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선불교의 교육사적 근원

한국 선불교의 교육사적 근원

(선문의 사제관계와 선사들의 교육사상)

진창영 (지은이)
동국대학교출판부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400원 -5% 0원
960원
29,4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선불교의 교육사적 근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선불교의 교육사적 근원 (선문의 사제관계와 선사들의 교육사상)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78017923
· 쪽수 : 574쪽
· 출판일 : 2025-09-18

책 소개

신라하대, 혼란한 시기 속에서 불꽃처럼 등장한 선불교는 단순한 수행법이 아닌, 스승과 제자가 마음을 통해 진리를 전하는 깊은 교육의 전통이 있었다. 이 책은 한국 선불교의 기원과 전개를 ‘교육사’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여 그 속에 깃든 교육적 원리와 사제관계의 의미를 밝혀낸다.

목차

머리말 _ 5
그림 차례 _ 17

제1부
신라하대 불교 선문의 사제관계와 선사들의 교육사상: 개창조와 그 제자들 19


1장 서론 _ 21
1. 문제 제기와 연구의 필요성 _ 21
2. 연구 내용과 선행 연구 _ 27
3. 원전 자료와 연구 방법 _ 37

2장 선불교의 도입 배경과 선의 교육학적 이해 _ 41
1. 선종의 형성과 동아시아 불교에서의 위상 _ 41
1) 선종의 형성 _ 43
2) 선종의 동아시아 불교에서의 위상 _ 49
2. 선불교 도입의 시대·사회적 배경 _ 58
3. 선불교 도입 전·후기 불교 교육과 선의 교육학적 이해 _ 67
1) 선불교 도입 전·후기 불교 교육 _ 67
2) 선의 교육학적 이해 _78

3장 사제관계의 성립과 선문별 특징 _ 95
1. 선불교의 도입 과정과 선문의 형성 _ 95
1) 도입 과정 _ 95
2) 선문의 형성과 정착 _ 106
2. 사제관계의 성립과 선문별 특징 _ 115
1) 선불교 도입과 선문 개창기 : 가지산문·실상산문 _ 123
2) 선불교 정착·발전기 : 동리산문 _ 142
3) 선문 분화기 : 희양산문·사굴산문 _ 159
3. 소결론 _ 186

4장 선사들의 교화실천과 교육사상 _ 189
1. 선사들의 구도와 교화실천 _ 190
1) 도의의 구도와 교화실천 _ 193
2) 혜소의 구도와 교화실천 _ 201
3) 혜철과 도선의 구도와 교화실천 _ 218
4) 무염의 구도와 교화실천 _ 234
5) 도헌과 긍양의 구도와 교화실천 _ 253
6) 범일의 구도와 교화실천 _ 274
7) 소결론 _ 279
2. 선사들의 교육사상 _ 281
1) 도의의 선사상과 교육사상 _ 282
2) 홍척의 선사상과 교육사상 _ 292
3) 혜소의 선사상과 교육사상 _ 298
4) 혜철의 선사상과 교육사상 _ 305
5) 무염의 선사상과 교육사상 _ 319
6) 도헌의 선사상과 교육사상 _ 330
7) 범일의 선사상과 교육사상 _ 342
8) 소결론 _ 352

5장 결론 _ 354
1. 정리 및 교육사적 의의 _ 354
2. 현대 교육에의 시사점 _ 366

한글 요약 _ 372
영문 요약Abstract _ 375

제2부
신라하대 불교 선문 개창조 선사들의 교화와 교육사상 381


1장 도의·체징선사의 선불교 교화와 교육사상 _ 383
1. 문제의 제기 _ 383
2. 선과 교육 : 목적과 방법 _ 386
3. 선불교 도입 이전의 신라불교 _ 389
4. 선의 도입과 선사들의 교화실천과 교육사상 _ 391
1) 선의 도입과 ‘도의’의 교화실천 _ 391
2) 체징의 교화실천과 가지산문 개창 _ 399
3) 도의와 체징의 교육사상 _ 401
5. 선의 교육적 의의 _ 409
6. 마무리 _ 412

2장 홍척·무염선사의 선불교 교화와 교육사상 _ 414
1. 문제의 제기 _ 414
2. 홍척·무염의 교화실천과 교육사상 _ 418
1) 증각홍척선사의 교화실천과 교육사상 _ 418
2) 낭혜무염선사의 교화실천과 교육사상 _ 429
3. 선불교 전파의 교육적 의의 _ 441
4. 마무리 _ 442

3장 진감선사의 선불교 교화와 교육사상 _ 446
1. 문제의 제기 _ 446
2. 생애의 교육적 의미 _ 453
1) 생애 _ 453
2) 생애의 교육적 의미 _ 459
3. 교화실천 _ 461
1) 당시 교학불교와의 대비 _ 461
2) 쌍계산문의 형성과 교화실천 _ 465
4. 교육사상 _ 472
5. 선과 수행의 교육적 의미 _ 477
6. 마무리 _ 482

제3부
신라의 선불교 도입 전·후 교육과 유·불 교육의 비교 485


1장 신라 선불교 도입 전·후기 대중불교의 사례로 본 불교 교육 _ 487
1. 머리말 _ 487
2. 이 시대 불교 교육의 개요 _ 489
3. 논서에 나타난 미륵신앙 : 원효의 미륵경 논서에서 _ 493
4. 화랑과 대중사회의 미륵신앙 실천 : 『삼국유사』에서 _ 501
5. 마무리 _ 508

2장 지눌과 퇴계의 공부방법 비교: 돈오·점수(頓悟·漸修)와 거경·궁리(居敬·窮理) _ 510
1. 머리말 _ 510
2. 지눌의 불교 수행관 _ 514
1)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의 교육적 의미 _ 518
2) ‘원돈신해문(圓頓信解門)’의 교육적 의미 _ 519
3) ‘경절문(徑截門)’의 교육적 의미 _ 521
3. 퇴계의 공부법 : 거경(居敬)·궁리(窮理) _ 523
4. 두 공부법의 비교 _ 530
1) 상호 보완의 관점 _ 531
2) 깨달음의 단계의 관점 _ 533
3) 교기질(矯氣質)의 관점 _ 535
4) 유사성의 비교 _ 537
5. 마무리 _ 538

참고문헌 _ 543
찾아보기 _ 556
저자소개 _ 572

저자소개

진창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 경남 합천생. 한국 현대문학으로 출발, 2000년대 초반 불교문학의 울림과 함께 불교 교육의 세계로 가게 되었다. 중국 당·송(唐·宋)대와 한국 고대 불교의 교육적 의미를 살피는 동양고대교육사 분야였다. 마침 이시대 우리 불교는 백성의 계도와 교육에 큰 역할을 하였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고, 주로 치국으로 활용된 유교의 교육 제도 관련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유교가 ‘치국의 도’로서 제도권 교육의 이념이었다면, 불교는 ‘수신의 도’로서 대부분 백성들의 인성 교육과 교육 본래의 역할을 담당하는 덕목이었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아주 희소했다. 부족하고 산만한 자료를 찾고 정리한 뒤 교육의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논점을 드러내기가 어려웠기 때문으로 본다. 초창기 우리 선사들의 선어록, 비문들을 찾아 읽음에 있어 문맥과 뜻풀이에 필요한 언어적 상상과 배경 역사를 함께 고려해야 함은 문학 읽기와 다르지 않았다. [학력·경력·학회 활동]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박사 동아대학교 문학박사 위덕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육학부 교수 (1996~2021) 미국 Brighum Young University (Utah U.S.A) 근동아시아학부 파견교수(2016~2017) 위덕대학교 명예교수, 현 한국교육사상학회 (2007~ ) 한국종교교육학회 (2007~ ) 한국교육사학회 (2009~ ) 국제언어문학회장 (2009~2010) 동남어문학회장 (2014~2015) [논문, 저서] - 교육학 분야 「동학의 생태교육사상 연구」 (석사논문, 2006. 8) 「신라하대 불교 선문의 사제관계와 선사들의 교육사상 연구」 (박사논문, 2023. 2) 「동학사상의 교육내용과 생태교육」 (「종교교육학연구」 제24권) 「진감선사의 선불교 교화실천과 교학사상의 교육적 의의」 (「교육사상연구」 제24권 제3호) 「신라하대 선불교 도입기 선사들의 교화실천과 교학사상」 (「교육사상연구」 제29권 제4호) 「신라하대 선불교 전파기 선사들의 교화실천과 교학사상」 (「한국교육사학」 제41권 제4호) - 문학 분야 「시문학파 연구」(박사논문, 1993. 12) 외 논문 다수 『한국현대시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탐색』 (새미, 1998) 『우리 시의 신라정신과 노장의 생태주의』 (국학자료원, 2007), 2008년도 대한 민국학술원 선정 기초학문 육성 우수도서 『작가 작품론의 정체성과 이데올로기』 (박문사, 2010, 7인 공저) 『한국문학 속의 합천과 이주홍』 (국학자료원, 2012, 10인 공저, 대표저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