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백산서당"(으)로 311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73270477

에세이 세계사 1: 인류의 탄생

백산서당 편집부  | 백산서당
5,400원  | 19940330  | 9788973270477
이 책은 일반 독자층을 대상으로 한 책으로, 전문적인 내용을 비전공인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쓴 교양 도서이다.
9788973273775

역사와의 대화

백산서당 편집부  | 백산서당
10,800원  | 20051220  | 9788973273775
우리 민족이 일제로부터 해방된 지 60년이 지났다. 그러나 해방의 기쁨도 잠시, 우리는 분단과 함께 미증유의 시련과 세계사적 도전에 직면해야 했다. 냉전의 모순과 대립의 접점에서 6ㆍ25 전쟁으로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었으며, 거듭된 정치ㆍ사회적 혼란과 변혁, 그 원인과 결과로 수반되는 이념 갈등, 그리고 경제개발 및 성장의 과정에서 생기는 계층 간 대립으로 점철된 과반세기였다. 본서는 2004년 10월에 창간된 월간 《우리길벗》이 매월 각계 원로와 실천적 지성을 만나 진행한 대담을 정리한 것이다. 《우리길벗》이 만난 ...
9788973270453

일하며 배우는 정치경제학 (기초학습문고 24)

백산서당 편집부  | 백산서당
7,200원  | 20030320  | 9788973270453
정체경제학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을 익힐 수 있는 입문서다. 일하면서 실질적인 사례를 통해 배울 수 있도록 도왔다.
9788973270491

에세이 세계사 3:중세

백산서당 편집부  | 백산서당
7,200원  | 19960525  | 9788973270491
이 책은 일반 독자층을 대상으로 한 책으로, 전문적인 내용을 비전공인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쓴 교양 도서이다.
9788973278633

한국 정당 정치사 (위기와 통합의 정치)

심지연  | 백산서당
58,500원  | 20250715  | 9788973278633
2004년 11월 ‘위기와 통합’을 주제로 정당사를 정리하여 『한국정당정치사』라는 제목으로 책을 펴낸 후 다섯 번째 증보판을 내게 되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부터 2002년 12월 노무현 후보의 당선에 이르기까지 총선과 대선 등을 포함하여 역대 각종 선거를 전후해서 나타났던 정당들의 행태를 분석한 내용을 정리하여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 계기가 되어, 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열·이재명으로 정부가 바뀔 때마다 증보판을 내다 보니 햇수로 20년을 훌쩍 넘기게 되었다. 4차 증보판이 5년 만에 나온 것과는 달리, 윤석열정부하의 정당구도를 분석하여 추가한 5차 증보판은 3년 만에 나왔다. 탄핵으로 윤석열정부가 헌법에 규정된 5년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물러남에 따라 증보판도 2년 일찍 세상에 나오게 된 것이다. 그러나 비록 윤석열정부가 3년밖에는 집권하지 못했지만, 그 기간에 있었던 정당과 정치인의 빈번한 이합집산 현상만큼은 5년 집권한 정권 못지않았다. 또한 한국정치의 구조적 특징으로 굳어진, 분열하면 패배해 위기에 처하게 되고 통합하면 승리한다는 ‘위기와 통합의 정치’도 어느 시기에 비해서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극명하게 재현되었다. 바꾸어 말하면, 윤석열정부는 3년밖에 지속되지 않았음에도 정당과 정치인들이 분열하고 통합하는 이합집산 현상은 5년을 채운 정부 못지않은 규모와 속도로, 즉 압축적으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22대 총선과 21대 대선이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윤석열정부가 출범할 수 있었던 것은 후보단일화를 통해 분열을 극복하고 통합을 이루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출범 이후에는 통합의 의의를 망각하고 갈등과 분열로 치달았다. 그 결과는 22대 총선에서의 참패였다. 총선 참패 이후에도 국민의힘은 내부적인 분열을 극복하고 통합을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갈등과 반목을 일삼았다. 이로 인해 21대 대선에서 승리를 도모하기 어려운 국면에 놓이고 말았다. 여기에 설상가상으로 윤석열이 ‘통치행위’를 명분으로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무리수를 둔 데다가, 국민의힘 의원의 상당수가 이에 동조하는 바람에 국민적 분노를 초래하고 말았다. 그리고 대선후보 경선 과정에서 발생한 당내의 갈등과 반목을 해소하지 못해 여론의 따가운 눈총을 받기도 했다. 이것뿐만이 아니었다. 후보 경선 이후에도 비상식적인 방식으로 후보 교체를 시도하려 한 것을 비롯하여, 후보단일화 문제를 놓고 통합을 이루지 못한 상태에서 대선에 임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국민의힘은 대선에서도 패배하게 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에도 갈등적인 요인이 없지는 않았다. 그러나 국민의힘처럼 수습 불가능할 정도에까지 이르지는 않았기에, 사법 리스크를 비롯하여 당 안팎에서 제기된 분열적인 요인을 극복하고 이재명을 중심으로 통합을 이룰 수 있었다. 통합을 이룬 까닭에 민주당은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할 수 있는 체제로 당을 전환하는 게 가능했다. 그 결과 총선에서 승리했고, 그 여세를 몰아 야권 연대도 이루어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분열로 인한 원심력보다는 통합으로 인한 구심력이 더 크게 작용했기 때문인데, 그 덕분에 ‘위기와 통합의 정치’가 암시하는 명제(命題)대로 이재명정부가 출범할 수 있게 되었다. 여러 차례 언급했지만, 이처럼 정당과 정치인이 이합집산을 통해 유권자의 지지를 동원하는 행태는 누가 보더라도 바람직한 현상이 아닌 건 분명하다. 정치권력을 장악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세계 정당사상, 이와 유사한 사례가 없는 것만 보더라도 정상이 아니라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다. 그에 따르는 폐단과 지불해야만 하는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단적인 예로 빈번한 이합집산으로 인해 수시로 당의 명칭과 노선이 바뀌어 정당으로서는 정체성의 확립, 그 자체가 사치라고밖에는 할 수 없게 된 것을 들 수 있다. 정체성 확립이 불가능한 상태이기에 선거 때마다 지역 연고와 학연, 혈연이 동원되는 사태가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제는 유권자도 이에 익숙해져 정당의 정강·정책에는 별반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일종의 탈정책화·탈정치화 현상이 고착되고 말았다. 5·10선거 이후 치러진 역대 선거가 이러한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았고, 그 결과 한국의 정당정치는 ‘위기와 통합의 정치’가 구조화되는 경로를 밟게 된 것이다. 이러다 보니 정당정치 자체가 이합집산이 무한 반복되는 구조로 변질되고 블랙홀처럼 모든 이슈를 빨아들여, 정당의 정강·정책의 제시가 무의미한 일로 되어버렸다. 따라서 정치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당과 정치인들 간의 이합집산의 고리를 끊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 정당정치의 건강한 발전을 위한 해법을 고민해 보겠다는 다짐과 함께 5차 증보판의 머리말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9788973278664

해방정국, 분리와 통합의 정치: 한국과 오스트리아 (한국과 오스트리아)

김미경, 김용복, 구춘권, 김학노  | 백산서당
36,000원  | 20250910  | 9788973278664
이 책은 오스트리아와 한반도의 해방정국을 ‘분리-통합’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한다. 분리-통합의 관점은 한반도 문제를 ‘분단-통일’이라는 개념 대신에 ‘분리-통합’의 개념으로 접근한다. ‘분단-통일’ 개념과 ‘분리-통합’ 개념은 크게 두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첫째, 분단-통일과 달리 분리-통합은 가치중립적 개념이다. 분단-통일 개념은 ‘분단=비정상’, ‘통일=정상’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비정상에서 정상으로 가야 한다는 규범적 당위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분리-통합 개념은 ‘우리’ 외연의 축소와 확대를 각각 분리와 통합으로 볼 뿐, 어느 것이 더 좋다는 가치 판단을 배제한다. 둘째, 분단-통일과 달리 분리-통합은 일반론적 개념이다. ‘분단’을 어떻게 정의하든 분단국가는 특수사례다. 분단-통일 개념은 남북한 문제를 특수사례인 분단국가 문제로 본다. 반면에 분리-통합은 남북한 관계를 분단국에 국한된 특수한 문제로 보지 않고, 일반적인 분리와 통합의 사례로 본다. 분리-통합의 관점에서 볼 때 모든 나라와 집단의 역사는 분리와 통합을 반복하는 분합(分合)의 역사다(분리통합연구회 2014). 우리가 한반도와 오스트리아의 해방정국을 비교 분석하는 이유는 두 사례가 비슷한 상태에서 사뭇 상이한 경로로 나아갔기 때문이다. 1945년 해방 이후 한반도와 오스트리아 및 독일은 연합국에 의해서 분할점령된 점에서 비슷한 상황에 처했다. 독일과 한국이 각각 동과 서 및 남과 북으로 분단된 반면, 오스트리아는 하나의 통합된 국가를 수립했다. 분단-통일의 관점에서 그 동안 한반도와 독일의 비교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특히 분단의 원인과 과정의 문제보다 통일 과정과 방식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반면 우리 학계에서 오스트리아에 대한 관심은 그리 많지 않았다. 다른 이유들도 있겠지만, 아마도 분단-통일이라는 특수론적 관점에서 볼 때 오스트리아가 분단국가라는 특수사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 한 가지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이 책의 필자들은 연합국에 의한 분할점령이라는 비슷한 상황에서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리된 반면 오스트리아는 분리되지 않고 통합을 유지하여 하나의 단일 국가를 수립한 이유와 과정을 알고 싶었다. 아울러 해방 후 한반도에는 남과 북 사이에 그리고 좌익과 우익 사이에 적대적 갈등이 극심했던 반면, 전간기(1차대전과 2차대전 사이) 좌우 사이의 적대적 대립이 극렬했던 오스트리아에서는 2차대전 이후 해방정국에서 좌우 정치세력이 서로 인정하고 공존하면서 타협과 협력의 정치를 전개했다. 한반도가 남북으로 적대적 분리가 되었다면, 오스트리아는 해방 후 좌우 정치세력 사이에 우호적 통합을 이루었다. 이 책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표현하자면(1장 분석틀 참조), 한반도에서 남과 북으로 ‘홀로주체적 분리’가 일어난 반면, 오스트리아는 ‘서로주체적 통합’을 이루었다. 왜 비슷한 상황(연합국에 의한 분할점령)에서 상이한 결과(홀로주체적 분리 vs. 서로주체적 통합)가 나왔는가? 2차 대전 종전 후 연합국에 의해 분할점령된 점에서 오스트리아나 한국과 유사한 처지에 처했던 독일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분단되었다. 유사한 상황에서 독일과 한국이 ‘홀로주체적 분리’로 귀결된 반면, 오스트리아만이 ‘서로주체적 통합’으로 귀결되었다. 이 점에서 오스트리아는 대단히 흥미로운 사례다. 양동안(2007)은 한반도 분단의 ‘원인’으로 소련의 정책을 지목한다. 그에 따르면, 분단의 원인으로 제시되었던 많은 것들(ex., 국내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보는 복합론, 미국책임론, 미소공동책임론 등)이 모두 정확한 원인이 아니다. 그는 ‘한반도 분단의 원인’을 “한반도라는 영토 위에서 장기간 단일한 통치체에 의해 통치되던 정치단위가 두 개의 주권적 정치단위로 분열되고 그들이 한반도를 분할 지배하게 되는 사태를 초래하는 데 필연적・우선적 작용을 했던 요인(들)”로 정의한다(양동안 2007, 144). 그는 마치 법의학에서 ‘사인(死因)’을 밝히듯이 분단의 원인을 구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누군가 죽었을 때 죽음이라는 “결과에 대해 충분조건이 되면서, 동시에 우선적으로 작용한 요인”만을 사인으로 보듯이(양동안 2007, 142), 남북한이 갈라지게끔 되는 데 “치명적인 작용”을 한 결정적인 요인을 분단의 원인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과연 무엇이 한반도 분단의 결정적 요인인지에 대한 (각자의 관점에 따라) 상이한 판단은 차치하고, 이 책의 필자들은 일어난 것 못지않게 일어나지 않은 것도 중요한 원인일 수 있다고 본다. 다르게 표현하면, 누군가가 한 행동 못지않게 ‘하지 않은’ 일이 중요한 원인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김학노 2018, 444-449). 양동안의 ‘사인’ 비유에 빗대어 말하자면, 어떤 질병이나 장애가 결정적 사인이라면 그것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 것도 죽음에 이르게 한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 미국과 소련, 군정 등 다양한 정치세력들이 행한 일이 분단의 원인일 수 있지만, 그것을 적극적으로 막거나 극복하려는 행동을 하지 않은 것이 또 다른 중요한 원인일 수 있다. 그러나, 하지 않은 것이 중요할 수 있지만, ‘하지 않은 것’은 무한히 많다. 우리가 하지 않은 것들을 모두 생각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우리가 하지 않은 무수히 많은 것들 중에서 어떤 것이 중요한 것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한 가지 방법은 유사사례의 비교분석이다. 유사하지만 중요한 차이가 있는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서 우리가 하지 않은 것 중에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포착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와의 비교를 통해 이 글은 해방정국 한국에서 필요했지만 가지 않은 길, 혹은 가지 못한 길, 그래서 한반도의 분단을 막지 못한 주된 요인으로 통일된 단일 임시정부 수립 문제에 주목한다. 이는 오스트리아를 ‘중립화 통일’의 모델로 보았던 우리 학계의 기존 시각과 차이가 있다. 오스트리아는 해방정국 초기에 단일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속한 총선거를 실시하여 통합된 국가를 수립하였다. 반면에 한반도에서는 해방정국 초기에 단일한 임시정부를 수립하는 데 실패했다. 오스트리아에서 하나의 정치적 구심점을 형성한 반면 한반도에서는 단일한 정치적 구심점을 구축하는 데 실패한 것이다. 단일 임시정부의 수립 문제야말로 오스트리아와 한반도의 경로를 나누는 가름목이었다. 이 시각에서 볼 때 중립화는 오스트리아 통일의 원인이기보다는 오히려 결과에 해당한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이 책은 임시정부 수립 문제에 초점을 두고 오스트리아와 한반도의 해방정국을 비교한다.
9788973278640

미국과 중국, 천하를 다투다

홍정표  | 백산서당
29,700원  | 20250730  | 9788973278640
이 책을 집필하기 시작하던 2023년 말, 미국과 중국 사이 대립이 우선적으로 표면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를 계속하며 집필을 하는 동안 국제정세는 워싱턴과 베이징의 양자관계에만 머무르지 않고 그 분쟁이 글로벌로 확대되는 징조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2024년 1월의 타이완 선거가 마무리되면서 소강상태를 보여오는 듯하던 타이완 해협의 관계, 잠잠해 보이던 우크라이나의 전쟁, 하마스를 포함하여 이스라엘과 이란의 중동문제, 나아가 같은 해 3월에 있은 러시아 대통령 푸틴이 5선으로 대통령에 당선되고, 바로 이어 같은 달 하순 모스크바의 한 공연장에서 ISIS로 추정되는 테러범에 의해 140여 명을 상회하는 민간인이 대량으로 학살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언제라도 군사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중국과 인도 간 국경분쟁, 인도와 파키스탄의 갈등,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필리핀의 충돌, 3월 25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라마단(Ramadan) 동안 가자지역 정전결의안이 미국의 기권에도 불구하고 14국의 찬성에 의한 통과, 같은 해 11월 미국의 대통령선거 등 세계는 심하게 요동치기 시작하였다. 현 세계질서의 세력균형에서 이합집산은 마치 제2차 세계대전의 전야와 유사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한미동맹관계에서 한국의 대중국 정책전략은 ① 예방전(preventive war), ② 단절(distancing), ③ 속박(binding), ④ 균형/ 봉쇄(balancing/ containment), ⑤ 개입/ 교류(engagement), ⑥ 양다리 걸치기(hedging), ⑦ 편승(bandwagoning)의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한국은 중국의 굴기에 대해 예방전을 펼칠 필요가 없으나, 다른 나라가 중국의 부상에 예방전을 벌이는 데 연루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현재의 한중관계에서 단절은 생각할 수가 없고, 셋째, 한국은 중국과 양자동맹이나 집단안보가 없음으로 속박이나 중국에 편승할 가능성은 없다. 여기에서 중국의 대외전략을 고려할 때, 중국에의 속박이 우려된다. 네 번째와 다섯 번째의 “균형/봉쇄”와 “교류/개입”의 두 대안에서 한국은 경제와 통상 방면에 적극적으로 교류를 하고 군사면에서 미미하며, 한국이 군사면에서 미국과 일본에 편향되어 중국봉쇄의 성격을 띠고 있다. 한미동맹의 군사 및 안보영역이 다른 영역을 장악하게 되고, 그 결과 중국에 대한 봉쇄정책으로 인하여 한중관계의 악화 또는 단절이 초래될 수도 있다. 여섯 번째, 양다리 걸치기는 이슈 영역과는 관계없이 한국이 미국과 중국 양 측에 지속적인 우호를 강조하며, 상대적으로 한국의 이익을 더 많이 보장하는 쪽에 선택지지를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두 조건이 있다. 먼저, 중국이 미국을 중심축으로 하는 현상유지를 선호하지 않는 성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한국정부가 지금보다도 더 탁월한 외교력과 협상력을 발휘하여 미중 양국에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2049년, 중국 건국 100주년이 되는 해 즈음에 동북아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미국을 압도할 때, 한국은 중국에 편승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것도 지금부터 준비가 된 전제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이 할 수 있는 선택은 “균형/봉쇄”와 “교류/개입” 그리고 “양다리 걸치기” 정책이다. 한국은 자신의 외교원칙과 기준을 설정하고 이행하며, 미중관계 대응팀과 중국 전문가를 보강하고, 강대국의 제로섬 게임에 빠지지 않는 유연하고 결단성있는 행동을 보여야 한다. 외교력이 자립하도록 끊임없이 국력을 키워야 한다. 타이완에 군사분쟁이 일어나 미군이 개입할 경우, 우리는 한미동맹을 자각하고 북한을 포함한 북방으로부터의 위기를 고려하여 종합 대응방안을 결단력있게 준비해야 한다. 현재의 미국패권에 대한 중국의 도전은 의미가 없다는 관점과, 앞으로 미국의 패권이 어떤 성격을 가질 것인가라는 시각도 연구해 보아야 한다. 전 지구적 전환 과정에서 한국에 필요한 리더십은 ‘전환적 리더십’이라고 말한다. 전환이란 열린 생각과 가슴 그리고 단호하고 유연한 의지를 갖고 미래의 틈새를 여는 것을 지칭한다. 그리고, 북한의 변화가능성과 이것이 발생할 때, 이에 대한 준비와 주변국들의 북한관계의 다양성을 사전에 고려하고 대처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미중 관세전쟁은 양국 간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문제들과 상호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현재의 국제체제는 2차 대전 후 초기 냉전시기와 매우 유사하다. 현재의 세계는 한-미-일-나토와 북-중-러-이란을 양 축으로 하고 중동-기타 지역을 한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반도에서는 1950년에 남과 북의 배후에 각각 미국과 소련이 대치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남북의 배후에 소련 대신 중국과 미국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몽을 위해 일대일로(BRI)의 깃발을 들고 글로벌로 나가는 중국과, 이에 다시 위대한 미국을 세우기 위한 깃발(MAGA II)을 메고 중국을 포위공격하고 있는 미국이다. 이를 위해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조기 종전을 모색하고 이데올로기를 넘어 러시아에 대하여 유화정책을 전개해왔다. 트럼프의 새로운 미국패권이 유라시아, 중동, 유럽, 아시아(남중국해와 동중국해) 등 여타 지역으로 새롭게 확대되면서 무력 충돌 발생 등 새로운 시험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5년 5월과 6월, 우크라이나 전쟁해결을 위한 트럼프 중재외교, 트럼프의 중동 3국순방, 그리고 이란 핵시설의 파괴를 통하여 트럼프 외교의 성격이 가시화되고 있다. 연이어 유럽의 NATO 회원국들로 하여금 그들 국가의 GDP의 5%를 방위비로 쓰도록 하는데 합의를 보았다. 이어, 우크라이나전쟁 휴전협정에 관하여 러시아의 푸틴과 통화 후, 우크라이나에 다시 군사지원을 할 것을 천명하였다. 다음 단계로 남중국해와 타이완과 북한을 포함한 중국이 대상이 될 것이며, 현재 한반도와 일본 그리고 타이완과 필리핀 및 호주와 인도양에 걸쳐 전략재산이 미국과 유럽에서 합류하고 있다. 미국의 위대한 지도자는 대체로 50년 말을 주기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트럼프행정부2.0의 새로운 미국의 부상(MAGA II)이 예상되는 미국의 고립주의의 한 특징은 무역적자와 재정적자를 줄이고 해외 주둔군의 비용을 줄이는 새로운 동맹관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도날드 트럼프는 역사적인 유추나 교훈을 인지하지는 못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는 푸틴이 변곡점에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푸틴은 우크라이나에서 저지당하거나, 아니면 NATO에 대한 최후의 공습과 그가 꿈꾸어온 짜르를 위해 힘을 축적하는 것을 늦추어야 할지도 모른다. 지금, 트럼프는 푸틴에게 단지 50일의 기간을 더 주고 있다. 2025년 6월 3일, 한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다수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여당인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누르고 제21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우리는 역사의 전환점에 있다. 한국으로서는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하여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가져오는 긍정적 파이를 최대로 하며, 중국에서 오는 강한 흡입력을 설득력있게 관리하면서 부정적인 요인을 최소화할 때이다. 지혜롭고 크게 보고 결단력이 있으면, 국가의 지속적 번영을 위해 행동으로 옮기는 현명한 지도자가 필요한 때이다. 국제체제라는 글로벌 틀에서 국가는 하나의 행위주체(actor)로서 국제질서의 긍정적인 움직임에 유연하게 적응해야 할 것이다.
9788973278619

탄요공원에서 길을 묻다

강경석  | 백산서당
18,000원  | 20250419  | 9788973278619
9788973278626

장덕수 연구

심지연  | 백산서당
27,000원  | 20250330  | 9788973278626
9788973278602

내 한 목숨 희생되더라도 (박종만과 택시노동운동)

박종만 추모사업회  | 백산서당
36,000원  | 20250220  | 9788973278602
‘박종만과 택시노동운동’이라는 제목에서 보듯이 박종만 동지가 분신하여 숨진 뒤에 그 뜻을 살리기 위해 노력한 유가족 조인식 여사와 택시노동운동을 했던 사람들의 생생한 기록이다. 제1부의 첫 번째 장은 박종만 동지와 관련된 내용이다. 먼저 박종만동지의 연대기로 박종만 동지의 살아온 행적과 1984년 11월 30일 분신을 하기까지 민경교통노조에서의 활동, 분신에 이르기까지의 과정, 분신 이후 숨지기까지, 그리고 장례식장이었던 세브란스병원에서 전두환 정권이 저지른 침탈과 민주인사들의 투쟁을 기록하였다.
9788973278596

허수아비와 그림자 권력 (대한민국의 주권은 미국으로부터 나온다)

정상모  | 백산서당
28,800원  | 20240810  | 9788973278596
제적 종속의 사슬을 끊어버리고 외세의 수난을 벗어나기 위한 민족 자주의 의지와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평화민족주의를 통한 민족주권, 평화주권의 독립과 역량의 결집이 이루어져야 되지 않을까. 민족주권, 평화주권의 확립과 그 행사는 한반도가 핵 지옥이 아닌, 한민족의 진정한 평화와 번영의 세상, 피스버스(peace╶verse) 시대로 가기 위한 필수적인 과제라 할 수 있다.
9788973278589

이범영 평전 (이 강산의 키 큰 나무)

이승환, 권형택, 한홍구, 이원영, 이창언  | 백산서당
27,000원  | 20240810  | 9788973278589
한국의 민주주의는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과 헌신과 참여로 이루어졌다. 그 거대한 흐름 속에서 한 개인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일까? 이미 세상을 뜬 지 30년이 된 이범영이라는 사람은 이름 석 자만 대면 누구나 알만한 명망가도 아니고, 세상을 뒤흔든 대사건의 주역도 아니다. 2차대전 이후 독립한 수많은 나라 중에서 가장 큰 성과를 거두었다는 한국의 민주화운동사에서 이범영은 어디쯤 위치하고 있는 것일까? 이런 시도를 해보는 이유는 이범영이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을 영웅화하고 미화하기 위함이 아니라, 민주화운동의 가치가 땅에 떨어지고 모욕당하고 있다고 느낄 만큼 암울한 현실이 그의 부재를 새삼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이 책도 험난했던 격동기를 그와 한 자락이라도 함께했던 사람들 중 그가 특별히 자꾸 생각나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책이다.
9788973278558

2030 지식근로자가 되는 길

김길룡  | 백산서당
18,000원  | 20240630  | 9788973278558
‘지식근로자’는 2030 일터의 인간상이다. 일터 구성원은 ‘2030 지식사회’에 대한 안목과 통찰력 및 지식근로 역량을 키우는 데 전력하여, 일 속에서 자아를 실현하며 조직발전에 기여하는 유능한 지식근로자로 자리잡아야 한다. 이 책은 ‘지식사회 이해하기’, ‘한국 2030’, ‘길러야 할 역량’ 등 총 3부 12장으로 구성되며, 1부·2부·3부는 순차적 과정으로 구조화된다. ‘제1부’는 지식사회를 이해하는 과정이고, ‘제2부’는 ‘제1부’의 토대 위에 ‘2030 한국’에 대한 안목과 통찰력을 키우는 과정이다. ‘제3부’는 ‘제1부’와 ‘제2부’의 토대 위에 ‘2030 지식근로자’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역량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9788973278572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 실태 (서울시 노원구 사례)

이종선, 박영삼, 박성국, 안종기  | 백산서당
28,800원  | 20240630  | 9788973278572
노원구 사업체 노동자 실태조사 연구는 지역 내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 특성 및 현황을 분석하고 심층 면접조사를 통해 노동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정책과제를 제안한다.
9788973278541

군비통제론

김성진  | 백산서당
35,100원  | 20240520  | 9788973278541
「군비통제론」은 교육기관, 일반대학교의 군사학과 및 부사관학과, 군장학생, 사관생도, 그리고 국방ㆍ안보 분야 연구자들을 위해 작성한 군사학 총서(叢書) 제7권이다. 국제사회엔 항시 ‘정글의 법칙’이 난무하기에 분쟁(갈등)이 끊이지 않는다. 러-우ㆍ이-하 전쟁은 종전(終戰)될 기미나, 출구 전략은 보이지 않은 채 어제의 적이 오늘은 우방이 되는 마법을 보여주고 있다. 어떠한 유형의 국가일지라도 비정한 리그(league)에서 벗어날 수 없는 구도여서다. 따라서 국가의 존립과 국익을 추구하려면, 과감한 결단력과 지혜로움, 올바른 전략적 판단, 내구력(耐久力)을 갖춰야 한다. 강한 용기와 진정한 힘만이 적국(잠재적국)의 도발 의지를 억제(최소화)할 수 있다고 함이 올바른 표현이다. ‘힘이 있는 척하는 국가’와 ‘진정한 힘을 가진 국가’가 경쟁하면, 완전히 다른 결과물이 나오는 것은 이러한 연유에서다. 병아리가 껍데기를 깨고 나오려면, 스스로는 내부에서, 어미 닭은 외부에서 서로가 끝없이 쪼아대는 ‘줄탁동시(啐啄同時-동시ㆍ연속ㆍ지속성)’가 되어야 새로운 세상을 맞이할 수 있는 이치와 다를 바 없다. 중세 지배계층(통치집단)은 국가안보를 기치(旗幟)로 내걸었으나, 그들만의 이익을 챙기는 데 급급하였다. 프랑스 혁명(1789)이 총력전(Total War) 양상으로 변화되자 국가는 국민적 호응을 높이기 위한 명분이 필요했다. ‘절대 안보’ 개념이 형성되었고, ‘공동ㆍ협력ㆍ포괄적 안보’ 개념으로 진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국가 존립과 국익 추구를 명분으로 하는 ‘군비증강’, ‘군비 감축(군비축소 또는 군축)’, ‘군비통제’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자국 우선주의 법칙(各自圖生)과 진영 논리’가 득세하는 엄혹한 국제관계에서 국가의 존립과 국익을 추구하기 위해선 ‘군비(軍備)를 증강할 것인가?’, 아니면, ‘국민의 안정된 삶(民生)을 위해 군비를 감축할 것인가?’라는 안보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이때 힘으로 힘을 견제하는 게 ‘억지 이론(Theory of Deterrence)’이며, 싸울 수 있는 수단을 통제하는 게 ‘군비통제 이론(Theory of Arms Control)’이다. ‘군비통제(軍備統制-Arms Control)’는 군사력의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보정책이자 국가전략이다. 초기엔 ‘군비(軍備-Arms 또는 military preparedness)’를 ‘군비(軍費-military spending 또는 war expenditure)’라고 해석하였지만, 점차 포괄ㆍ복합적인 의미로 발전하고 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쌍방(다자) 간 군사적 피해를 예방 및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서로가 신뢰해야 하고, 반드시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함을 잊지 않아야 한다. 1987년 ‘미-소 중거리 핵전력 협정(INF)’을 체결할 당시 로널드 W. 레이건 대통령은 미하일 S. 고르바초프 서기장에게 “믿는다. 그러나 검증한다(Trust. But Verify).”라며 군비통제의 본질을 강조하였다. 간단하게 표현한 이 문장이 적국(敵國)과 협의할 땐 상대의 선의(善意)도 필요하지만, 객관적 검증을 통한 신뢰 구축(CBM)이 중요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2023년 11월 북한의 군사 정찰위성(만리경-1호)이 발사되며, 2018년에 체결한 〈9ㆍ19 군사합의〉가 파기되었다. 문서화 노력은 하지 않은 채 상대의 선의에만 의존하는 재래식 군비통제의 취약한 허점이 드러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문득 “협상 여건이 무르익었다고 판단될 때는 정작 군비통제를 추진할 필요가 없고, 군비통제가 필요할 땐 협상하는 자체가 쉽지 않다(When achievable, Arms Control is not needed. and when needed, it is not achievable).”라고 한 군사전문가의 말을 되새겨 본다. 각박한 국제 현실에서 군비통제 협상으로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엔 갈 길이 멀다. 평화(Peace)라는 이상(Idea)을 추구하기보다 현실 정치의 갈등을 관리하는 게 목적이고, 국가 간 영토(권익)의 보장을 최종 상태(End-State)로 보고 있어서다. 결국, 안보위협에 대한 부담은 최소화하되, 국익이 최대한 보장되도록 노력하는 게 군비통제가 존재하는 이유이지 않나 싶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가공할만한 파괴력의 핵무기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되면서 인류 공멸(共滅)의 위기만큼은 막겠다는 절실함이 ‘억지 전략(Deterrence Strategy)’을 등장시켰으나, 실질적인 논의로 진전되진 못했다. 1960~1970년대 들어서면서 국가 존립-국가안보-군비통제의 관계가 어느 정도 설정되었고, 국가목표(국익+민생)와 안전보장을 군비통제 협상으로 해결하자는 인식이 커지면서 변화와 발전이 시작되었다. 이 책은 다섯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먼저, ‘군비통제’의 개념적 정의와 이에 관한 용어들을 이해하기 쉽게 엮었다. 둘째, ‘군비통제’ 협상을 하려면, ‘왜, 무엇을 이해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쌍방 또는 다자간 변화 및 새로운 갈등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사례를 병행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민간ㆍ군사과학기술의 융ㆍ복합적 연계가 필요하며, ‘정책(전략)ㆍ기술적 측면이 왜! 탄력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는지?’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셋째, 군비통제에 관한 논제(agenda)는 유럽 지역에서 가장 먼저 발전하였기에 이들의 용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용어의 생경(raw)함과 혼란을 줄이기 위해 앞 문단에선 소개와 배경 위주로, 해당 장(chapter)에선 내용 전반(全般)을 다뤘다. 넷째, 최대한 일반 용어를 사용하여 메라비언(55:38:7) 법칙과 story-telling 형식으로 풀어가되, 역사적 배경과 사례를 같이 제시함으로써 지적 호기심을 높였다. 다섯째, 공개된 자료를 활용하여 대표적인 군비통제 과정과 레짐(regime)을 분석하였고, 약자(略字)와 관련 사례 등은 각주를 이용하였다. 특히 한반도에 관한 내용은 최대한 학문적 틀에서 벗어나지 않고자 고심에 고심을 거듭하였다. 이 책은 군사학도와 국방ㆍ안보 분야 연구자들에게 군비통제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제시하고, “어떻게 이해 및 실천해야 하는지?”를 안내하기 위한 개념서다. “무엇을 숙지해야 구체적인 행위와 연계할 수 있는지?”, “태도와 행위는 어떠해야 성과를 낼 수 있는지?” 등을 담았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