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김천기, 박휴용, 임은미, 노상우, 이정애 (지은이)
교육과학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000원 -0% 0원
510원
16,4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06947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3-03-05

책 소개

1부 '다문화교육의 개관', 2부 '다문화교육과정과 수업', 3부 '다문화 생활지도와 상담'으로 구성되었다.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해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의 지향점이 제시되고 한국의 다문화 상황에 적합한 다문화교육의 담론을 만들고자 했다.

목차

다문화교육의 개관01

Chapter 01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 11
1. 한국의 다문화사회 현상 11
2.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23

Chapter 02 다문화주의의 이해 / 31
1. 문화의 일반적 개념과 특징 32
2. 동화주의와 민족주의의 문제 33
3. 비판적 다문화주의 37
4. 포스트모던 다문화주의 44

Chapter 03 다문화정책의 현황과 과제 / 51
1. 다문화정책의 모형 51
2. 한국 다문화정책 현황 53
3. 한국 다문화주의 정책의 과제 72

Chapter 04 다문화사회에서의 커뮤니케이션 / 75
1. 다문화사회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76
2. 문화, 가치관, 커뮤니케이션 80
3. 언어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86
4.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95

Chapter 05 외국의 다문화교육 / 103
1. 미국 104
2. 영국 110
3. 독일 118
4. 일본 125

다문화교육과정과 수업02

Chapter 06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목표 / 133
1. 다문화교육의 이해 133
2. 다문화교육의 목표 145

Chapter 07 다문화교육과 교사 / 161
1. 다문화학교 교사의 자질과 역할 161
2. 다문화교실의 운영 방안 173
3. 다문화교실의 교수학습 방법론 178

Chapter 08 다문화교육과정 / 193
1. 다문화교육과정의 방향 193
2. 다문화교육의 내용 204
3. 다문화교육과정의 방향 211

Chapter 09 다문화 수업의 실제 / 219
1.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지향 220
2. 다문화교육의 접근법 221
3. 다문화교육 수업 모형 228
4. 다문화 수업의 실제 232

다문화 생활지도와 상담03

Chapter 10 다문화 생활지도와 상담을 위한 준비 / 251
1. 다문화 생활지도와 상담의 개념 252
2. 다문화 생활지도와 상담의 문제 260
3. 다문화 생활지도와 상담의 목표 265
4. 생활지도와 상담의 방법 268
5. 다문화 생활지도와 상담의 특징 271

Chapter 11 다문화 생활지도와 상담의 기본기법 / 277
1. 관계형성을 위한 상담기법 278
2. 내담자 문화기반 기법 285
3. 대상에 따른 상담기법 296

Chapter 12 다문화 생활지도와 상담의 실제 / 305
1. 다문화가정 상담의 단계별 진행방법 306
2. 다문화상담의 현장 적용 319

저자소개

김천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교육사회학, Ph.D)를 취득하였다. 이후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초빙교수로 연구 활동을 하였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대학원 청소년교육 전공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개인의 내적 치유와 성장에 관심을 가지면서 국선도수련법(현재 지도사범)과 하코미 심리치료를 접하게 되었고, 5년간의 트레이닝 과정을 거쳐 하코미 테라피스트 인증(미국 Hakomi Institute 인증)을 받았으며, 청소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펼치기
박휴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를 거쳐 2011년부터 현재까지 전북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전북대학교 AI융합교육연구소장과 SSK 디지털기반교수학습연구(DiTeL) 연구책임자를 맡고 있다. 국무총리산하 국정평가 자문위원, 다문화교육학회 부회장 및 여러 학회 이사, 전북대학교 사범대 부학장을 역임했고, 행안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 자문위원, 학술진흥재단 전문평가위원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융합지식과 융합교육과정』(2018),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의 미래』(2019), 『포스트휴먼 교수학습론』(2021), 『인공지능기반 교육의 원리와 실제』(2023) 등이 있다. 네 저서는 각각 2019, 2020, 2022년 세종우수학술도서와 2023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에 선정된 바 있다. KCI, SCI, SSCI, SCOPUS 등에 120여 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교육과정, 질적연구방법론, AI 융합교육 관련 과목들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임은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에서 학사학위를, 동대학 일반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미국 Indiana University에서 유아교육(Early Childhood Education) 전공, 교육공학(Instructional Systems Technology) 부전공으로 박사학위(Ph.D.)를 취득하면서 미국과 스위스에서 연구하였다. 영국 교육부 교육과정 심의위원을 역임하였고, 서울특별시유아교육진흥원 유치원 평가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현재 교육부 교육과정심의회 유치원위원회 심의위원, 세계유아교육기구(OMEP) 한국위원회 이사, 한국육아지원학회 서울·경기권 부회장, 서울특별시 지방보조금관리위원회 행정교육부문 심의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교육부 <유아와 함께 하는 인공지능교육>과 육아정책연구소 <디지털 기반 유치원 교수·학습·평가(관찰) 관련 제도 정비 및 구현방안 연구>의 연구진으로 참여하였다. 교육방송 eduTV <공감>에 출연하여 “자녀와의 소통, 이대로 괜찮은가”라는 주제로 강연하였으며, 현재 K-MOOC에서 “KinderTech: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유아교육”을 강의 중이다. 최근의 관심 연구분야는 유아교육에서의 AI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교육생태계, 디지털 교수학습 통합플랫폼, 테크놀로지의 통합적 활용(Technology Integration in ECEC), 학습분석(Learning Analysis), 우연적 발견 세렌디피티(Serendipity)이다. 현재 성결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표 저서는 《유아교사가 알아야 할 인공지능의 모든 것》, 《가치(Value)로 풀어보는 유아교실 이야기》, 《개정 누리과정을 적용한 유아교과교육론》, 《영유아 관찰 및 실습》, 《아동 관찰 및 행동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노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1991년 독일 Ruhr-Universitaet Bochum에서 Ph.D를 취득하였다. 현재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교육철학과 청소년교육론을 가르치고 있다. 주된 관심사는 탈근대철학과 생태교육을 연구하는 데 있다. 주요 저서 ·Bildungstheoretische Elemente der Minjung-Bewegung und die Paedagogik der Kommunikation(Sankt Augustin, 1991) ·생태민주주의(노상우·오성근 공역, 교육과학사, 2007)(2007년도 대한민국학술원 기초학문육성 우수학술도서 선정) ·교육의 역사와 사상(교육과학사, 2014, 3판 2쇄)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위한 생태교육학(교육과학사, 2014) 외 다수
펼치기
이정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국어의미론 및 국어교육론 전공 최종학교 :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학 박사(Ph.D.) 최근 저서 및 논문 : 국어의 간접성과 NSM(2012), 비교 문화 화용론(2013, 공역, 역락)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