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수학"(으)로 21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88910465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중학교 수학

조한무, 장준걸, 송현경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10205  | 9791188910465
지금까지 대부분 평가는 평가 결과를 가지고 학생들의 우열을 가리거나 점수로 인간을 규정하여 온 측면이 강하다. 결과 중심의 평가는 인간을 이해하고 그 다양성을 존중하기에 부족함이 많았고, 학습자 중심에 대한 폭넓은 배려가 힘든 것이었다. ‘교육’이 학생의 잠재 능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학생이 지닌 위대한 장점을 펼치게 하는 것이 ‘학습’이라고 할 때 ‘평가’는 학생들의 숨은 보화를 캐내는 일이 분명한데도 지금까지 그 몫을 다하지 못해 왔다. 전통적인 표준화 검사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난을 받는 이유는 성적이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치중되고 그 다양성이 무시되어 왔기 때문이다. 학교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규준 지향 검사나 준거 지향 검사는 사람들을 줄 세우고 비교하는 데 유용했지만, 일상적인 수업 현상에 대해서는 유용한 정보를 주지 못했다. 즉, 학생들은 자신이 배우는 자료에 대해서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지, 어떤 것을 정보화하고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알기 어려우며, 자기 생각을 어떻게 수정해 나가는지, 학습에 대한 자세는 주도적인지 등도 알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대안 평가가 수행평가이다. 수행평가의 특성 중 과정중심평가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과거의 지식이나 가치관을 그대로 암기하거나 받아들이는 선언적 지식 습득보다는 어떻게 하는지를 알고 이를 습득하는 절차적 지식을 중시한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이 아는 것뿐만 아니라 아는 것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중시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을 어떻게 도와줄지를 고민해 봐야 한다. 교사가 도와줄지, 동료가 도와줄지, 아니면 자신의 성찰 과정을 통해 도와줄지 선택해야 한다. 학생을 도와주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중요한 진주가 학생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역량 찾기라고 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생의 미래를 위한 진로지도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일선 학교에서는 평가지를 가지고 과정중심평가를 한다고 하면서 점수 내기에 급급하다. 또한, 철 지난 평가를 답습하면서 교사들은 점점 쌓여가는 평가지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에 대하여 걱정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포트폴리오 기법을 제시하였다. 포트폴리오 기법을 활용하면 학생이 무엇을 아는지, 할 수 있는지, 생각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여기에 학생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관리·조직하기 때문에 교사의 일감을 줄여줄 수 있고, 포트폴리오 체계를 활용하여 누가적이고 종합적으로 학생의 성과를 성찰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교수와 평가를 함께 하는 수업의 도구로써 포트폴리오 제작물이 지닌 가치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을 돕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을 이해하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의 방향을 찾아내는 평가의 길로 안내하고자 하였다.
9791188910373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수학 편

조한무, 장준걸, 김혜진, 오용희, 정나현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01101  | 9791188910373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수학 편』은 〈미래 사회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래를 위한 평가〉, 〈과정중심평가 도구 구안 및 활용〉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9791188910564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고등학교 수학

조한무, 장준걸, 황석진, 이보라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10412  | 9791188910564
지금까지 대부분 평가는 평가 결과를 가지고 학생들의 우열을 가리거나 점수로 인간을 규정하여 온 측면이 강하다. 결과 중심의 평가는 인간을 이해하고 그 다양성을 존중하기에 부족함이 많았고, 학습자 중심에 대한 폭넓은 배려가 힘든 것이었다. ‘교육’이 학생의 잠재 능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학생이 지닌 위대한 장점을 펼치게 하는 것이 ‘학습’이라고 할 때 ‘평가’는 학생들의 숨은 보화를 캐내는 일이 분명한데도 지금까지 그 몫을 다하지 못해 왔다. 전통적인 표준화 검사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난을 받는 이유는 성적이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치중되고 그 다양성이 무시되어 왔기 때문이다. 학교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규준 지향 검사나 준거 지향 검사는 사람들을 줄 세우고 비교하는 데 유용했지만, 일상적인 수업 현상에 대해서는 유용한 정보를 주지 못했다. 즉, 학생들은 자신이 배우는 자료에 대해서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지, 어떤 것을 정보화하고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알기 어려우며, 자기 생각을 어떻게 수정해 나가는지, 학습에 대한 자세는 주도적인지 등도 알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대안 평가가 수행평가이다. 수행평가의 특성 중 과정중심평가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과거의 지식이나 가치관을 그대로 암기하거나 받아들이는 선언적 지식 습득보다는 어떻게 하는지를 알고 이를 습득하는 절차적 지식을 중시한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이 아는 것뿐만 아니라 아는 것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중시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을 어떻게 도와줄지를 고민해 봐야 한다. 교사가 도와줄지, 동료가 도와줄지, 아니면 자신의 성찰 과정을 통해 도와줄지 선택해야 한다. 학생을 도와주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중요한 진주가 학생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역량 찾기라고 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생의 미래를 위한 진로지도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일선 학교에서는 평가지를 가지고 과정중심평가를 한다고 하면서 점수 내기에 급급하다. 또한, 철 지난 평가를 답습하면서 교사들은 점점 쌓여가는 평가지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에 대하여 걱정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포트폴리오 기법을 제시하였다. 포트폴리오 기법을 활용하면 학생이 무엇을 아는지, 할 수 있는지, 생각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여기에 학생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관리·조직하기 때문에 교사의 일감을 줄여줄 수 있고, 포트폴리오 체계를 활용하여 누가적이고 종합적으로 학생의 성과를 성찰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교수와 평가를 함께 하는 수업의 도구로써 포트폴리오 제작물이 지닌 가치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을 돕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을 이해하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의 방향을 찾아내는 평가의 길로 안내하고자 하였다.
9791188910540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중학교 음악

조한무, 장준걸, 김채린, 정다운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10412  | 9791188910540
지금까지 대부분 평가는 평가 결과를 가지고 학생들의 우열을 가리거나 점수로 인간을 규정하여 온 측면이 강하다. 결과 중심의 평가는 인간을 이해하고 그 다양성을 존중하기에 부족함이 많았고, 학습자 중심에 대한 폭넓은 배려가 힘든 것이었다. ‘교육’이 학생의 잠재 능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학생이 지닌 위대한 장점을 펼치게 하는 것이 ‘학습’이라고 할 때 ‘평가’는 학생들의 숨은 보화를 캐내는 일이 분명한데도 지금까지 그 몫을 다하지 못해 왔다. 전통적인 표준화 검사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난을 받는 이유는 성적이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치중되고 그 다양성이 무시되어 왔기 때문이다. 학교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규준 지향 검사나 준거 지향 검사는 사람들을 줄 세우고 비교하는 데 유용했지만, 일상적인 수업 현상에 대해서는 유용한 정보를 주지 못했다. 즉, 학생들은 자신이 배우는 자료에 대해서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지, 어떤 것을 정보화하고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알기 어려우며, 자기 생각을 어떻게 수정해 나가는지, 학습에 대한 자세는 주도적인지 등도 알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대안 평가가 수행평가이다. 수행평가의 특성 중 과정중심평가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과거의 지식이나 가치관을 그대로 암기하거나 받아들이는 선언적 지식 습득보다는 어떻게 하는지를 알고 이를 습득하는 절차적 지식을 중시한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이 아는 것뿐만 아니라 아는 것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중시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을 어떻게 도와줄지를 고민해 봐야 한다. 교사가 도와줄지, 동료가 도와줄지, 아니면 자신의 성찰 과정을 통해 도와줄지 선택해야 한다. 학생을 도와주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중요한 진주가 학생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역량 찾기라고 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생의 미래를 위한 진로지도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일선 학교에서는 평가지를 가지고 과정중심평가를 한다고 하면서 점수 내기에 급급하다. 또한, 철 지난 평가를 답습하면서 교사들은 점점 쌓여가는 평가지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에 대하여 걱정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포트폴리오 기법을 제시하였다. 포트폴리오 기법을 활용하면 학생이 무엇을 아는지, 할 수 있는지, 생각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여기에 학생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관리·조직하기 때문에 교사의 일감을 줄여줄 수 있고, 포트폴리오 체계를 활용하여 누가적이고 종합적으로 학생의 성과를 성찰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교수와 평가를 함께 하는 수업의 도구로써 포트폴리오 제작물이 지닌 가치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을 돕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을 이해하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의 방향을 찾아내는 평가의 길로 안내하고자 하였다.
9791188910403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보건 편

조한무, 장준걸, 조현아, 심상희, 송정혜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01101  | 9791188910403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보건 편』은 〈미래 사회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래를 위한 평가〉, 〈과정중심평가 도구 구안 및 활용〉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9791188910533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중학교 영어

조한무, 장준걸, 유리나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10412  | 9791188910533
"지금까지 대부분 평가는 평가 결과를 가지고 학생들의 우열을 가리거나 점수로 인간을 규정하여 온 측면이 강하다. 결과 중심의 평가는 인간을 이해하고 그 다양성을 존중하기에 부족함이 많았고, 학습자 중심에 대한 폭넓은 배려가 힘든 것이었다. ‘교육’이 학생의 잠재 능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학생이 지닌 위대한 장점을 펼치게 하는 것이 ‘학습’이라고 할 때 ‘평가’는 학생들의 숨은 보화를 캐내는 일이 분명한데도 지금까지 그 몫을 다하지 못해 왔다. 전통적인 표준화 검사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난을 받는 이유는 성적이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치중되고 그 다양성이 무시되어 왔기 때문이다. 학교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규준 지향 검사나 준거 지향 검사는 사람들을 줄 세우고 비교하는 데 유용했지만, 일상적인 수업 현상에 대해서는 유용한 정보를 주지 못했다. 즉, 학생들은 자신이 배우는 자료에 대해서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지, 어떤 것을 정보화하고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알기 어려우며, 자기 생각을 어떻게 수정해 나가는지, 학습에 대한 자세는 주도적인지 등도 알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대안 평가가 수행평가이다. 수행평가의 특성 중 과정중심평가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과거의 지식이나 가치관을 그대로 암기하거나 받아들이는 선언적 지식 습득보다는 어떻게 하는지를 알고 이를 습득하는 절차적 지식을 중시한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이 아는 것뿐만 아니라 아는 것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중시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을 어떻게 도와줄지를 고민해 봐야 한다. 교사가 도와줄지, 동료가 도와줄지, 아니면 자신의 성찰 과정을 통해 도와줄지 선택해야 한다. 학생을 도와주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중요한 진주가 학생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역량 찾기라고 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생의 미래를 위한 진로지도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일선 학교에서는 평가지를 가지고 과정중심평가를 한다고 하면서 점수 내기에 급급하다. 또한, 철 지난 평가를 답습하면서 교사들은 점점 쌓여가는 평가지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에 대하여 걱정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포트폴리오 기법을 제시하였다. 포트폴리오 기법을 활용하면 학생이 무엇을 아는지, 할 수 있는지, 생각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여기에 학생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관리·조직하기 때문에 교사의 일감을 줄여줄 수 있고, 포트폴리오 체계를 활용하여 누가적이고 종합적으로 학생의 성과를 성찰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교수와 평가를 함께 하는 수업의 도구로써 포트폴리오 제작물이 지닌 가치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을 돕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을 이해하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의 방향을 찾아내는 평가의 길로 안내하고자 하였다."
9791188910380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사회 편

조한무, 장준걸, 김태형, 유은영, 최종임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01101  | 9791188910380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사회 편』은 〈미래 사회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래를 위한 평가〉, 〈과정중심평가 도구 구안 및 활용〉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9791188910441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중학교 미술

조한무, 장준걸, 박소영, 유지혜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01221  | 9791188910441
지금까지 대부분 평가는 평가 결과를 가지고 학생들의 우열을 가리거나 점수로 인간을 규정하여 온 측면이 강하다. 결과 중심의 평가는 인간을 이해하고 그 다양성을 존중하기에 부족함이 많았고, 학습자 중심에 대한 폭넓은 배려가 힘든 것이었다. ‘교육’이 학생의 잠재 능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학생이 지닌 위대한 장점을 펼치게 하는 것이 ‘학습’이라고 할 때 ‘평가’는 학생들의 숨은 보화를 캐내는 일이 분명한데도 지금까지 그 몫을 다하지 못해 왔다. 전통적인 표준화 검사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난을 받는 이유는 성적이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치중되고 그 다양성이 무시되어 왔기 때문이다. 학교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규준 지향 검사나 준거 지향 검사는 사람들을 줄 세우고 비교하는 데 유용했지만, 일상적인 수업 현상에 대해서는 유용한 정보를 주지 못했다. 즉, 학생들은 자신이 배우는 자료에 대해서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지, 어떤 것을 정보화하고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알기 어려우며, 자기 생각을 어떻게 수정해 나가는지, 학습에 대한 자세는 주도적인지 등도 알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대안 평가가 수행평가이다. 수행평가의 특성 중 과정중심평가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과거의 지식이나 가치관을 그대로 암기하거나 받아들이는 선언적 지식 습득보다는 어떻게 하는지를 알고 이를 습득하는 절차적 지식을 중시한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이 아는 것뿐만 아니라 아는 것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중시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을 어떻게 도와줄지를 고민해 봐야 한다. 교사가 도와줄지, 동료가 도와줄지, 아니면 자신의 성찰 과정을 통해 도와줄지 선택해야 한다. 학생을 도와주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중요한 진주가 학생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역량 찾기라고 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생의 미래를 위한 진로지도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일선 학교에서는 평가지를 가지고 과정중심평가를 한다고 하면서 점수 내기에 급급하다. 또한, 철 지난 평가를 답습하면서 교사들은 점점 쌓여가는 평가지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에 대하여 걱정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포트폴리오 기법을 제시하였다. 포트폴리오 기법을 활용하면 학생이 무엇을 아는지, 할 수 있는지, 생각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여기에 학생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관리·조직하기 때문에 교사의 일감을 줄여줄 수 있고, 포트폴리오 체계를 활용하여 누가적이고 종합적으로 학생의 성과를 성찰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교수와 평가를 함께 하는 수업의 도구로써 포트폴리오 제작물이 지닌 가치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을 돕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을 이해하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의 방향을 찾아내는 평가의 길로 안내하고자 하였다.
9791188910458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중학교 체육

조한무, 장준걸, 안전모, 조채희, 홍명기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01221  | 9791188910458
지금까지 대부분 평가는 평가 결과를 가지고 학생들의 우열을 가리거나 점수로 인간을 규정하여 온 측면이 강하다. 결과 중심의 평가는 인간을 이해하고 그 다양성을 존중하기에 부족함이 많았고, 학습자 중심에 대한 폭넓은 배려가 힘든 것이었다. ‘교육’이 학생의 잠재 능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학생이 지닌 위대한 장점을 펼치게 하는 것이 ‘학습’이라고 할 때 ‘평가’는 학생들의 숨은 보화를 캐내는 일이 분명한데도 지금까지 그 몫을 다하지 못해 왔다. 전통적인 표준화 검사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난을 받는 이유는 성적이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치중되고 그 다양성이 무시되어 왔기 때문이다. 학교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규준 지향 검사나 준거 지향 검사는 사람들을 줄 세우고 비교하는 데 유용했지만, 일상적인 수업 현상에 대해서는 유용한 정보를 주지 못했다. 즉, 학생들은 자신이 배우는 자료에 대해서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지, 어떤 것을 정보화하고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알기 어려우며, 자기 생각을 어떻게 수정해 나가는지, 학습에 대한 자세는 주도적인지 등도 알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대안 평가가 수행평가이다. 수행평가의 특성 중 과정중심평가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과거의 지식이나 가치관을 그대로 암기하거나 받아들이는 선언적 지식 습득보다는 어떻게 하는지를 알고 이를 습득하는 절차적 지식을 중시한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이 아는 것뿐만 아니라 아는 것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중시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을 어떻게 도와줄지를 고민해 봐야 한다. 교사가 도와줄지, 동료가 도와줄지, 아니면 자신의 성찰 과정을 통해 도와줄지 선택해야 한다. 학생을 도와주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중요한 진주가 학생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역량 찾기라고 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생의 미래를 위한 진로지도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일선 학교에서는 평가지를 가지고 과정중심평가를 한다고 하면서 점수 내기에 급급하다. 또한, 철 지난 평가를 답습하면서 교사들은 점점 쌓여가는 평가지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에 대하여 걱정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포트폴리오 기법을 제시하였다. 포트폴리오 기법을 활용하면 학생이 무엇을 아는지, 할 수 있는지, 생각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여기에 학생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관리·조직하기 때문에 교사의 일감을 줄여줄 수 있고, 포트폴리오 체계를 활용하여 누가적이고 종합적으로 학생의 성과를 성찰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교수와 평가를 함께 하는 수업의 도구로써 포트폴리오 제작물이 지닌 가치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을 돕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을 이해하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의 방향을 찾아내는 평가의 길로 안내하고자 하였다.
9791188910434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미술 편

조한무, 장준걸, 유병욱, 박태준, 이성진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01221  | 9791188910434
지금까지 대부분 평가는 평가 결과를 가지고 학생들의 우열을 가리거나 점수로 인간을 규정하여 온 측면이 강하다. 결과 중심의 평가는 인간을 이해하고 그 다양성을 존중하기에 부족함이 많았고, 학습자 중심에 대한 폭넓은 배려가 힘든 것이었다. ‘교육’이 학생의 잠재 능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학생이 지닌 위대한 장점을 펼치게 하는 것이 ‘학습’이라고 할 때 ‘평가’는 학생들의 숨은 보화를 캐내는 일이 분명한데도 지금까지 그 몫을 다하지 못해 왔다. 전통적인 표준화 검사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난을 받는 이유는 성적이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치중되고 그 다양성이 무시되어 왔기 때문이다. 학교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규준 지향 검사나 준거 지향 검사는 사람들을 줄 세우고 비교하는 데 유용했지만, 일상적인 수업 현상에 대해서는 유용한 정보를 주지 못했다. 즉, 학생들은 자신이 배우는 자료에 대해서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지, 어떤 것을 정보화하고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 알기 어려우며, 자기 생각을 어떻게 수정해 나가는지, 학습에 대한 자세는 주도적인지 등도 알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대안 평가가 수행평가이다. 수행평가의 특성 중 과정중심평가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과거의 지식이나 가치관을 그대로 암기하거나 받아들이는 선언적 지식 습득보다는 어떻게 하는지를 알고 이를 습득하는 절차적 지식을 중시한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이 아는 것뿐만 아니라 아는 것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도 중시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을 어떻게 도와줄지를 고민해 봐야 한다. 교사가 도와줄지, 동료가 도와줄지, 아니면 자신의 성찰 과정을 통해 도와줄지 선택해야 한다. 학생을 도와주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중요한 진주가 학생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역량 찾기라고 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생의 미래를 위한 진로지도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일선 학교에서는 평가지를 가지고 과정중심평가를 한다고 하면서 점수 내기에 급급하다. 또한, 철 지난 평가를 답습하면서 교사들은 점점 쌓여가는 평가지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에 대하여 걱정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포트폴리오 기법을 제시하였다. 포트폴리오 기법을 활용하면 학생이 무엇을 아는지, 할 수 있는지, 생각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여기에 학생 스스로 포트폴리오를 관리·조직하기 때문에 교사의 일감을 줄여줄 수 있고, 포트폴리오 체계를 활용하여 누가적이고 종합적으로 학생의 성과를 성찰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교수와 평가를 함께 하는 수업의 도구로써 포트폴리오 제작물이 지닌 가치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을 돕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을 이해하는 평가, 수업에서 학생의 방향을 찾아내는 평가의 길로 안내하고자 하였다.
9791188910410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영어 편

조한무, 장준걸, 김민상, 정성희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01101  | 9791188910410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영어 편』은 〈미래 사회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래를 위한 평가〉, 〈과정중심평가 도구 구안 및 활용〉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9791188910366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국어 편

조한무, 장준걸, 구자경, 홍윤정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01101  | 9791188910366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국어 편』은 〈미래 사회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래를 위한 평가〉, 〈과정중심평가 도구 구안 및 활용〉,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9791188910397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음악 편

조한무, 장준걸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01101  | 9791188910397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음악 편』은 〈미래 사회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래를 위한 평가〉, 〈과정중심평가 도구 구안 및 활용〉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9791188910427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실과 편

조한무, 장준걸, 김민성, 고유경, 조원덕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01101  | 9791188910427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실과 편』은 〈미래 사회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래를 위한 평가〉, 〈과정중심평가 도구 구안 및 활용〉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9791188910298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과학 편

조한무, 장준걸, 강명구, 구은정, 박훈  | 지식플랫폼
14,400원  | 20200801  | 9791188910298
『수업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초등 과학 편』은 과정중심평가 도구 개발에 뜻을 함께한 경기도교육청 내 교사 모임의 노력으로 집필되었다.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개념 정립을 위해 이론 강의, 평가 도구 개발강의, 과정중심평가 적용사례 발표 컨설팅 등 수 차례 연수를 실시하였는데, 이에 호응하고 열정적으로 참여한 선생님들 덕분에 실제 사례 중심의 책으로 출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