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군비통제론

군비통제론

김성진 (지은이)
백산서당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100원 -10% 0원
1,950원
33,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군비통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군비통제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88973278541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24-05-20

책 소개

군사학 총서 제7권이다. 국가 간 갈등과 분쟁 해소 방안으로 사용하는 군비 통제의 역사를 이해하고, 촉진요인과 한계, 현실 정책은 무엇이며, 무엇이 문제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목차

▷ 프롤로그⋅3
▷ 학습 진행 개요⋅6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1장 군비통제(軍備統制)란 무엇이며, 왜! 등장했는가?

제1절 개요 23
1. 군비통제가 등장한 배경은?⋅23
2. 군비통제의 일반적 정의 및 개념⋅26
3. 군비통제의 역할과 목적⋅35
4. 군비통제의 촉진 요인⋅44
5. 군비통제와 관련되는 용어 이해⋅53
제2절 군비통제 검증(verification)에 관한 이해 66
1. 개요⋅66
2. 군비통제 검증의 기본 개념과 발전 과정⋅69
3. 군비통제 유형별 구분 및 추진 방식⋅73
4. 군비통제의 검증(verification) 방식⋅90
제3절 논의 및 시사점 101
1. 군비통제에 관한 함의(含意)⋅101
2. 검증에 관한 함의(含意)⋅102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2장 군비통제의 일반적 기능과 한계(限界)

제1절 개요 109
제2절 군비통제의 3대 기능과 현실적 한계 110
1. 군비통제의 3대 기능⋅110
2. 군비통제의 현실적 한계⋅113
3. 군비통제 협상 추진의 실효성⋅118
제3절 군비통제와 국가 정책의 연계성 121
1. 군비통제와 국가안보의 관계 이해⋅121
2. 군비통제-군비증강-국가안보의 관계 이해⋅132
제4절 논의 및 시사점 137
1. 군비통제와 국가 정책의 딜레마(dilemma)⋅137
2. 전쟁을 방지하기 위한 군비통제 협상의 필요성⋅138
3. 국가안보목표와 군비통제의 현실성⋅139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3장 군비통제의 이론적 배경과 기초 이해

제1절 개요 145
제2절 군비경쟁(Arms Race)과 전쟁의 상관성 이해 151
1. 개요⋅151
2. 군비경쟁 이론(Theory of Arms Race)⋅154
3. 억지 이론(Theory of Deterrence)⋅158
4. 군비통제 이론(Theory of Arms Control)⋅161
5. 군비경쟁-전쟁의 상관성 및 시사점⋅162
제3절 군비통제(Arms Control)와 군사적 안정성 이해 166
1. 개요⋅166
2. 선제공격을 시행할 경우⋅167
3. 방어조치를 시행할 경우⋅167
4. 군비통제-군사적 안정성의 연계⋅168
제4절 논의 및 시사점 170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4장 유럽의 재래식 군비통제 협상 사례

제1절 개요 177
제2절 상호균형 감군협상(이하 MBFR) 180
1. 유럽 정세와 협상을 추진한 배경⋅180
2. NATO-WTO 간 협상의 특징과 한계⋅182
제3절 유럽안보협력회의(이하 CSCE) 189
1. CSCE 체제가 형성된 배경⋅189
2. CSCE 체제의 주요 경과⋅191
3. CSCE의 현실적 한계와 성공 요인⋅193
4. CSCE 진행에 관한 신뢰구축(CBM⋅CSBM)의 발전⋅195
제4절 재래식군사력 감축 조약(이하 CFE) 206
1. CFE 체결 당시 유럽의 안보 환경⋅206
2. CFE 발족 배경과 주변 요인⋅207
3. CFE 협상의 주요 경과 및 평가⋅215
제5절 논의 및 시사점 217
1. 일반적 관점에서의 접근 및 해석⋅217
2. 한반도에 주어진 함의(含意)⋅220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5장 중국-러시아 간 신뢰구축(CBM⋅CSBM) 사례

제1절 개요 229
제2절 중-소(러)의 신뢰구축(CBM⋅CSBM) 과정 232
1. 중-소(러)간 불신(不信)이 형성된 배경 및 원인⋅232
2. ‘상하이 협정’의 CBM 합의⋅240
3. 중-소(러)의 신뢰구축(CBM⋅CSBM) 협상 간 주요 경과⋅243
제3절 논의 및 시사점 248
1. 개요⋅248
2. 신뢰구축(CBM⋅CSBM) 합의의 내용적 측면⋅249
3. 신뢰구축(CBM⋅CSBM) 협상의 타결 측면⋅251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6장 국제 군비통제 체제 및 관련 현황 이해

제1절 개요 259
제2절 핵무기-화생무기-미사일-기타 무기 비확산체제 263
1. 국제 핵무기 비확산체제⋅263
2. 화생무기 비확산체제⋅276
3. 미사일 비확산체제⋅282
4. 기타 무기 비확산체제⋅287

√ 사전에 이해 및 탐구해야 할 과제는?
제7장 한반도의 군비통제 요건과 기본원리 이해

제1절 개요 303
제2절 한반도 대내외적 환경 및 특징 305
1. 한반도의 지정학⋅지경학적 환경⋅305
2. 한반도의 지정학⋅지경학적 특징⋅309
3. 남-북 관계의 기본 성격 진단 및 한계⋅313
4. 남-북 간 군사적 갈등과 군비통제와의 상관성⋅316
제3절 한반도 군비통제의 기본 요건 319
1. 개요⋅319
2. 한반도 군비통제를 추진 시 목표 및 기본 원칙⋅319
제4절 한반도 군비통제의 추진 경과 및 장애 요인 324
1. 개요⋅324
2. 시기별 주요 경과 및 전망⋅324
3. 군비통제의 한계 및 장애 요인⋅341
제5절 한반도 군비통제의 기본 원칙 및 정책과제 353
1. 개요⋅353
2. 동북아 안보정세 및 전망⋅355
3. 남-북 간 군사적 대립 및 경쟁 관계 전망⋅363
4. 남-북 간 군비통제 원칙과 정책적 관점⋅370
제6절 논의 및 시사점 377

▷ 에필로그⋅381
▷ 약어정리⋅382
▷ 참고문헌⋅387
▷ 찾아보기⋅395
▷ 저자소개⋅400

저자소개

김성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길이 아니면 가지 않고, 알지 못하면 말하지 않는다.”라는 통관(洞觀)적 인식을 추구하는 저자는 경북 김천에서 태어나 초⋅중⋅고등학교를 마쳤다. 이후 동국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육군 대령(ROTC #21)으로 예편하였다. 국립 경상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에서 ‘정치학석사(국가안보전공)’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학박사(안보전략전공)’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경력> -현) 경기북부보훈지청 교수⋅교육분야 멘토 -현) (사)대한민국ROTC통일정신문화원 논설위원 ‘2021~2022년, 대한민국을 이끄는 오피니언 혁신리더상(안보부문, 한국언론기자협회)’ 수상 -현)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객원연구위원, 국방⋅안보 칼럼니스트 -현) 재향군인회 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현) (사)한국유권자총연맹 국방정책포럼위원장 / 부총재 -현) (사)국민정책평가원 사무총장 / 부원장 -현) 국민정책평가신문 책임논설위원 등 -한국외대 안보협력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사)글로벌전략협력연구원 국방전략연구센터장, 극동대 군사학과 외래교수, (사)한국융합안보연구원 위기관리연구센터장 -충남대학교 국가안보융합학부 국토안보학전공 초빙교수 ‘2017~2019, 3년 연속 군장학생 전국 최우수/최다 합격률’ 달성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강사 -대전지방보훈청 교수⋅교육분야 멘토 -대한민국 ROTC 중앙회 후보생제도발전위원회 위원장 외 ‘2014 국방부 최우수대학교/학군단’, ‘2012~2014 종합우수 학군단’, ‘2008 합참지 최우수 원고상’ 수상 <주요 저서 및 연구 논문> -『군사전략론』, 서울: 백산서당 -『국가위기관리론』, 서울: 백산서당 -『초급장교 선발 면접 특강: ROTC 후보생, 학사⋅예비장교, 군장학생(共著)』, 서울: 백산서당 -『세계전쟁사』, 서울: 백산서당 -『전쟁사와 무기체계론』, 서울: 백산서당 -『군사협상론』, 서울: 백산서당 -『한국 육군의 장교단 충원제도와 직업 안정성』, 서울: 백산서당 * “비전통적 안보위협과 한국 국가위기관리체계의 효율성 증대방안: 통합방위체계를 중심으로,” * “한국의 위기관리 체계와 군사 대응기구의 효율성 고찰: 법령체계와 구조, 운영 기능을 중심으로” * “한국 국가위기관리체계의 효율성 제고 방안 고찰: 국가위기관리체계와 통합방위체계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 “테러 발생 시 軍 테러 대응체계의 실효성 증대방안 고찰: 軍의 합동조사반(팀) 활동을 중심으로” * “급조폭발물(IED) 테러와 한국군 대응체계의 효율성 증대방안 고찰” * “급변사태 시 자유화 지역 민군작전의 실효성 증대방안 고찰: 보병사단급 이하 부대를 중심으로” 외 다수 <보유 자격증> -중등 정교사(2급), 재난관리사, 인성지도사, 심리상담사, 리더십 강사, CS 강사, CSLeaders, 한자 1급, 문서실무사 1급 등 16종(種).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