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연극사/연극.희극론/연극비평
· ISBN : 9791199327405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5-08-22
책 소개
목차
서문
감사의 글
3판 서문
역자 서문
소개: 전달자로서 무대감독
Chapter 1: 소통의 통로
대면 소통
서면 소통
공연 조직 내 소통
Chapter 2: 문서 디자인의 원칙
대상 구분하기
페이지 구성
글꼴
글꼴 스타일
색과 음영
색 선택하기
접근성
연속성
제목에 넣을 것
출발~!
Chapter 3: 프리 프로덕션 Pre- Production
주어진 여건
일정표
작품 분석
인물/장면분석표
연출과 만나기
제작팀과 만나기
소품 목록
특수 효과표
오디션
주소록
무대감독팀에 대해 생각해 보기
다음 과정
Chapter 4: 프롬프트 북
프롬프트 북 구성하기
프롬프트용 대본 준비하기
뮤지컬 대본
디지털 프롬프트 대본
출발 준비
Chapter 5: 리허설
첫 리허설
대본 분석
음악과 댄스 리허설
동선
일일 호출
일정 충돌
의상 피팅
첫 전체 연습
정리 정돈
장면 연습
연습실 안전
연습 일지
제작 회의
무대 요소들 추가하기
문서 수정
무용 리허설
연습실 마감
Chapter 6: 테크니컬 리허설
테크 일정 만들기
테크 리허설의 종류
테크 준비하기
무대감독을 위한 기술
역할 배분
전환수와 일하기
무대 준비 목록
소품 테이블
전환계획표
문서 변용
의상전환표
큐의 실행
음악감독과의 협업
무용의 테크
종합 예술
공연을 준비하며
테크 기간 중 연습 일지
Chapter 7: 공연
프리뷰
일상 업무 정리하기
개막 공연
객석팀과의 협조
공연 일지
인력 변경
공연의 예술성 유지하기
대역배우와 일하기
긴급 상황과 문제 해결
Chapter 8: 다음 단계
공연의 이동
순회 공연
마지막 공연 - 정말 끝일까?
합평회
후기
부록
미국배우조합
기타 정보
무대감독 키트
응급 공지
기타 문서
인터넷 자료
추천 도서
미주
공연 제작 크레딧
용어
저자 약력
역자 약력
책속에서
이렇게 소품 목록이 만들어지고 나면 극장에서는 진행 과정을 문서로 받고 싶어 할 것입니다 R과 A 열에는 연습실에 제공되는지 여부와 실제 공연 사용 여부를 표시하는 곳입니다. ‘출처soure’ 항목에는 소품 저장실의 특정 위치나 임대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을 적습니다. 무대감독이 이곳에 정보를 넣을 일은 없지만, 대화형 문서는 모든 사용자에게 공유됩니다. 제가 일해 본 극장 중에는 비용 정산을 위해 별도 시트를 만드는 대신 소품 목록에 예산 정보를 넣는 곳도 있었습니다.
여러 장소가 나오는 공연의 경우, 그림3.12와 같이 소품 목록에 세부 항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Cat on a Hot Tin Roof」와 같이 한 장소에서 진행되는 공연과 다르게 「십이야」는 여러 장소로 설정되었습니다. 이 장소 정보를 각 소품 목록의 노트 열에 넣기보다 장소별로 소제목을 나누면 장소별 소품 모음 정보를 만들 수 있고, 노트 항목에는 다른 정보를 넣을 수 있습니다.
마마라는 인물(M)이 단 중앙을 가로지르고 한 앙상블(MG)이 계단을 올라가 모시고 내려옵니다. 그다음 그 앙상블이 ‘옆으로 빠집니다shoved aside’. 제 기호표에 이때 쓸 적당한 기호가 따로 없어 그냥 글로 썼습니다. 가끔은 글이 더 좋을 때가 있죠. 다음으로 다른 앙상블(LY)이 마마를 가로질러 팔을 잡습니다. 이후 그 둘이 아래 무대 오른쪽으로 가로지릅니다. 이 노트들에는 전혀 뮤지컬적인 특징이 없지만 이 경우에는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안무를 기록해야 할 때 무대감독은 상자가 있는 보조 페이지가 필요할 것입니다. 일반적인 설명과 동선 구성을 자세히 담기에 도움을 줍니다. 안무에서는 각 상자에 출연자를 하나하나 약자로 표기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림5.22에 보이는 「시카고」의 두 번째 예를 봅시다. 이번에는 노래 ‘내겐 오직 사랑뿐All I Care About’에서 가져왔습니다.
전환수들이 문서 수정에 기여할 수도 있습니다. 전환수들에게 의견을 받고 작업 시 발견한 다른 일들을 알리도록 독려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전환수들이 맘대로 결정해서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무대조감독이 동시에 여러 곳에 있을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전환수가 퀵체인지(quick change 출연자가 무대 위에서 빠르게 의상을 갈아입는 것) 도중 손전등을 들고 있어야 하는 일이 생긴다면 전환계획표에도 기록해야 합니다. 어느 날 대체 투입된 전환수가 있었고, 그 일을 기록하지 않는다면, 전등을 들어줄 사람이 필요한지 모르고 있다가 막상 전환을 진행하게 되면 정상적으로 부드럽게 진행되지 못할 것입니다.
무대감독 팀은 전환수들에게 전환계획표 수정본을 전달하여 다음 연습에 반영되도록 해야 합니다. 만약 테크 리허설 일정이 화요일에 1막을 진행하고 수요일에 2막을 진행한다면, 목요일까지 수정된 문서가 필요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무대감독은 첫날 연습의 수정 사항을 적용하고 바로 수정본을 출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후 두 개의 막 연습을 모두 진행하고 전체 수정을 반영한 후 출력해도 됩니다. 매일 전체 연습을 진행하는 일정일 때는 수정본이 좀 더 빨리 만들어져야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