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과 체험 활동 교육의 이해와 실천
김희필, 고인규, 이영찬, 길영재, 김연정 | 양성원
22,500원 | 20230203 | 9791161264899
학교 교육에서 체험은 어떤 내용을 학습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교육과정 문서에 그 중요성이 반영되어 있다. 초등학교 교육은 교과 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나누어 편성되어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각 교과에서 다루지 못하거나 융합하여 다루고자 하는 내용을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체험을 통하여 다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체험 활동은 경험의 깊이를 더 깊게 할 수 있다는 점, 지식의 적용에 유리하다는 점,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활동에 유리하다는 점, 학습의 장소를 다양화 할 수 있다는 점, 학생의 학습 참여도와 흥미도를 높이기 유리하다는 점 등에서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각 교과에서 체험은 교수·학습 전략 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실과에서는 경험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교수·학습의 장면에서 실습, 조사, 견학과 같은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실과 체험 활동 교육에 대한 실과교육 전문가들은 실과 체험 활동 교육의 중요성에 공감하고서 다양한 실과 체험 활동 주제를 개발해오고 있다. 실과 체험 활동 과제 개발 전략이나 실과 체험 활동 지원 방법 등에 대한 기초 연구가 부족하여 아쉬움이 남기는 하지만, 실과 관련 다양한 영역이나 주제에서 실과 체험 활동 과제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시도는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실과 체험 활동 과제를 개발하는 연구는 실과교육 내용의 인프라를 풍성하게 구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 결과는 체험 활동을 어떻게 계획하고 체험 활동 수업은 어떻게 구성해야 할 지 고민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실과 체험 활동 관련 연구의 양적 증가와 더불어 질적 제고를 위한 노력은 계속될 필요가 있다.
이 책 1부에서는 실과 체험 활동 교육의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제 이론을 고찰하였다. 주요 내용은 실과 체험 활동 교육, 실과 체험 활동 교육과정, 실과 체험 활동의 개발, 실과 체험 활동의 주제, 실과 체험 활동 교수·학습 자료이다. 그간 주로학술지 논문이나 학위 논문 수준에서 실과 체험 활동 교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다 보니, 그 배경적 지식에 대한 고찰은 빈약한 편이다. 1부에서의 고찰된 이론 내용이 실과 체험 활동에 대한 전문 서적이 없는 현 상황에서 실과 체험 활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 책 2부에서는 가정, 기술, 생명과학, 정보, 안전 및 진로의 영역에서 최신의 실과교육 경향을 반영하여 개발된 실과 체험 활동 과제가 소개되었다. 이 활동 과제는 교육 현장에서 수정 없이 바로 활용이 가능한 수준으로 개발되었다. 이 활동 과제가 타당성 있는 실과 체험 활동의 실천을 고민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이 책은 2021년 전국교대교원양성대학교 공동교육혁신센터의 지원과 2022년 제주대학교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완성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전국 교대의 초등실과교육과 교수, 학생 및 관련 연구자들이 실과교육을 실천함에 있어서 소중한 자료로, 자원으로 공유되고 활용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