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온라인 플랫폼"(으)로 1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1812282

온라인 플랫폼 경제학

예상한  | 율곡출판사
19,500원  | 20220530  | 9791191812282
이 책은 온라인 플랫폼 경제학을 다룬 이론서이다. 온라인 플랫폼 경제학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다. 경제학의 아버지들은 대부분 그리 경제적이지 않게 쓴 책을 남겼다. 아담 스미스의 The Wealth of Nations(1976)는 1,092페이지, 존 스튜어트 밀의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1987)는 1,013페이지, 칼 마르크스의 Capital 1 (1977)은 1,141페이지에 달한다. 물론 예외가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데이비드 리카르도(David Ricardo)로 그가 1817년에 출판한 The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and Taxation(2004)은 320페이지에 불과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 책이 1970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던 폴 새뮤얼슨(Paul Samuelson, 1915~2009)이 1969년에 모든 사회과학 중에서 가장 “논리적으로 진실하면서도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logically true and non-trivial)” 개념이라고 말한 ‘비교우위(compara-tive advantage)’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이로부터 언젠가 내가 책을 쓴다면 리카르도를 본받아 오직 필요한 내용만을 담아 짧게 쓰겠다고 결심했고, 이 책에서 처음으로 실천에 옮기려 했다. 그렇지만 능력 부족으로 그냥 짧은 글을 썼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 책을 쓰게 된 직접적인 동기는 아이러니하게도 그동안 접한 국내외의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연구들이 온라인 플랫폼의 특징으로 거의 모두 언급하고 있는 “양면성(two-sidedness)”에 대한 의문 때문이었다. 글의 맥락을 보면 대충 이해할 수 있는 것 같았지만 보다 분명하게 구분하기 위해 떠올려 본 그 상대 개념인 “일면성(one-sidedness)”에서 늘 막혔다. 이때부터 적어도 나에게는 “밝음”을 모르는데 “어둠”을 알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고 처음부터 제대로 온라인 플랫폼을 공부해 보자는 결심으로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글로 표현하지 못한다면 결코 이해한 것이 아니라는 원칙을 세우고 나아가다 보니 어느덧 이 책에 이르렀다. 물론 “양면성(two-sidedness)”에 대해 분명하지 않았다고 해서 기존의 생각들이 모두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누구도 원주율 파이(?)의 값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지만 사람들은 원을 그리는 데, 원을 이해하고 가르치는 데, 그리고 심지어 초정밀하게 원형의 제품을 만들어 우주선을 띄우는 데 별 어려움을 겪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누군가가 원의 면적이나 원형 제품의 부피를 구하고자 할 경우에는 최대한으로 근사(近似)한 파이(?)값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이 책이 온라인 플랫폼에 대해 바로 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책을 쓰기까지 너무 많은 사람들로부터 큰 도움을 받았다. 먼저 나를 낳고 키워 주시고 공부시켜 주신 돌아가신 부모님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마음을 표한다. 그분들의 은혜는 아마 죽어서도 다 갚지 못할 것이다. 다음으로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나의 지도교수였던 고(故) 엘리옷(John E. Elliott, 1931~2001) 교수님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 많은 것이 부족한 나에게 학위를 줘 졸업시켜 줌으로써 공식적으로 더 이상 학생이 아니어도 되게 해주셨으니 학문적으로 그 은혜는 부모님 못지않다고 생각한다. 이제야 엘리옷 교수님이 영면(永眠)하신 곳을 찾아볼 용기가 생긴 느낌이다. 나의 아내 김희숙은 이 책의 첫 번째 독자로서 조언을 아끼지 않았고, 멀리 미국 볼티모어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는 딸 예지희는 항상 나를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해준 용기의 원천이었다. 마지막으로 국민대학교와 김도현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1년 전까지만 해도 온라인 플랫폼을 그저 정보나 찾고 물건이나 사는 데 이용하기만 했던 나에게 온라인 플랫폼을 학문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너무 귀한 기회를 주셨기 때문이다. 당연한 것이지만 이 책이 혹시 담고 있을지 모를 실수나 틀린 부분은 온전히 저자인 나의 몫이다. 모두 고맙습니다. 2022년 5월 예상한
9791193116142

돈 버는 온라인 플랫폼 만들기

민경준  | 열린 인공지능
0원  | 20230508  | 9791193116142
본 서적은 챗GPT를 활용하여 집필된 서적입니다. 챗GPT를 통해 답변을 받다보니 책에 기입된 URL링크 등의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돈 버는 온라인 플랫폼 만들기"는 디지털 세상에서 성공을 이끄는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종합 가이드북으로 ChatGPT 활용, Softr, Webflow, Bubble과 같은 노코드 빌더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팁을 다룹니다. 또한 이 책은 작업 자동화, 마케팅, 수익 창출 및 성과 측정과 같은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경쟁이 치열한 온라인 플랫폼 세계에서 성공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과 수익성을 달성하는 데 꼭 필요한 툴과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히든브레인연구소 프로젝트인 어비의 챗GPT로 도서 출간하기 프로젝트를 통해 출간된 서적입니다.
9791189089528

온라인 플랫폼 마케팅 (하루에 1시간 일하고 1000만 원 버는 신개념 수익 창출 모델)

신승철  | 라온북
14,400원  | 20181205  | 9791189089528
온라인 플랫폼 만들기부터 판매 전략, 수익화까지 단계별 실전 노하우 불안한 미래, 비즈니스의 새로운 패러다임 “나는 일하고 싶을 때 일한다!” 은퇴자금이나 여유자금으로 창업하는 중장년층이 오프라인 창업의 주류라면, 소액 자산이나 정부 지원을 받아 창업하는 청년층은 온라인 창업의 주류다. 온라인 창업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 책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특정 소비자층을 모은 다음에 이를 수익원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는 훌륭한 온라인 플랫폼이다. 잘 구축해놓은 플랫폼 하나는 꾸준히 사람이 모이며 콘텐츠를 생성한다. 살아있는 온라인 플랫폼은 저절로 수익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완성하여 안정적인 수익원이 된다. 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왜 플랫폼 마케팅에 주목해야 하는지 설명했다. 2장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창업가가 갖추어야 할 마음가짐을 서술했다. 3장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점을 키워드로 명확히 제시했다. 온라인 플랫폼은 개인이 기업 못지않은 고소득을 누릴 수 있는 구조인데, 이에 대해 4장부터 6장에 걸쳐 단계별로 설명했다. 4장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는 방법을, 5장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마케팅 전략을, 6장에서는 대한민국 상위 0.1퍼센트 온라인 플랫폼이 되려면 어떤 차별성이 필요한지를 다루었다.
9791130345338

공정거래법상 온라인 플랫폼의 자사우대

이봉의, 윤신승, 주진열, 정재훈, 장품  | 박영사
21,600원  | 20230820  | 9791130345338
전 세계에서 플랫폼을 중심으로 디지털경제로의 전환이 급속이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은 전통산업에 대하여 파괴적 혁신자(disruptive innovator)로 등장하고 있으며, 경쟁촉진과 소비자 선택권의 확대 등 긍정적인 효과를 수반한다. 반면, 온라인 플랫폼은 양면 또는 다면시장의 특성상 교차네트워크효과(cross network externalities)와 쏠림효과(tipping effect) 등을 통하여 빠른 속도로 시장지배력을 확장할 소지가 있다. 비교적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미국에서 GAFA로 불리는 빅테크가 불과 십여 년 만에 급성장한 것도 온라인 플랫폼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디지털경제의 진전과 함께 플랫폼에 고유한 경쟁상 위험이 무엇인지, 기존의 경쟁법적 툴(tool)이 플랫폼의 속성을 적절히 반영할 수 있는지, 데이터와 알고리즘이 어떻게 경쟁을 왜곡할 수 있는지 등 무수히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디지털경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경쟁제한행위가 무엇인지, 그러한 위험이 어떤 조건 하에서 현실화될 우려가 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만 분분할 뿐 막상 글로벌 스탠더드나 컨센서스는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유럽의 구글 쇼핑(“Google Shopping”) 사건을 계기로 시장지배적 플랫폼사업자의 자사우대(self-preferencing)가 관심을 끌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네이버 쇼핑 사건과 네이버 동영상 사건이 자사우대의 쟁점을 포함하고 있고, 현재 대법원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 자사우대란 흔히 차별취급의 일 양태로 이해되고 있는바, 경쟁법상 다분히 낯선 평등취급의무를 전제로 온라인 플랫폼의 자사우대라는 문제를 접근하는 데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플랫폼 중립성이나 검색중립성이란 과거 필수설비나 그에 준하는 public utilities에 대한 규제원리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고, 사후규제보다는 사전규제에 잘 어울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서울대학교 경쟁법센터는 지난 2022년 10월에 온라인 플랫폼의 자사우대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고, 자사우대를 공정거래법상 시장지배적 지위남용과 불공정거래행위로 나누어 발제와 토론을 진행하였다. 그 중요성에 비하여 자사우대에 관한 연구성과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세미나의 결과물을 널리 학계 및 실무계와 공유하려는 취지에서 올해 새로이 단장한 ?경제법총서? 제2권으로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 자사우대란 양면 또는 다면플랫폼의 성격을 갖는 온라인 플랫폼으로서는 합리적인 전략이자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서비스의 질과 선택의 폭을 넓히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유용하게 바라볼 여지가 충분하다. 다만, 제한적인 조건 하에서 시장지배적 온라인 플랫폼의 자사우대가 경쟁사업자를 방해 또는 배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구체적인 사례마다 엄밀한 이익형량(balancing of interests)이 필요한 이유이다. 자사우대라는 주제가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경쟁의 새로운 양상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이 책이 향후 관련 새로운 입법이나 기존 공정거래법의 해석과 집행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이 책을 출간하기까지 여러 분들의 협조가 있었다. 세미나에서 주제발제나 토론을 맡아주었을 뿐만 아니라 추후 원고 형태로 완성하는 수고를 아끼지 않은 윤신승 교수(전남대 법전원), 주진열 교수(부산대 법전원), 정재훈 교수(이화여대 법전원), 장품 변호사(법무법인 지평), 심재한 교수(영남대 법전원), 손동환 교수(성균관대 법전원), 이선희 교수(성균관대 법전원)를 비롯하여 원고를 수합하고 편집?교정을 성실하게 담당해준 박준영 교수(경상국립대학교 법과대학)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끝으로 최근 출판계에 놀라운 변화와 발전을 보여주고 있는 박영사의 안상준 대표와 임재무 전무, 이승현 편집팀장께도 응원과 감사의 박수를 보낸다. 2023년 6월 서울대학교 경쟁법센터장 이 봉 의
9791171992720

현실을 닮다, 세상을 담다 (연극적 재현 공간의 진화, 극장에서 온라인 플랫폼까지)

박정만  | HUEBOOKs
27,900원  | 20241122  | 9791171992720
연극과 극문학, 현실을 닮은 거울이자 세상을 담는 그릇이 되다 극장, 무대, 스크린, 거리, 온라인 플랫폼 … 공간을 넘나들며 시대를 반영하는 劇 예술은 시대에 따라 권력을 지탱하는 도구가 되기도, 부조리한 현실을 폭로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현실을 닮다, 세상을 담다』는 시대와 함께 쓰임이 달라지는 예술의 이런 특징을 중심으로 연극, 영화, 뮤지컬, 거리극 등 다양한 공연 예술이 당시 사회와 현실의 맥락에서 무엇을 표현하고자 했는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탐구한 결과물이다. 저자 박정만은 극문학을 연구하며 연극을 비롯한 다양한 공연 예술 혹은 매체 예술이 가진 사회적 유용성을 발견하고자 했다. ‘연극은 관객과 사회가 소통하는 기능체가 될 수 없는가?’, ‘연극과 극 문학은 사회적 유용성을 얻을 수 있는가?’라는 이 두 질문을 품고 나아간 저자가 과연 어떠한 답을 내놓았을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펼쳐보기를 바란다. 오늘날 예술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현 사회의 부조리를 비판하고, 인간이 나아가고자 하는 이상적인 미래를 제시한다. 연극의 태동기로 알려진 고대 그리스 시대 극장부터 오늘날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플랫폼에 이르기까지, 연극적 재현 공간과 그 속에서 재생되는 예술이 발전하는 과정을 톺아보며 예술이 폭로한 과거의 부정을 되새기고, 앞으로 변화할 예술의 미래를 더듬어 보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9791166841156

디지털 경제에서 온라인 플랫폼과 이용자 보호

이병준  | 세창출판사
40,500원  | 20221014  | 9791166841156
온라인 플랫폼은 우리 사회에 없어서는 안 되는 요소가 되었습니다. 인터넷을 검색기능을 통하여 열어 주는 포털로 시작하여 이제는 사업자와 이용자를 연결해 주는 양면 시장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온라인 플랫폼은 인터넷 기간산업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고 단순히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플랫폼까지 다면적·다층적 모습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온라인 플랫폼이 갖는 현상을 계약법적으로 근본적으로 분석하고 여기서 나오는 소비자보호 문제를 찾아 합리적으로 고찰하려고 하였던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습니다. 소비자법센터는 온라인 플랫폼이 갖는 중개 기능에 착안하여 일찍부터 세미나를 개최하고 연구논문을 모았습니다. 연구를 진행하는 사이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게 되어 고려대 김상중 교수님을 중심으로 온라인 플랫폼 연구회가 만들어지고, 유럽법연구소에서 만든 온라인 플랫폼 모델법의 번역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 부록으로 이 번역작업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또한 2021년에 온라인 플랫폼 규제는 크게 플랫폼과 사업자의 관계를 다루는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과 거래사업자와 소비자의 관계를 다루는 전자상거래법의 논의가 우리나라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부분 중 전자상거래법 논의가 제4장에 실려 있습니다. 이 작업에는 소비자법학회의 회원분들이 많이 참여하여 주셨습니다. 이러한 법개정 논의는 결실을 보지 못하였고, 2022년에 접어들면서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자율규제 논의로 쟁점이 완전히 바뀌어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물론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자율규제 논의는 산업의 성장을 보면 필요합니다. 특히, 우리나라 국내시장을 살펴보면 국내 온라인 플랫폼과 해외 온라인 플랫폼이 경쟁하고 있는 독특한 시장 상황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자율규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면 온라인 플랫폼 산업에 대한 기본적인 법적 규제 논의가 다시 시작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본서의 제1장은 온라인 플랫폼이 갖는 요소들은 법경제학을 바탕으로 분석하는 한편 온라인 플랫폼의 유형들을 계약법의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제2장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에 관한 우리 전자상거래법의 규제내용과 유럽연합에서 제정 중인 디지털 서비스 법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제3장은 온라인 플랫폼이 갖는 계약법적 구조를 근본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플랫폼이 부담해야 하는 책임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제4장에서는 2021년 전자상거래법 개정안을 통하여 논의되었던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합리적인 법안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가 게재되었습니다.
9791159329708

온라인 플랫폼의 경쟁제한적 행위에 대한 연구: 앱마켓을 중심으로 (정책연구시리즈 2024-12)

김민정  | 한국개발연구원
3,600원  | 20241231  | 9791159329708
경제활동을 비롯한 일상생활 전반이 모바일화되는 흐름 속에서, 모바일 생태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플랫폼의 지나친 영향력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로 온라인에 접속하는 주된 방법 중 하나인 ‘앱(app)’이 배포되는 채널인 앱마켓의 경우, 플랫폼의 모바일 OS 시장에서의 지배력이 그대로 전이되고 있어서 경쟁당국에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보고서는 먼저 최근의 앱마켓 시장에 대한 해외 규율 동향을 검토하여 앱마켓 플랫폼의 주요한 경쟁제한적 행위를 도출했는데, 이를 유형화해 보면 앱 배포 시장의 독점화, 자사 결제시스템의 강제, 자사우대 행위로 요약된다. 이 중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자사우대 행위는, 플랫폼이 중개 역할을 하고 있던 인접 시장에 진입하여 이용사업자와 경쟁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앱마켓 시장에 대한 규율과 관련해서 핵심적인 쟁점의 하나는 앱마켓 플랫폼이 자체 앱마켓에 진입하는 것과 이로부터 파생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보고서는 앱마켓 플랫폼이 자체 앱마켓에 진입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일반적으로 플랫폼의 진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이론상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이 공존하여 실증적으로 규명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에 본고는 먼저 앱마켓 플랫폼의 앱 시장 진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의 실증연구들을 자세히 비교분석했다. 선행연구에서는 구글이나 애플의 자체 앱마켓 진입이 경쟁하는 앱 개발자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데, 플랫폼 진입의 영향에 대해서 상반되는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어떤 플랫폼이나 앱을 대상으로 했는지에 따라서 진입은 타 개발자의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앱 시장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실증분석 과정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이 앱 시장을 정의하는 데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data.ai에서 제공하고 있는 상세한 앱 분류 기준을 활용해서 추가적인 실증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보다 세분화시켜서 시장을 정의하고 다수의 플랫폼 진입 사건을 분석할 수 있었다. 국내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앱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총 16건에 달하는 애플의 앱스토어 진입이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플랫폼 앱의 진입이 타 개발자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일의적으로 판단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 앱의 진입이 경쟁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나타나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플랫폼 앱의 특성, 진입한 앱 시장의 경쟁 상황, 플랫폼의 진입 이후 반경쟁적 행위 여부 등에 따라서 그 영향은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보고서는 앱마켓 시장에 대한 바람직한 경쟁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직접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이를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기존 문헌에 대한 검토 및 본고의 실증분석 결과에 비춰볼 때 앱마켓 플랫폼의 진입은 시장에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도 있으므로, 일부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자사우대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도록 자사상품 판매 자체를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최근 경쟁당국의 자사우대 행위에 대한 집행을 두고 자사상품 판매를 금지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는데, 자사상품의 판매는 자사우대 행위와 엄연히 구별되는 개념이라는 점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9791165371739

빅테크 시대의 온라인 플랫폼 젠트리피케이션 (온라인 소상공인의 상생 플렉스(FLEX))

이진혁, 정해진  | 휴먼컬처아리랑
14,400원  | 20220215  | 9791165371739
- 네이버·카카오 빅테크 시대의 소상공인 상생협력 방안 제시 - 코로나-19 시대, 빅테크·소상공인 상생, 차기정부 ICT거버넌스 제안 □ COVID-19로 인해 플랫폼의 역할이 의식주(衣食住)에 버금갈 만큼 커졌다.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으로 수혜를 받은 빅테크와 피해를 본 소상공인들이 극명하게 갈린다. o 이러한 펜데믹 상황에서 한국플랫폼산업진흥원(www.kpipa.org)을 이끌고 있는 두 청년 (이진혁 대표 · 정해진 디렉터) 은 빅테크의 진흥과 소상공인 상생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저자들은 펜데믹 상황에서 사회적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소상공인들이 오프라인 산업보다 온라인 플랫폼에 더 의존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이 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 이들이 말하는 온라인 플랫폼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오프라인 세상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가 고스란히 온라인 세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플랫폼의 역기능에 대한 불편한 진실이다. 세상에 처음「온라인 플랫폼 젠트리피케이션」을 알리는 책이 출간되다 디지털 플랫폼은 오프라인 세상을 그대로 옮겨놓는 새로운 지평(horizon) □ 저자들이 제기하는 플랫폼 역기능의 하나로는 기존 오프라인 세상에서의 대형유통망과 목 좋은 대로변 사거리를 대기업이 잠식한 것처럼 플랫폼 상에서도 소상공인들이 진입하기에는 버거운 상위노출 영역들이 존재한다.
9788932217734

신남방지역 온라인 플랫폼 시장 분석과 시사점

김정곤, 나승권, 이재호, 윤지현, 김은미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1,400원  | 20201230  | 9788932217734
이 책은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신남방지역 온라인 플랫폼 시장 분석과 시사점』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91159328305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정보 제공과 소비자 보호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시리즈 2022-08)

김민정  | 한국개발연구원
1,800원  | 20221231  | 9791159328305
상품 및 서비스의 거래가 날로 온라인화되는 가운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거래는 소비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정보의 제공과 관련해서 많은 혜택을 주기도 하지만, 관련 위험에 대한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 특히 여러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순차공개 가격 책정’ 관행은 소비자의 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정보 중 하나인 가격의 일부를 구매 과정 초기부터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음으로써 소비자에게 가장 해로울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학문적으로도, 정책적으로도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소비자는 순차공개 가격 책정 행위에 노출되었을 때 두 가지 상반되는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한편으로는 (i) 행동 편향으로 인해 나중에 공개된 추가요금에 대해 덜 민감하게 되어 수요가 증가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ii) 동 행위가 기만적이라는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재구매 의향이 감소하거나 공급자 및 상품의 평판이 악화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순차공개 가격 책정으로 인해 소비자가 행동편향을 갖는 상황에서 공급자의 대응, 즉 공급자가 이를 이용하는 행동을 보일 것인지에 대해서 연구했다. 소비자의 반응으로 인해 공급자 역시 기본 및 추가 요금을 책정할 때 서로 상반되는 유인(소비자 행동 편향으로 인한 즉각적인 이윤 증가와 가격 투명성을 통한 장기적인 평판 개선)을 가지게 되는데, 실제 시장에서 어느 쪽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숙박공유 플랫폼인 Airbnb에서 의무적 추가요금인 청소비가 거래 과정에서 뒤늦게 공개되던 것에 주목해서, 새로운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급자들의 가격 책정 전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했다. 우선 Airbnb가 활성화되어 있던 주요 도시들에 대해서 청소비의 기본요금인 숙박료에 대한 비율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본 결과, 2015년 하반기부터 2018년 말까지 청소비가 숙박료에 비해서 꾸준히 상대적으로 증가해 온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Airbnb 서비스가 조기에 정착된 미국 뉴욕시를 대상으로 한정하여 숙소 및 호스트 특성, 거래 조건, 시장 상황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청소비 책정과 호스트 경험과의 관계를 분석했을 때, 공급자인 호스트의 경험이 증가할수록 청소비를 따로 부과하는 경향이 더 강하고 또한 숨겨진 청소비를 기본요금에 비해서 더 높게 책정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험이 적고 비전문적인 호스트가 시장 진입 시에는 소비자의 행동 편향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다가 거래 경험이 쌓여 가면서 이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즉, 공급자의 평판 악화에 대한 우려가 소비자 행동 편향을 이용할 유인을 충분히 제어하지는 못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소비자의 수요를 실질적으로 왜곡하고 후생을 악화시킬 수 있는 순차공개 가격 책정 관행이 시장을 통해 통제되지 않는다면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9791191565799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상사법제의 종합적·체계적 정비방안 연구 (온라인 플랫폼 급성장에 따른 전자상거래 변화를 중심으로)

김대근, 이경미, 정보은, 오성은  | 한국형사ㆍ법무정책연구원
10,000원  | 20221231  | 9791191565799
이 책은 한국형사ㆍ법무정책연구원의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상사법제의 종합적·체계적 정비방안 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91156590958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역기반 온라인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AURI-기본-2016-7)

윤주선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0원  | 20161031  | 9791156590958
▶ 이 책은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역기반 온라인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역기반 온라인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91190149815

소상공인을 위한 온라인 광고 플랫폼 (타깃 분석부터 SNS 채널 및 광고 게시까지)

최재혁, 홍승모  | 다온북스
16,200원  | 20220624  | 9791190149815
지금은 언택트 시대, 기회는 온라인 마케팅에 있다! 온라인 마케팅, 현직 마케터가 A부터 Z까지 알려드립니다! 쇼핑은 물론이고 미용실 예약까지 온라인으로 해결하는 이 시대에 소상공인들은 설 자리를 잃었다. 온라인 마케팅으로 눈을 돌려보려 해도 어마어마한 자본으로 각종 배너와 프로모션을 장악한 대기업에 밀려 금세 시들해지고 만다. 하지만 포기해서는 안 된다. 기회는 여전히 온라인 마케팅에 있다. 마케팅에 있어 중요한 요소는 엄청난 자본도, 뛰어난 글솜씨도, 대단한 인맥도 아니다. 통찰력, 준비성, 그리고 꾸준함이다.
9791196354602

글로벌 B2B.B2C e-Commerce 온라인 해외마케팅 (글로벌 전자상거래 대표 26개 플랫폼 소개, 온라인 해외마케팅 실전실무 핵심 요약)

강승원  | 지에치테크
13,500원  | 20180405  | 9791196354602
이 책은 표지에 쓰여진대로 평범한 '중소기업 해외마케팅 세일즈맨'이 기록한 수출 실무 리포트로써, 특별히 글로벌 온라인마케팅 플랫폼에 대한 세밀한 정보로 시작된다. Chapter 1의 플랫폼을 소개하는 수식어가 흥미롭다. 글로벌 B2B 챔피언 알리바바, 프랑스 Kompass, 러시아 불곰 Tiu.ru, 영원한 추격자 Trade Key, 글로벌 B2C 개척자 eBay, 중국 최강 B2C Taobao, 인도 코끼리 Flpkart, 그리고 대한민국의 한 플랫폼은 이렇게 소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국가대표 EC21이라고... 저자는 B2B/B2C 온라인 플랫폼의 태동기는 1990년대 중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불과 20여년의 짧은 세월 속에서 치열한 경쟁을 뚫고 살아 남아 이제는 전 세계를 대표하는 거인 또는 공룡 기업이라고 불리우며 성장한 온라인 기업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정보로 잘 무장되어 있다.
9788965706250

온라인, 다음 혁명 (더 많은 데이터, 더 강력한 플랫폼, 더 진화된 비즈니스가 온다)

왕젠  | 쌤앤파커스
14,400원  | 20180515  | 9788965706250
"내가 왕젠 박사를 10년만 더 일찍 만났더라면 알리바바의 기술력은 지금보다 훨씬 앞섰을 것이다."(마윈, 알리바바 그룹 회장) 알리바바 그룹 내에서 일명 '박사'라 불리며 알리바바의 플랫폼 사업을 이끈 장본인이기도 한 저자가 세상에 '핵융합 반응'을 일으킨 인터넷, 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3가지 핵심 요소를 통해 플랫폼 전쟁에서 확실히 승기를 잡을 수 있는 비즈니스적 통찰과 지향점을 제공한다. 이 책은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이 가져올 새로운 비즈니스 생태계, 온라인 세상에서 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게 할 새로운 규칙들, 인류 문명이 통째로 업로드될 때 우리가 살아가게 될 도시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개인-기업-국가의 영역을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다양한 영역에서 생각할 거리들을 던져준다. 새로운 플랫폼 사업을 구상하고 있거나 온라인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사람들, 공적 영역에서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을 구상하는 사람들, 온라인 세상의 변화에 호기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모두에게 온라인에 대한 기존의 관념과 인식을 무너뜨리고 온라인 다음 혁명의 꿈틀거림을 확인하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