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보는 선불교
Bernard Faure | 운주사
40,500원 | 20230608 | 9788957467374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종교학을 가르치는, 주목받는 연구자인 저자가 ‘직접성’과 ‘즉각성’이라는 선불교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을 비판하면서, ‘매개’와 ‘주변부’ 개념을 중심으로 선에 대해 완전히 새로운 관점과 연구 방법론을 보여준다. 전통적인 관점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저자의 이러한 통찰과 해석이 독특함을 넘어 다소 충격적으로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불교는 교리적으로나 역사적으로 개방성과 포용성, 그 결과로서 융합과 혼종을 특성으로 가진다. 따라서 동아시아에서 발전한 선종(선불교) 역시 다른 전통과 신앙, 사상 등과 뒤섞임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저자의 주장에 의하면, 8세기에 이르러 ‘돈교’가 선의 정통으로 대두하면서 주변으로 밀려난 주요 개념 가운데 하나가 ‘매개’다. 이 ‘매개’가 이 책의 핵심 개념이다.
직지인심直指人心ㆍ견성성불見性成佛을 종지로 내세우는 선은 대체로 공안 또는 화두를 통해 ‘단박에’ 깨달아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어떠한 전통적인 매개도 거부하고 집요하게 직접성(mediacy) 또는 즉각성을 주장한다. 이는 그대로 의례주의에 대한 비판, 성상파괴적이고 반율법주의적인 입장으로 이어졌고, 선의 전통으로 자리잡았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수많은 사람들을 매료시킨 선의 가장 큰 특징이고 본질이라고 여겨졌다.
그런데 과연 그것이 선 전통의 실상일까? 저자는 이러한 선 전통은 허구이며 환상이라고 보고, 그런 선 전통은 해체되어야 한다고까지 역설한다.
저자는 선 전통에 관한 기존의 관념을 해체하고 선이 어떻게 하나의 전통으로 형성되는지를 새롭게 검토하기 위해서 방법론적으로 유연하고 열린 입장을 취한다. 그가 해석학적 접근과 수사학적 접근, 구조적 접근과 역사적 접근, 신학적 접근과 문화 비평적 접근, 문화인류학적 접근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론들을 활용한 것도 그 때문이다.
저자는 이런 다양한 접근 방법들을 통해서 선 수행과 교리의 여러 차원들을 직접/매개, 돈/점, 중심/주변, 정통/이단, 해석/수사, 묘사/지시, 소통/수행 등과 같은 몇 가지 패러다임으로 구조화되는 양상들을 밝히려 한다. 이를 위해 그는 전통적으로 수행과 깨달음을 강조한 선에서 간과하거나 배제해 왔던 여러 상징(물)들, 즉 유물과 미라, 도상, 의례, 꿈, 성과 여성, 계율의 위반 등에 주목했으며, 선의 주변부에서 활동하며 선 전통의 형성에 영향을 끼친 경계적 인물들도 중요하게 다룬다. 이렇게 해서 ‘순수 선’은 이념적으로 구축된 것일 뿐임을, 실제로는 선이 다른 문화적 요소들과 정치 권력, 민간 종교나 토착 신앙 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전통을 형성한 일종의 ‘혼종’임을 밝힌다.
저자는 주요한 연구 방법론으로, 구조 속에 숨은 상수常數들을 찾는 작업을 하는데, 이렇게 찾아낸 선의 주요 상수 중 하나가 매개성(mediacy)과 직접성(immediacy) 사이의 변증법이다. 달리 말하여 ‘점漸’과 ‘돈頓’, 즉 ‘매개 과정을 통한 깨달음’과 ‘매개 없는 직접적 깨달음’ 사이의 변증법적 긴장이라고 하겠다. 다원적이고 포용적인 선과 종파적이고 배타적인 선 사이의 변증법, 단선적인 시각과 집체적인 시각 사이의 긴장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이 책은 새로운 연구 방법이나 접근 방법을 제시해 선불교를 더 폭넓게 다각도로 보아야 함을 일깨워줌으로써 성찰과 반성을 촉구한다. 또 여러 가지 패러다임이 변증법적으로 왕복하면서 하나의 전통을 형성하므로 그 변증법적 긴장을 읽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자가 선의 전통을 이야기하면서 초기불교와 탄트리즘, 중국 및 일본의 토착신앙 등을 폭넓게 다룬 까닭도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