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조선집 2

시조선집 2

이병기 (지은이)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000원 -0% 0원
1,7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31,96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조선집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조선집 2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63722359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4-12-25

책 소개

『가람 이병기 전집』은 한국 근현대 문학사의 체계를 정립하고 학문적 유산을 보존하며, 한국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중요한 성과다. 2014년 4월 전북대학교 개교 70주년 기념사업으로 시작된 간행 사업이 2024년 12월 『가람 이병기 전집』 총 30권으로 완성되었다.

목차

현대시조선총 •15
서序 •17
고두동高斗東 편篇 •21
김기진金基鎭 편篇 •31
김상옥金相沃 편篇 •35
김상용金尙鎔 편篇 •43
김영진金永鎭 편篇 •49
김 억金 億 편篇 •57
김오남金午男 편篇 •65
김찬영金瓚永 편篇 •71
김창호金昌浩 편篇 •77
김희규金禧圭 편篇 •83
권덕규權悳奎 편篇 •89
나운경羅雲卿 편篇 •95
노자영盧子泳 편篇 •99
민동선閔東宣 편篇 •105
박노철朴魯哲 편篇 •109
박병순朴炳淳 편篇 •115
박용묵朴瑢默 편篇 •121
박용철朴龍喆 편篇 •125
박일송朴一松 편篇 •131
박재삼朴在森 편篇 •137
박종옥朴宗玉 편篇 •143
박종화朴鍾和 편篇 •149
변영로卞榮魯 편篇 •159
변영만卞榮晩 편篇 •167
백남규白南奎 편篇 •175
서명호徐明浩 편篇 •181
서정봉徐定鳳 편篇 •185
서항석徐恒錫 편篇 •191
설의식薛義植 편篇 •197
신영철申瑛澈 편篇 •203
심혁남沈爀南 편篇 •209
안 확安 廓 편篇 •215
양상경梁相卿 편篇 •221
양주동梁柱東 편篇 •229
이광수李光洙 편篇 •235
이관구李寬求 편篇 •245
이병기李秉岐 편篇 •249
이영도李永道 편篇 •267
이은상李殷相 편篇 •277
이응창李應昌 편篇 •295
이태극李泰極 편篇 •299
이항녕李恒寧 편篇 •307
이호우爾豪愚 편篇 •313
이희승李熙昇 편篇 •323
오신혜吳信惠 편篇 •331
장순하張諄河 편篇 •339
장응두張應斗 편篇 •343
장정심張貞心 편篇 •349
정인보鄭寅普 편篇 •357
정현민鄭顯珉 편篇 •365
정 훈丁 薰 편篇 •375
조종현趙宗玄 편篇 •381
주요한朱耀翰 편篇 •389
최남선崔南善 편篇 •397
최성연崔聖淵 편篇 •409
최승범崔勝範 편篇 •419
최 천崔 天 편篇 •425
최현배崔鉉培 편篇 •429
탁상수卓相銖 편篇 •435
피천득皮千得 편篇 •441
한용운韓龍雲 편篇 •447
허 연許 演 편篇 •451
현진건玄鎭健 편篇 •459
홍영의洪永義 편篇 •465
김기호金琪鎬 편篇 •469

편집후기編輯後記 •473
부록표附錄表 •480

[부록] 시조선집 상세목록 •483

저자소개

이병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조 시인이며 시조 부흥 운동을 주도한 시조 학자이자 국문학자였던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는 1891년 전북 익산에서 출생했다. 유교적인 가풍 속에서 자라난 그는 고향 사숙에서 한문을 수학했고 1906년 18세의 나이에 광산 김씨 집안의 수(洙)와 결혼했다. 1910년 전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한성사범학교를 입학한 이병기는 1912년 조선어 강습원에서 주시경 선생의 조선어 문법 강의를 듣기도 했다. 1913년 한성사범 졸업 후 남양, 전주제2, 여산공립보통학교의 훈도로서 교사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고문헌을 수집하고 주석 작업을 하던 이병기는 1921년 권덕규, 임덕재 등과 조선어연구회를 발기하고 간사직을 맡아 조직을 이끌었다. 1926년 영도사에서 시조회를 발기해 민족 문학을 보급하는 데 앞장섰다. 1930년 이후 한글맞춤법통일단 제정위원과 조선어표준어사정위원으로 활동하다가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으로 피검되었다.1943년 기소유예로 출감한 이병기는 귀향해 농업에 종사했다. 해방 후 다시 상경해 군정무 편수관으로 피임되어 활동 중 1946년 서울대 문리과대학교수로 부임했고, 다음 해 단국대학, 신문학원, 예술대학에서, 1948년 동국대, 국민대, 숙명여대 등에서 후진을 양성했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고향으로 돌아가 전주 명륜대학, 전북전시연합대학 교수를 지내다 1952년 전북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1956년 전북대학교에서 정년 퇴임을 맞이한 이후에도 중앙대, 서울대 등에서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1957년엔 ≪우리말 큰사전≫이 간행되었으나 기념회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뇌일혈이 일어나 이후 고향에서 요양했다. 학술원 공로상(1960), 전북대 명예문학박사학위(1961), 문화포상(1962) 등을 받았다. 10여 년을 병마와 싸우다 향년 78세인 1968년 고향 집 수우재(守愚齋)에서 숨을 거두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