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선집"(으)로 2,02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57339886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니체선집 아카넷 25주년 특별판)

프리드리히 니체  | 아카넷
31,500원  | 20250725  | 9788957339886
당신은 어떤 존재로 거듭날 것인가 영혼을 흔드는 차라투스트라의 목소리, 박찬국 교수의 충실한 번역으로 당신 안의 ‘초인’을 깨우다! 아카넷은 창립 25주년을 맞아, 독자들이 오랫동안 기다려 왔던 니체의 대표작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특별한 장정으로 선보인다. 니체 철학의 권위자 박찬국 교수(서울대 철학과)가 원작의 의도를 분명히 살려 번역하고, 2200여 개의 풍부한 주석과 니체 사상의 전모를 아우르는 해설을 더하여, 독자들이 난해한 고전을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워크룸프레스의 아름답고 대담한 디자인으로, 기존 철학서와는 다른 새롭고 강렬한 독서 경험을 선사한다.
9788960011007

전원범 문학선 99 (선집)

전원범  | 타임기획
13,500원  | 20230429  | 9788960011007
‘해의 시인’ 전원범, 시력 60년을 맞아 문학 전집 펴내 해를 다룬 연작시 70여 편을 발표해 '해의 시인'이라고 불리는 우송 전원범 시인이 등단 60주년을 맞아 문학전집을 펴냈다. 전 시인은 1944년 전북 고창에서 태어나 1972년 광주일보 전신인 옛 전남일보 신춘문예(동시)로 등단했다. 이후 월간문학 신인상(동시·1973), 중앙일보 중앙문예 당선(동시·1975), 시조문학 시조 천료(1978), 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시조·1981), 시문학 천료(시·1981) 등 동시와 시, 시조를 넘나들며 창작 활동을 펼쳐왔다. 그는 "시는 일상의 말이 아니다. 시인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해석된 말이다. 시는 어렵지 않아야 한다. 나는 시로 써야 할 것은 시로, 시조적 양식에 맞을 것은 시조로, 동시적 정서는 동시로 쓴다"고 강조해왔다.
9791167375865

새와 개와 사람과 (수필선집)

한말숙  | 은행나무
16,200원  | 20251001  | 9791167375865
한말숙 문학선집 3권 『새와 개와 사람과』 출간 소설가 한말숙(韓末淑)의 문학 세계를 집대성한 「한말숙 문학선집」의 세 번째 권인 수필선집 『새와 개와 사람과』가 출간되었다. 1권 단편선집 『신화의 단애』와 2권 장편소설 『아름다운 영가』에 이은 수필선집은 모두 50여편의 수필을 ‘1부 2022년의 추석의 달’, ‘2부 사랑할 때와 헤어질 때’로 나누어 대표작을 망라했다. 등단 69년을 맞이한 작가의 ‘자서전 같은 수필들’에서 작가는 ‘울리고 웃기면서 또한 감동에 오랫동안 떨게 하면서 명작들은 오랜 세월 나의 혼을 깨끗이 씻어 주었다. 그 명작들은 내게 사람을 알게 하고, 인생과 세상을 알게 하고 그것에 대해 깊이 사색하게도 해주었다.’라며, 인간과 세상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담아냈다. 2001년부터 2024년까지 쓴 산문들 중에서 추린 ‘1부 2022년의 추석의 달’ 에서는 화가 천경자가 위작 문제로 마음 고생하던 얘기를 소개하며 그녀의 대표작 “꽃과 여인”을 구매하게 된 사연과 저자의 대학 동기인 소설가 박완서와 친구로 지내면서 일어났던 웃지못할 해프닝을 들려준다. 또한 저자의 대학 2년 후배인 평론가 이어령과의 사이에 얽힌 사연도 흥미롭다. 이어령은 저자의 등단작 〈신화의 단애〉를 두고 당대의 소설가 김동리와 ‘실존주의다’ ‘아니다’로 2주간 지상토론을 벌여 일약 문단의 총아로 떠올랐다. 2부 ‘사랑할 때와 죽을 때’는 작가가 등단하던 해인 1957년부터 2008년까지 발표한 글 중에서 뽑았다. 저자는 중학교 2학년 때 셰익스피어의 『줄리어스 시저』를 읽고 큰 감동을 받아 세계문학전집을 통독하며 고전에 빠져들어 ‘소설을 쓰게 된’ 삶을 살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세계명작 문학이 보여준 어마어마한 신천지 덕에 나는 수없이 많은 인간과 인생을 보았고, 천지개벽 이래의 인간의 마음과 역사를 보았다.’고 쓰고 있다. 이밖에도 명동 ‘갈채다방’을 아지트삼아 조연현, 김동리, 오영수, 손소희, 박재삼, 천상병 등 문인들과 교류한 50년대의 문단 이야기를 통해서는 전쟁 후 어수선하고 가난했지만 낭만과 예술을 향한 뜨거운 열정이 있던 당시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9791174570697

종합시선집

김승종  | 한국학술정보
36,000원  | 20250711  | 9791174570697
본 책은 竹林 金勝鐘 시인이 문단 등단 40여년래의 발자취를 집대성한 것로서 "세상에 둘도 없는 최초의..."것, 그 야심작!!! 한글 시, 중문역 시, 삽화, 서예, 평론 등 다섯개부분이 서로서로 어우러진 문단유사상 유일무일한 책!!!
9791194442264

깨끗한 매미처럼 향기로운 귤처럼 (이덕무 선집)

이덕무  | 돌베개
13,500원  | 20250602  | 9791194442264
이 책은 청장관(靑莊館) 이덕무(李德懋, 1741∼1793)의 시와 산문을 선별해 번역한 책이다. 이덕무는 조선 후기의 뛰어난 문인이며 지식인이다. 대문호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벗이요 제자로서 오랜 기간 교유한 것은 물론, 정조가 설치한 규장각(奎章閣)의 초대 검서관(檢書官)으로 임명되어 자신의 박학과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하기도 하였다. 이덕무가 살았던 당대 조선은 이른바 실학의 기운이 무르익는 시기였다. 이 새로운 흐름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던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 바로 이덕무다. 그는 당시 가장 선진적이고 비판적인 지식인 동인(同人)이라 할 ‘연암그룹’의 핵심 멤버로서, 그들과의 활동을 통해 당대 조선의 지적 흐름을 선도한 인물이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그의 롤모델로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를 언급하면서, 고난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지키는 이덕무의 집념과 끈기에 대해 강조한 바 있다.
9791112014672

단편 선집 1

정철호  | 부크크(bookk)
11,000원  | 20250626  | 9791112014672
정철호의 단편 선집 1은 총 5편의 단편을 수록했다. 가행도, 귀뚜라미, 일수불퇴, 할라스와 엄마의 집이다. 가행도라는 말은 번뇌를 끊기 위하여 다시 힘을 더하여 수행하는 경지이다. 이 단편에서는 자폐아를 둔 아버지의 인생 이야기를 다루었다. 귀뚜라미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50대 서민 남자의 삶을 기록했다. 일수불퇴라는 말은 바둑을 둘 때 쓰는 말로써 한 번 둔 돌을 무르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 단편에서는 인생에 대한 의미를 어린아이의 시점에서 바라보았다. 할라스는 중동의 모래 폭풍을 이르는 말이다. 1980년대 중동 붐 당시 동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아버지의 이야기이다. 엄마의 집은 평생동안 다섯 아들을 위하여 자신을 희생하며 키운 엄마의 이야기이다. 소설이란 슬픔을 딛고 가는 것이다. 이 단편집을 통하여 슬픔을 달게 삼켰으면 한다.
9788964374900

정의와 자연법 (정치철학 선집)

빌헬름 라이프니츠  | 후마니타스
14,400원  | 20250922  | 9788964374900
합리주의적 자연법과 정의를 옹호한 철학자이자, 홉스의 절대주의와 로크의 자유주의 사이에서 ‘합리적 중용’의 원리를 제시한 라이프니츠의 정치·윤리 저작 가운데 대표적이고 영향력 있는 텍스트에 대한 최초의 번역 소개 이 책은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라이프니츠의 정치철학 논문 선집이다. 그간 라이프니츠는 모나드 형이상학자이자 미적분을 발견한 수학자로만 알려져 있을 뿐이었다. 이 같은 사정은 비단 한국에서만 그런 것은 아니었다. 해외에서도 라이프니츠의 정치와 도덕에 관한 대표 저작들이 그의 생전에 출판된 적이 없었고, 유고로 남겨진 단편이나 서신, 초안 등도 비교적 최근에 출간되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라이프니츠는 아주 이른 나이에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그의 직업이 여러 제후들의 법률 자문관이었으며, 또 청년기에는 이상적 법학의 완성을 목적으로 법학의 개선과 자연법의 원리에 관한 글을 집필했다는 사실, 그리고 널리 알려져 있듯이 『만민 외교법』이라는 국제법 형성사에 영향력 있는 저작을 남겼다는 점을 고려하면, 자연법 철학과 정의 개념에 관한 저작들을 중심으로 그의 정치철학, 도덕철학에 새롭게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물론 완결된 이론이나 철학을 담고 있는 대표작 없이 여러 단편 저작을 통해 학자의 철학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것이 생소하다고 여길 수 있다. 하지만 동시대 다른 학자들과 달리 라이프니츠라는 학자의 철학을 연구하는 데에는 단편 저작을 읽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여러 단편 저작들을 비교하면서 공통적인 주장의 중요성과 의미를 파악할 수 있고, 다른 부분들을 통해 주요 이론을 여러 방식으로 설명하는 것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여기 번역된 저작들 중 라이프니츠가 1703년에 쓴, 정의 개념에 관한 두 저작은 라이프니츠의 정치철학, 도덕철학의 핵심인 정의 이론을 잘 담고 있어서 학술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대중 독자들에게도 알리고 권하고 싶은 글이다. 인류 역사상 ‘정의’라는 말이 문제가 되지 않았던 시대는 없었기 때문이다. 라이프니츠의 정치 저술은 이처럼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소홀히 다뤄졌으나, 최근 들어 윤리·법·국제 관계 및 국가 이론에 미친 영향이 재평가되고 있다. 이 선집은 라이프니츠 정치사상의 폭넓은 맥락과 그의 고전적 관점·유럽적 비전·철학적 민주주의와 법적 원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로 간주될 것이다.
9791163722359

시조선집 2

이병기  |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30,600원  | 20241225  | 9791163722359
『가람 이병기 전집』은 한국 근현대 문학사의 체계를 정립하고 학문적 유산을 보존하며, 한국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중요한 성과다. 2014년 4월 전북대학교 개교 70주년 기념사업으로 시작된 간행 사업이 2024년 12월 『가람 이병기 전집』 총 30권으로 완성되었다. 『가람 이병기 전집』은 전북대학교를 중심으로 약 10년에 걸친 체계적 조사를 통해 연구와 창작물을 집대성한 결과다. 국문학, 국어학, 서지학, 교육학, 민속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단행본, 학술지, 잡지, 신문에 실린 글과 함께 육필 노트, 일기, 서간 등 미간행 자료까지 수록되었다. 특히, 원본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가독성과 신뢰성을 높인 편집 방식을 채택해 현대 연구자들이 학문적 정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9791163722342

시조선집 1

이병기  |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9,100원  | 20241225  | 9791163722342
『가람 이병기 전집』은 한국 근현대 문학사의 체계를 정립하고 학문적 유산을 보존하며, 한국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중요한 성과다. 2014년 4월 전북대학교 개교 70주년 기념사업으로 시작된 간행 사업이 2024년 12월 『가람 이병기 전집』 총 30권으로 완성되었다. 『가람 이병기 전집』은 전북대학교를 중심으로 약 10년에 걸친 체계적 조사를 통해 연구와 창작물을 집대성한 결과다. 국문학, 국어학, 서지학, 교육학, 민속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단행본, 학술지, 잡지, 신문에 실린 글과 함께 육필 노트, 일기, 서간 등 미간행 자료까지 수록되었다. 특히, 원본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가독성과 신뢰성을 높인 편집 방식을 채택해 현대 연구자들이 학문적 정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9791167242488

어른들은 보아뱀을 모자라 한다 (노영임 시선집)

노영임  | 고요아침
13,500원  | 20250815  | 9791167242488
39년간 교직에 머물었던 노영임 시인 그동안 써왔던 시조와 짧은 단상을 모은 시선집 『어린 왕자』는 내 영원한 애인이다. 가끔 밤하늘을 올려다보는 것은 그가 살고 있는 별을 아련히 떠올리며 잠시 그리워하는 내 나름의 의식이다.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뭘 하고 싶은지, 어른들은 왜 모를까?” “어른들이랑은 말이 안 통한다니까!” 어릴 적, 너무 답답해서 소리치고 싶었던 외침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나도 누군가에게 똑같이 답답한 어른이 되어가고 있는 건 아닐까? - 머리말 중에
9791167972378

박주택 시선집

박주택  | 국학자료원
34,200원  | 20250620  | 9791167972378
그러면서도, 생명을 낳고 뜨거운 혈맥을 찾아 계곡을 건너온 물소리가 굽이굽이 천정을 울리고, 허물을 벗는 바람을 얼러 등 굽은 회양목 아래서 또다시 깊은 잠을 자리라. 그때는 겹겹의 사랑이 땅끝에서, 살아 있는 나를 눈물겹게 껴안아 주리라. 내 입의 불, 어두운 저녁녘에 그려내는 내 눈의 太陽. 꿈의 세계로부터 빛나는 아름다운 약속. 지평을 밝히는 꿈으로 새는 날아가고 머리에 불꽃을 이고 아침. 나는 잠을 깬다. 일찌기 내가 貨車를 타고 이주해 온 숲의 아침에 맑은 햇살이 거미줄을 투명하게 비춰주고 보물과 곡식들이 가득찬 나라에서, 말하리라. 깊이를 숨긴 고독 속 새로 남아 내 굴레가 무엇이며 어떤 속박으로 죄어드는가를. 그때, 사과나무에서 꽃이 피고 양떼들의 풀밭에 양떼구름이 어떻게 순례하는가를. - 「꿈의 이동건축」 부분
9791168151116

기억의 형용 (동시영 시선집)

동시영  | 황금알
19,000원  | 20250616  | 9791168151116
동시영의 시선집 『기억의 형용사』는 그동안 펴낸 열 권의 시집이 집성集成된 미학적 결실이다. 그는 이제 삶의 연륜에서 빚어지는 오랜 감동과 깨달음의 세계를 노래함으로써, 그 안에 나날의 삶에 대한 발견의 순간을 녹이고, 인간과 세계를 원초적으로 이어주는 고리로서의 언어를 열망해간다. 그래서 그의 시는 우리에게 이성적 사유를 위한 계기를 제공하기도 하고, 실천적 삶에 대한 자극을 주기도 하며, 시인 자신의 순수 원형을 상상케 함으로써 어떤 삶의 표지標識가 되어주기도 한다. 그가 수행해가는 이러한 시쓰기의 도정은 삶의 순간순간을 지탱해온 운동의 결과로서, 시인 스스로의 실존적 조건을 힘겹고도 아름답게 유지해가는 원리로 각인되어간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시를 통해 앞으로 살아갈 날들의 지남指南을 탐색해갈 수 있었으리라. 결국 동시영의 시는 서정의 원리에 대한 섬세한 감각, 삶의 근원과 구체성에 착목한 의미 있는 성취로 우리 문학사에 남을 것이다. 그는 우리 시대의 불모성에 대한 유력한 항체를 쉼 없이 만들어냄으로써 자신만의 고전적 사유와 감각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시인은 자신이 오랜 시간 바쳐온 등불 같은 사유와 감각을 통해 자신의 시편들을 더욱 밝혀갈 것이다. 또한 그의 기억을 만들어준 소재 역시 그 스스로 만나온 사람과 사물이었으니, 앞으로도 이러한 것들이 동시영 시의 확고한 바탕이자 궁극이 되어줄 것이다. 그만큼 그는 존재론적 기원을 환기하는 시공간에서 생의 근거ground를 구성하면서 또 다른 시쓰기를 향해 나아갈 것이다. 그 ‘또 다른 시쓰기’의 모습은 그 특유의 실존적 성찰과 함께 다양한 형식과 기법, 구조적 완결성을 구축해가는 ‘동시영 브랜드’의 과정으로 하염없이 이어져갈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오랫동안 이어져온 ‘시인 동시영’의 이러한 아름다운 언어와 사유가 우리 시단을 출렁이게 하는 것을, 매혹의 눈으로 바라보게 될 것이다.
9791130822358

시사백 사무사 (오세영 시선집)

오세영  | 푸른사상
49,500원  | 20250415  | 9791130822358
문학적 영토를 다져 온 60년 문학의 길 오세영 시인의 시선집 『시사백 사무사(詩四百 思無邪)』가 푸른사상사에서 출간되었다. 60여 년간 문학의 길을 걸어오며 썼던 시 작품 중에서 시인이 직접 선별한 400여 편을 모았다. 자신만의 문학적 영토를 다져오며 시를 향한 한결같은 마음을 견지하기 위해 노력했던 한 시인의 시작 생애와 작품 세계를 만나볼 수 있다.
9791187170914

푸른하늘 아래서 (백성일 시선집)

백성일  | 지식나무
9,000원  | 20250425  | 9791187170914
충청권 일간지 대전투데이 시의 향기에 매주 한 편의 시를 연재했다. 2023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2년 동안 연재한 총 92편의 시를 목차 8부로 정리하였다.
9791198869173

무재봉 연가 (이희영 시선집)

이희영  | 뉴매헌
15,300원  | 20250501  | 9791198869173
시인의 말 세월은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다. 하지만 나이에 비례하여 그 속도는 점점 빨라진다는 것을 나이 든 사람이면 똑같이 느끼는 감상感傷인 듯 싶다. 나에게 세월은 상전벽해가 무색하리만치, 열차 속 선잠처럼 금세 지나가고 말았나 보다. 첫 시집 『얼굴』을 선보였을 때부터 본 시집 『무재봉 연가』를 출간하기까지 정확히 십 년이란 세월이 빠져나갔다. 처음 『얼굴』을 내면서, 앞으로 10권이 출간될 때까지만 詩를 써야겠다 하는 목표 같은 것이 있었는데, 이토록 빨리 올 줄은 몰랐다. 그러나 여기서 詩쓰기를 멈출 수는 없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