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해방정국, 분리와 통합의 정치

해방정국, 분리와 통합의 정치

(한국과 오스트리아)

김미경, 김용복, 구춘권, 김학노 (지은이)
백산서당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해방정국, 분리와 통합의 정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해방정국, 분리와 통합의 정치 (한국과 오스트리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73278664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5-09-10

책 소개

오스트리아와 한반도의 해방정국을 ‘분리-통합’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는 책이다. 오스트리아와의 비교를 통해 해방정국 한국에서 필요했지만 가지 않은 길, 혹은 가지 못한 길, 그래서 한반도의 분단을 막지 못한 주된 요인으로 통일된 단일 임시정부 수립 문제에 주목한다.

목차

서 문 / 김학노 ‧ 9

제1부 분석틀과 사례

제1장 분석틀 / 김학노 27
1. 우리 형성의 두 축: ‘분리-통합’과 ‘홀로주체-서로주체’ ‧ 27
2. ‘결정적 국면’과 ‘정치적 호명’ ‧ 33

제2장 사례와 초점: 해방정국 초기 임시정부 수립 문제 / 김학노 ‧ 김용복 ‧ 구춘권 43
1. 비교의 초점: 임시정부 수립 문제 ‧ 43
2. 한반도 사례: 임시정부 문제와 분단국가의 수립 ‧ 51
1) 미군정의 직접통치와 정치세력들의 재편 ‧ 53
2) 소군정의 간접통치와 통치기구의 강화 ‧ 57
3) 한반도의 임시정부 수립 가능성 ‧ 60
3. 오스트리아 임시정부의 수립과 인정 ‧ 62
1) 임시정부의 수립과 정치지형의 변화 ‧ 62
2) 임시정부의 구성과 연방주정부대표자회의의 소집 ‧ 66

제2부 연합국 점령정책과 분리-통합의 국제정치

제3장 미소의 한반도와 오스트리아 점령정책 비교 / 김학노 73
1. 연합국의 자세와 관계 비교 ‧ 75
1) 대(對) 군정 지역 자세 ‧ 75
2) 연합국의 상호 관계 ‧ 81
2. 오스트리아: 단일 임시정부 수립과 확장 ‧ 85
1) 임시정부의 수립 ‧ 87
2) 임시정부의 추인 ‧ 91
3. 한반도: 단일 임시정부 미수립 ‧ 94
1) 남북의 공간 분리 ‧ 95
2) 신탁통치 구상 ‧ 101

제4장 미소의 한반도 점령정책 / 김용복 ‧ 107
1. 38선 분할점령 ‧ 108
2. 전후 미국의 한반도 점령정책 ‧ 114
3. 전후 소련의 한반도 점령정책 ‧ 116
4. 미소공위의 결렬 ‧ 119

제5장 미소의 오스트리아 점령정책 / 구춘권 122
1. 모스크바 선언과 오스트리아 독립선언 ‧ 122
2. 점령권력과 탈나치화 ‧ 125
3. 미국의 오스트리아 점령정책 ‧ 131
4. 소련의 오스트리아 점령정책 ‧ 135

제6장 미소의 독일과 일본 점령 정책 비교: 오스트리아와 한국 점령 정책의 국제적 맥락 / 김미경 141
1. 국가 형성의 결정적 국면으로서 해방정국 ‧ 141
2. 국가 형성에서 영토적 외적 경계의 공고화 문제: 분리 vs. 통합 ‧ 144
3. 미소의 점령정책과 영토적 중심 형성의 문제 ‧ 148
4. 일본 문제의 일부로서 한국 문제: 한반도 분할점령과 38선 봉쇄의 국제적 맥락 ‧ 155
5. 독일문제의 일부로서 오스트리아 문제: 오스트리아 분할점령-공동통치의 국제적 맥락 ‧ 161
6. 한국 vs. 오스트리아: 두 개의 중심 형성 vs. 단일한 중심 형성 ‧ 172

제3부 분리-통합의 국내정치 (1)

제7장 분리 vs. 통합: 대아주의 vs. 소아주의 / 김학노 177
1. 오스트리아: 단일국가의 수립 ‧ 180
1) 국가건설: 정치적・공간적 구심점 형성 ‧ 180
2) 국민건설: 국민 호명과 희생자 신화 ‧ 185
2. 한반도: 남과 북의 분립 ‧ 190
1) 두 개 국가의 건설 ‧ 190
2) 두 개 국민의 건설 ‧ 201

제8장 한반도의 남북분리 / 김용복 207
1. 서울중심주의와 정치세력들의 주도권 경쟁 ‧ 208
2. 북한의 독자적 정치화 ‧ 211
3. 신탁통치논쟁과 남북분리 ‧ 215
4. 미소공위와 ‘남북연합형’ 임시정부 수립? ‧ 219
5. 남북분단으로의 길 ‧ 224

제9장 오스트리아의 분리주의 움직임과 통합의 정치 / 구춘권 226
1. 해방정국의 통합의 정치와 분리주의 ‧ 226
2. 공산당의 분리주의 ‧ 230
3. 구 나치세력의 분리의 정치 ‧ 236

제10장 분리 vs. 통합: 한국과 오스트리아 해방정국의 정치균열 비교 / 김미경 242
1. 해방정국의 좌우 균열에 대한 재인식 ‧ 242
2. 해방정국의 정치균열: 통합 vs. 분리 균열 ‧ 245
3. 한국: 1945년 신탁통치 논쟁과 좌우 분리주의의 부상 ‧ 249
4. 오스트리아: 1945년 총선거와 이념적 분리주의의 몰락 ‧ 262
5. 한국 해방정국의 고유성 ‧ 271

제4부 분리-통합의 국내정치 (2)

제11장 홀로주체 vs. 서로주체: 정치적 호명과 동원 / 김학노 277
1. 오스트리아: 서로주체적 정치 ‧ 279
1) 온건 중도 세력의 헤게모니 ‧ 280
2) 적대적 세력의 공존과 권력공유 ‧ 282
2. 한반도: 홀로주체적 정치 ‧ 284
1) 좌우 극단의 헤게모니 ‧ 285
2) 적대 관계의 심화 ‧ 292

제12장 한반도의 좌우갈등 / 김용복 300
1. 통일된 임시정부 수립과 좌우협력 ‧ 301
2. 건국준비위원회의 결성과 좌우협력 ‧ 303
3. 신탁통치논쟁과 4당 코뮤니케: 광의의 좌우협력 가능성과 실패 ‧ 306
4. 좌우합작운동과 좌우합작 7원칙: 협의의 좌우협력 가능성과 실패 ‧ 309
5. 북한에서의 좌우협력 가능성과 실패 ‧ 314
6. 왜 좌우협력은 실패하였는가? ‧ 317

제13장 오스트리아의 좌우협력 / 구춘권 319
1. 전간기의 정치적 유산: 좌우적대와 보수주의의 급진화 ‧ 319
1) 좌우 정치진영의 특징과 보수주의의 급진화 ‧ 320
2) 좌우적대와 무장충돌 ‧ 324
2. 해방정국의 과거 청산과 좌우협력 ‧ 329
3. 해방정국의 좌우협력의 특징 ‧ 333
1) 11월 선거와 공산당의 약화 ‧ 333
2) 비례성의 원칙 ‧ 335

제14장 1948 vs. 1945: 해방정국에서 총선거 문제 / 김미경 340
1. 가지 못한 길, 총선거를 통한 정부 수립 ‧ 340
2. 오스트리아의 경로: 임시정부의 지역적 수립 후 전국화 ‧ 343
3. 한국의 경로: 미소의 시간벌기 전략과 임시정부 수립의 좌절‧ 349
4. 임시정부 수립의 또 다른 방도로서 총선거 ‧ 355

에필로그 / 김미경 ‧ 367

참고문헌 ‧ 379
찾아보기 ‧ 395

저자소개

김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광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비교의 시각에서 그리고 다양한 이론적 시각에서 한국의 국가와 자본주의에 대한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다. “자본주의 진화와 다양성”(2012), “자본주의 다양성과 유럽 민주적 자본주의의 위기: 1986년 이후”(2015), “유로존 경제위기의 정치적 기원에 대해”(2016), “한국 발전주의적 자본주의의 위기와 반인플레이션 정치”(2016) 등의 연구가 있다.
펼치기
김미경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