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주 태교신기·태교신기언해

역주 태교신기·태교신기언해

이사주당, 유희 (지은이), 김양진 (옮긴이)
모시는사람들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1,250원
22,500원 >
22,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250원
20,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9개 17,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주 태교신기·태교신기언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주 태교신기·태교신기언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91166291647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3-04-20

책 소개

사주당 이씨가 쓰고 그의 아들 유희가 언해한 이래로 사주당의 딸들은 물론이고 후손들, 전국의 유학자들이 여러 세대에 걸쳐 쓴 서문, 발문, 비명(碑銘) 그리고 이본(異本) 등으로 확장되고 변주되며 이어져 온 ‘우리나라 최초의 태교서’ 태교신기 및 태교신기언해의 역주서이자 연구서이다.

목차

해제 _김양진

역주편01 胎敎新記 單

I. <胎敎新記 序> - 申綽
Ⅱ. <胎敎新記音義序略> - 鄭寅普
Ⅲ. <胎敎新記章句大全> - 李師朱堂 著/柳僖 註
1. 第一章 ‘敎[교] ’자에 대해 말함
2. 第二章 ‘胎[태] ’자에 대해 말함
3. 第三章 ‘태’와 ‘교’를 갖추어 말함
4. 第四章 태교의 방법
5. 第五章 태교에 대한 잡론
6. 第六章 태교를 행하지 않는 손해에 대해 말함
7. 第七章 사람들이 귀신에게 아첨하고 꺼리는 일에 구애받는 것을 경계함으로써 태에 이익이 있게 함
8. 第八章 잡다하게 인용해서 태교의 이치를 증명하고 제2장의 뜻을 거듭 밝힘
9. 第九章 실제의 좋은 글 한 편을 들어 옛 사람이 이미 행한 일을 인용함
10. 第十章 태교의 근본을 미루어 말함
Ⅳ. <附錄>
1. 墓誌銘 並序 - 申綽
2. 跋1-儆(柳僖)
3. 跋2-長女
4. 跋3-小女
5. 跋4-權相圭
6. 跋5-李忠鎬
7. 跋6-權斗植
8. 跋7-玄孫 近永(柳近永)
Ⅴ. <胎敎新記章句諺解> - 柳僖
1. 제일장
2. 제이장
3. 제삼장
4. 제사장
5. 제오장
6. 제육장
7. 제칠장
8. 제팔장
9. 제구장
10. 제십장

역주편02 <교신긔언> - 희현당(李師朱堂)

Ⅰ. 잡셜부 胎敎新記 單
1. 제일장
2. 제이장
3. 제삼장
4. 제사장
5. 제오장
6. 제육장
7. 제칠장
8. 제팔장
9. 제구장
10. 제십장
Ⅱ. 부셜
1. <극리긔셩졍귀신인심도심디결>
2. <긔삼주셜>
3. <역셜>
4. <결사>

부록1: <논문>: 18세기의 태교인문학과 『태교신기(胎敎新記)』 / 김양진
부록2: 『태교신기』 원문과 주석 원문 인용서목의 서지 및 인용 내용
부록3: 주요 인물 사전

원문1: 태교신기 단(1801/1938)
원문2: (존경각본) 태교신기언해(1801/1938)
원문3: (유기선 소장본) 태교신기언해(1810)

저자소개

이사주당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주 출생. 본명 미상. 당호는 희현당(希賢堂), 사주당(師朱堂). 시집가기 전부터 유학에 조예가 깊어 주변에 널리 알려져 있었고 시집간 뒤에도 남편인 유한규와 경전(經典)을 토론하고, 시를 주고받으며 학문 활동을 계속하였다. 최초의 태교서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지어 아들 유희에게 전했고 유희가 여기에 음의/주석/언해를 덧붙여 한 권의 책으로 묶은 것이 『태교신기 단(胎敎新記單)』으로 출간되어 지금에 전하고 있다.
펼치기
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은 진주(晉州). 초명은 경(儆). 호는 서파(西陂)·방편자(方便子)·남악(南嶽).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저술한 이사주당(李師朱堂)의 아들. 일찍이 경학에 잠심하여 성리학을 주로 하고, 춘추대의(春秋大義)를 본으로 삼아 경서의 주석에 전념하였다. 유저(遺著)로 방대한 『문통(文通)』 100권이 초고로 전해 왔고, 그중 44책 69권이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특히 따로 전하는 『시물명고』·『물명유고』·『언문지(諺文志)』 등은 국어학사의 중요한 자료로 다루어진다.
펼치기
김양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학사·석사·박사를 마쳤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편찬에 참여하였고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만주학센터를 창립하여 한국어와 만주어의 상관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2012년 이후 현재까지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경희대학교 교수의회 의장 및 대학평의원회 의장과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 편집위원장을 겸하고 있고, 그 밖에 한말연구학회 회장, 한국지명학회 부회장, 국제역학서학회 부회장, 디지털인문지식유산학회 부회장, 운곡학술원 부원장 등 국어학 및 인문학 분야에서 다양한 학술 활동을 해 오고 있다. 저서로 『사전편찬의 원리와 실제』(2008, 공역), 『국어사전학개론』(2009, 공저), 『우리말 동요 노랫말 수수께끼』(2009), 『동물이름 수수께끼』(2010), 『식물이름 수수께끼』(2011), 『우리말 수첩』(2011), 『언어학으로 풀어본 문자의 세계』(2018, 공역), 『화병의 인문학』(2020, 공저), 『의료문학의 이론과 실제』(2020, 공저), 『출산의 인문학』(2022, 공저), 『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대화로 읽는 국어 만들기의 역사』(2023, 공저), 『호모 파베르의 출산 이야기』(2023, 공저), 『호모 팬데미쿠스-코로나19 데카메론3-펜데믹 3년의 목소리』(2023, 공저), 『역주 태교신기와 태교신기언해』(2023), 『한국어 질병 표현 어휘 사전-주요 사망원인 질병을 중심으로』(2023), 『역주 한창녹몽』(2024, 공역주), 『한국어교사를 위한 한국어 첫 문법』(공저), 『한국어 질병 표현 어휘 사전Ⅱ-한국인이 자주 걸리는 질병 관련 표현을 중심으로』(2024, 공편), 『추정 이강래-민족어 교육의 한길』(2024, 공저) 등 20여 권의 저서가 있고 “한국어의 형태와 형태소”(국어학 81, 2017), “한민족어와 만주어의 형태론적 동형성”(민족문화연구 67, 2015), “시어(Poetic word)와 문법(Grammar)”(어문논집 71, 2014), “〈현대 한국어 단어족 사전〉 연구 시안”(우리어문연구 69, 2021), “〈조선왕조실록〉 속 의료 관련 어휘군 연구”(우리말연구 66, 2021), “한국어 통증표현 어휘의 낱말밭 연구”(한국사전학 40, 2022), “한국어 호출어 연구”(국어학 104, 2022), “문자의 정의-문자란 무엇인가?”(국제어문 96, 2023), “불교 어휘의 한국어 전래 과정에 대하여”(동양학 95, 2024), “춘천의 초기 지명 ‘烏斤乃’를 찾아서”(지명학 40, 2024), “음소 /의/의 실현 양상에 대하여”(한글 86-1, 2025) 등 1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에서 역주의 본문으로 삼은 『胎敎新記 單(태교신기 단)』(1938)은 본래 사주당 이씨(師朱堂李氏, 1739~1821)가 한문으로 지은 <胎敎新記(태교신기)>에 그의 아들 서파(西陂) 유희(柳僖, 1773~1837)가 음의(音義)와 주석을 붙인 뒤, 언해하여 <胎敎新記諺解(태교신기언해)>라 한 것을 합쳐서 1938년에 경상북도 예천에서 간행한 태교전문 서적으로 엄밀히 말하자면 사주당 이씨와 아들 서파 유희의 공동 저술이라 할 수 있다.


유(柳)씨 집안의 이씨 부인9은 완산 씨족으로 나이는 팔십삼 세였다. 어려서부터 책을 좋아해서 경전의 뜻을 깊고 밝게 알았고 고전을 두루 관통하여 기이한 뜻이 높고 빼어났는데, 세상에 재능 있는 사람이 적은 까닭을 태교(胎敎)가 행해지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이에 전훈10에 남겨진 뜻을 뽑아 얽어서 먼저 미묘한 뜻에 이르러 무릇 임부의 마음가짐[心志] 과 행동거지[事爲], 보고 듣기, 앉고 서기, 먹고 마시기의 절(節)이 다 경전의 예법을 모아서 모범을 세우고 종합하여 거울로 삼고의학의 이치를 취하여 그것의 들고남을 깨우쳐 정리하여 한 권의 책을 만드니 서파자 경(유희)이 장을 나누고 구를 떼어 주석을 덧붙여 이것을 『태교신기』라 하니 이로써 이전 사람들이 빠뜨린 글월을 보충하였으니 아아 심원하도다.


바야흐로 태아가 음화(陰化)에서 자라는 것을 보호하고 지키매, 경맥이 길러져 달이 바뀌어 감에 따라 호흡이 이루어지고, 자궁의 영혈이 태아에 게 흘러 혈맥의 피가 바야흐로 돌게 되니 어머니가 병들면 곧 자식이 병 들고, 어미가 편안하면 곧 자식이 편안하여, 그 성정과 재주와 덕이 어머 니의 움직임에 따른다. 먹고 마시기,25 추위와 더위가 기혈이 되어 아직 용 봉26을 새기는 장엄이 베풀어지지 않았을 때 진흙을 반죽하여 훌륭한 도 자기27를 만드는 것과 같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