불상의 종류
1. 재료
2. 형태
3. 불교상의 존격(尊格)
Ⅲ 불상의 도상형식
1. 불교의궤(佛敎儀軌)와 32상(相) 80종호(種好)
2. 불신(佛身)
3. 광배(光背, Cakra)
4. 대좌(臺座, Āsana, Piṭha)
5. 손가짐[인계(印契)]
6. 옷[의상(衣裳)]
7. 불복장(佛腹藏)
8. 불교의 수 개념 (數量法)

제3장 불화(佛畵)
Ⅰ개요
1. 불화란 무엇인가?
2. 기원
Ⅱ불화의 종류
1. 재료
2. 쓰임새
3. 주제

제4장 불교공예(佛敎工藝)
Ⅰ개요
Ⅱ불교공예의 종류
1. 의식법구(儀式法具)
2. 공양구(供養具)
3. 장엄구(莊嚴具)

저자소개

문명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요 학력 · 1968.3~1972.2 동국대학교 대학원(미술사) 문학박사 · 1965.3~1967.2 경북대학교 대학원(미술사) 문학석사 · 1959.3~1965.2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학과 문학사 주요 경력 · 2006.8~현재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 1988.9~1993.8 동국대학교 박물관 관장(26년 근속) · 1982.3~현재 서울시 종로구·노원구 문화유산위원. 1976년부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 문화유산전문위원과 문화유산위원, 서울특별시 문화유산위원, 경기도 문화유산위원 등 다수 역임 · 1980.3~현재 사단법인 한국미술사연구소 소장 · 1976.3~2006.8 동국대학교 미술학부 교수 주요 저서 및 공저 · 2003.9:한국불교조각사연구4권(예경) 외 100여권 주요 논문 · 1987: 石窟庵 佛像彫刻의 硏究(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외 400여편
펼치기

책속에서

불교사원은 초기에는 승려들이 거주하는 승원(僧院)만 있다가 그 뒤 불탑이 크게 성행하자 탑과 승원이 모두 갖추어진 종합적인 사원으로 발전하게 된다. 여기에는 예배당(초기에 탑을 봉안한 차이티야), 불전(佛殿), 강당, 포살당, 식당, 승원 등 승려들이 거주하면서 수도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모든 건물들이 세워졌다. 그래서 불교건축이라 하면 이러한 모든 구조물의 기본 배치 계획에서부터 건물 부재에 이르기까지의 건축적인 모든 것을 일컫는다.


사찰에는 여러 부처님을 모셔 놓은 갖가지 집[불전(佛殿)]들이 있다. 이 불전 안에 봉안된 부처들을 우리는 통칭해서 불상(佛像)이라 부르고 있다. 불상들은 나름대로 각기 다른 교리적 배경을 갖고 있는데, 이것을 불격(佛格) 또는 덕이라 한다. 불격은 각 상마다 모두 있게 마련이고 또 그 격을 달리한다. 이 격은 크게 불상(佛像), 보살상(菩薩像), 조사상(祖師像), 신장상(神將像) 등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불교의 모든 상(像)들을 환조(丸彫)든 부조(浮彫)든 어떤 방법으로든지 조각으로 만들면 바로 불교조각이 되는 것이다.


불화는 불교의 내용을 담은 그림이라고 하여 불교회화(佛敎繪畵)라고 하는데 두 가지 뜻으로 쓰인다. 좁은 의미의 불교회화는 절의 법당 등에 모셔 놓고 예배하기 위한 그림, 이른바 존상화(尊像畵)만을 뜻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존상화 이외에 대중들을 교화하기 위한 갖가지 그림이나 절의 장엄한 분위기를 살리기 위한 단청 같은 여러 가지 그림들을 포함하여 불교적인 목적으로 쓰이는 일체의 그림을 통틀어서 불화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