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신역주"(으)로 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97970759

신역 주역전의 상

성백효  | 한국인문고전연구소
33,300원  | 20230127  | 9788997970759
동양철학의 오묘한 진리를 풀이한, 경전의 으뜸 《주역(周易)》 《주역》은 《시경》ㆍ《서경》과 함께 삼경(三經)으로 알려져 유가 경전(儒家經典)의 대표로 꼽혀왔다. 천지 자연의 생성원리와 무궁무진한 변화에 따른 인간의 생로병사와 길흉화복에 잘 대처하게 한 책이 바로 이 《주역》이다. 《주역》은 역경(易經), 또는 역(易)이라 약칭하는바, 동양철학의 오묘한 진리를 풀이한 책으로 경전(經典)의 으뜸이라 할 것이다. 팔괘(八卦)를 근본으로 하여 이루어진 64괘(卦)를 다시 상경(上經)과 하경(下經)으로 나누고, 여기에 십익(十翼) 즉 〈단전〉 상ㆍ하. 〈상전〉 상ㆍ하, 〈계사전〉 상ㆍ하, 〈문언전(文言傳)〉, 〈설괘전(說卦傳)〉, 〈서괘전(序卦傳)〉, 〈잡괘전(雜卦傳)〉의 10편을 합하여 하나의 책으로 만든 것이다. 역(易)의 작자(作者)에 대해서는 여러 이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복희씨(伏羲氏)가 처음 팔괘와 64괘를 그렸으며, 주(周)나라 문왕(文王)이 이것을 연역하여 괘사(卦辭)를 짓고 주공(周公)이 효사(爻辭)를 짓고 공자(孔子)가 십익(十翼)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처럼 주나라 때에 만들어졌다 하여 《주역》이라 칭한다. 《주역전의》란 명칭은 명(明)나라 성조(成祖)의 영락(永樂) 년간에 《대전본(大全本)》을 만들면서 금역(今易)의 체제를 따른 정이천(程伊川)의 《역전(易傳)》과 고역(古易)의 체제를 따른 주자(朱子)의 《본의(本義)》를 합본(合本)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본서(本書)는 《주역전의》 24권과 총목(總目), 곧 역본의도(易本義圖), 역설강령(易說綱領), 상하편의(上下篇義), 오찬(五贊), 서의(筮儀)를 현토(懸吐)하고 역주(譯註)한 것이다. 역(易)은 천도(天道)를 미루어 인사(人事)에 미치되 매우 광범위하여 구비하지 않은 것이 없다.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선악(善惡)에 연관시킴으로써 사람이 처한 위치에 따라 행하여야 할 참다운 도리를 명확히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주역》은 수양(修養)의 책이고 경륜(經綸)의 책이고 입명(立命)의 책인 것이다. 이로써 몸을 닦고 이로써 사업을 일으키고 이로써 부귀(富貴)와 빈천(貧賤)에 대처할 수 있다. 복서(卜筮)의 책이면서 동시에 윤리도덕을 밝힌 우주의 진리서(眞理書)이다.
9788994672700

사서 (대학 / 논어 / 맹자 / 중용)

석동신 역주  | 종려나무
28,710원  | 20170310  | 9788994672700
『사서』는 유교의 종지를 ‘자신을 수양하여 타인을 사랑하라[修己愛人].’는 말로 새롭게 규정한다. 역주자에 따르면 이제 유교의 이념에 따라 정치하던 시대는 지나갔으므로, 유교도 새 시대에 걸맞게 새롭게 거듭나지 않으면 유교의 미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역주자는 유교의 정치적 가치보다는 종교적 가치에 주목하여 유교의 종지를 새롭게 규정하는 한편, 이에 따라 유교의 새로운 미래를 모색하고 있다.
9791197343315

원효 판비량론의 신역주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 학교법인동국대학교출판문화원
0원  | 20210430  | 9791197343315
『판비량론』의 신역주 원효元曉 원효元曉의 『판비량론』 필사본은 기존에 발군괸 162행에 본고에서 살펴본 11행을 더하여 총 173행, 약 19.9%가 발견되었다. 나아가 필사본에 중복되지 않은 42행정도의 산일문까지 포함시킨다면 약 24.7%가 복원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산실된 것으로 알려졌던 『판비량론』이 1912년 이후 지속적인 발굴을 통해 1/5 정도가 복원 된 것이다. 비록 적은 분량이지만 이 문헌이 갖는 독특한 형식과 심도 있는 해석, 그리고 동아시아 불교에 미친 영향 등은 이 문헌에 가치를 짐작케 한다. 특히 1969년 이후 끊겼던 『판비량론』 산일부의 발굴 보고가 근래 다시 이어진 점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러한 일련의 발굴은 문헌 복원은 물론 구성 체계의 외연과 저자의 사상적 특징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검색어 "신역주"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