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윤찬영"(으)로 1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56366454

나를 단단하게 만드는 루틴의 힘 (나를 더 빛나게 만들어 줄 행복 루틴 세 가지)

윤찬영  | 마음세상
16,380원  | 20251020  | 9791156366454
나를 더 빛나게 만들어 줄 행복 루틴 세 가지 매일을 신나고 설레게 나를 더 사랑하며 살아가는 법 ▶ 성장 루틴을 통해 나를 찾는 법 〈나를 단단하게 만드는 루틴의 힘〉은 마흔 중반의 인생을 매일 새로움으로 살아가는 저자의 이야기를 담은 성장 에세이이다. 초등학교 교사였던 저자는 학급의 아이들 대신 세 자녀들을 키우는 삶을 택했다. 아이들을 키우며 행복했으나 주부 번아웃이 찾아왔다. 더 이상 엄마, 주부로만 살기가 싫었던 저자는 세 가지의 성장 루틴을 통해 스스로를 키워나갔다. ‘좋은 엄마, 좋은 아내’로 살아야 한다는 책임과 의무에서 자신을 해방시켰다. ‘엄마라는 이유로 많은 것을 희생하고 양보하다가 정작 자신은 잘 돌보지 못했던 자신 같은 사람’을 위해 더 이상은 그렇게 살지 말라고 이야기한다. 삶의 무게 중심을 가족에서 나로 옮겨야만 변화가 시작된다. 남편과 아이들에게 쏟았던 열정과 에너지를 나를 향해 쓰라고 이야기한다. 누구의 엄마도 아내도 아닌 나를 찾는 시간을 꼭 가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아이를 키우듯 자신을 키우고 스스로를 변화시킨 이야기이다. 느려도 실망하지 않고 자신만의 속도로 매일 새벽을 쌓아 올린 노하우가 구체적으로 잘 쓰여져 있다. 저자는 새벽을 가장 밀도 있고 생산적인 시간이라고 말한다. 이 책은 평범한 사람도 꾸준함이라는 무기만 장착한다면 얼마든지 성장하고 도약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저자는 5년차 러너이기도 하다. 우연히 시작한 달리기의 매력에 푹 빠져서 5년간 꾸준히 달리는 중이다. 매일 꾸준히 달리다 보니 그 누적 거리가 2876km가 되었다. 새벽마다 운동화 끈을 묶고 집 밖에 나서는 것이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달릴 때의 설레임, 흥분, 고통을 이겨낸 성취감 등을 매일 블로그에 기록했다. 그런 부분을 읽다 보면 나도 같이 달리는 것 같은 설레임과 행복감이 느껴진다. 달리기를 하며 일상을 여행처럼 살 수 있는 그런 인생을 살아보고 싶어진다. 미라클 모닝을 시작한다고 해서 하루 아침에 사람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변화를 위해서는 어떤 것이든 일단 시작 해야 한다. 작은 것이라도 시작하고 도전하면 나를 더 좋아하고 존중할 수 있다. 작은 도전으로도 자존감을 높일 수 있고 나를 기특하게 여기게 된다. 책 1줄 읽기, 글 한 줄 쓰기, 스쿼트 1개로 시작해도 좋다. 이 책은 작은 행동을 꾸준히 하며 누구나 의미 있는 변화를 이뤄낼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저자는 꾸준한 성장 루틴을 실행하며 자신을 더 사랑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꾸준히 할 수 있는 기분 좋은 일이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삶에 행복을 쌓을 수 있다. 꾸준함으로 결과를 만들었을 때 자신을 믿게 되고 그것은 스스로에게 큰 자산이 된다.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언젠가는 결과가 나온다는 믿음이 생기면 그 과정을 즐길 수 있다. 저자는 스스로 꾸준히 실천한 성장 루틴으로 자신의 삶을 바꿔나갔다. 그 방법이 그리 특별한 것은 아니기에 누구나 이 책을 읽는다면 나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나를 단단하게 만드는 루틴의 힘〉 나만의 방법으로 즐겁게 성장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친절한 가이드가 되어 줄 그런 책이다.
9791198482631

로컬 혁명 (서울공화국의 전복을 꿈꾸는 7인의 혁명가들)

윤찬영  | 스탠다드북스
13,500원  | 20231215  | 9791198482631
빛과 그림자가 엄존하는 로컬의 현실에서 진짜와 가짜를 가려낼 수 있는 지도와 나침반이 되어 줄 책 자타가 인정하는 대표 로컬 크리에이터 7명의 속내를 들여다보다 합계출산율 0.7명 시대, 소멸 위기에 처한 서울 밖 변방에서 서울공화국의 전복을 꿈꾸는 7인의 로컬 혁명가들 이야기. 너도나도 ‘로컬’ 타령이다. 한쪽에선 로컬을 되살릴 해법을 찾느라 분주하고 다른 쪽에선 누군가 로컬을 더 망칠까봐 걱정이다. 합계출산율 0.6명 시대(2024년 전망치)를 눈앞에 두고 있는 대한민국의 슬픈 자화상이다. 이른바 ‘지역 소멸’ 위기에 놓였다는 지역 지자체들은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해법을 만들어 올려야 ‘지역소멸대응기금’ 같은 중앙정부 예산이라도 더 받을 수 있으니 어떻게든 그럴듯한 계획을 짜내려 애를 쓴다. 그러다 보니 여기저기서 비슷한 행사들이 줄을 잇고 있다. 제목만 다를 뿐 대부분 15분짜리 성공담 서너 개로 채워지는 행사들이다. 안 듣는 것보다야 나을 순 있겠지만 이게 다라면 곤란하지 않을까. 그래도 곳곳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어 다행이다. ‘골목 식당’ 살리기로 이름을 날린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는 고향인 충남 예산에서 재래시장 살리기에 나섰다. 알려진 것과 달리 2019년 무렵에 시작한 일이라고 하니 거의 4년을 매달린 셈이다.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새마을호만 겨우 서는 인구 7만 명 도시 예산군에 올해 1월부터 8개월 동안 무려 140만 명을 불러들였다. 한때 ‘청년몰’로 모아지던 재래시장(또는 상권) 활성화 시도(모델)가 벽에 부딪힌 상황에서 곳곳에서 새로운 실험이 벌어지고 있는 건 반가운 일이다(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를 끝으로 더는 청년몰을 새로 만들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마냥 고운 건 아니다. 돈벌이에만 매달린다거나 로컬에 어울리지 않는 ‘힙하기만 한 공간’들이라며 깎아내리기도 하고, 얼마 못 가 문 닫고 떠나면 차라리 없던 것만도 못하게 될 거라며 벌써부터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 책은 2023년 6월부터 8월까지 〈오마이뉴스〉에 연재한 7편의 인터뷰 기사를 엮은 결과물이다. 로컬에 전에 없던 관심이 몰리는 상황에서 진짜와 가짜를 가려보자는 뜻으로 시작한 작업이었다. 주변을 떠도는 달콤한 성공담에 쉽게 휩쓸리지도 말고, 건너건너 귀에 들어온 그럴듯한 뒷이야기에 속아 넘어가지도 않았으면 하는 뜻이다. 마을 스테이, 소상공인 생태계, 로컬 브랜딩, 빈집 되살리기, 골목상권, 로컬 투자, 로컬 미디어 등 7개 분야를 추리고 각각에서 내로라하는 로컬 크리에이터이자 로컬 혁명가 7명을 골라 속내를 들어보았다. 다들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넘게 로컬에 단단히 뿌리를 내리고 로컬의 다른 미래를 개척해온 이들이다. 그들이 바라보는 로컬의 희망과 절망, 빛과 그림자 그리고 우리 사회에 전하고 싶은 당부의 말을 들어보았다. 이 책이 앞이 보이지 않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어가는 데 의미 있는 나침반이 되어주리라 믿는다.
9788958099871

사회복지의 이해 (제3판)

윤찬영  | 정민사
20,680원  | 20230730  | 9788958099871
금번 개정에서는 협의회의 취지를 반영하고 이와 관련하여 사회복지사의 정체성을 좀 더 심층적으로 성찰하게 하기 위하여 사회복지 실천주체로서 사회복지사를 실천가, 전문가, 행정가, 노동자로서 이해하도록 제시하고자 한다.
9788959127849

인권 복지론 (인권과 함께하는 복지 실천)

윤찬영  | 신정출판사
11,880원  | 20220310  | 9788959127849
사회복지 대상자의 인권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 및 사회복지 제공자들의 인권조차 위급한 상태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더 늦기 전에 인권에 관련하여 사회복지 실천방법과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현대사회에서 소외된 인간의 인권을 회복하는 사회복지 실천의 틀과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앞으로 사회복지학의 정당성의 기반을 확보하는 길이 될 것으로 본다.
9791196486938

줄리엣과 도시 광부는 어떻게 마을과 사회를 바꿀까?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30가지 사회 혁신 실험)

윤찬영  | 바틀비
0원  | 20190211  | 9791196486938
환경을 보호하는 에너지 재생 가상화폐 줄리엣, 마을의 쓰레기를 줄이고 주민과 행정의 가교를 잇는 도시 광부, 아프리카 르완다에서 혈액 공급 체계를 세워 수많은 생명을 살린 드론 등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시민, 기업, 단체, 자원봉사자, 정부와 행정기구들, 과학기술과 플랫폼들의 다각도의 노력이 ‘사회 혁신’이라는 흐름으로 모아지고 있다. 이 책은 전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주요한 사회 혁신 실험 30가지를 소개한다. 특히 사회 혁신을 미래를 위한 전략 어젠다로 상정하고 발전시켜나가고 있는 유럽의 현황과 자료를 상세히 분석하고 한국 현실과 대비하여 우리나라의 사회 혁신이 나아갈 바를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생활 현장의 문제의식과 개선 노력을 정리하는 필드 스터디(현장 연구) 시리즈인 ‘이웃집 연구자’ 시리즈의 첫 번째 책이기도 하다.
9788958095491

사회복지의 이해 (개정판)

윤찬영  | 정민사
0원  | 20170820  | 9788958095491
▶ 이 책은 사회복지를 다룬 이론서입니다. 사회복지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9788930035996

사회복지법제론 (개정7판)

윤찬영  | 나남
31,280원  | 20170305  | 9788930035996
전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윤찬영의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법에 대한 연구의 기초를 제시하는 총론서다. 사회복시실천의 필수적 도구인 사회복지법에 대해 배워나간다. 최근 판례를 보충하여 사회복지법을 둘러싼 소송의 내용과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9791190912211

로컬 꽃이 피었습니다 (로컬 꽃을 피우는 발자취를 따라서)

윤찬영, 심병철  | Storehouse(스토어하우스)
14,220원  | 20211123  | 9791190912211
궁금했다. 누가, 대체 왜 이런 곳에 꽃을 피우기로 마음을 먹었는지, 땅을 고르고 씨를 뿌리는 일이 고되지는 않았는지, 이 많은 꽃들을 피워내기까지 다른 누구에게 어떤 도움을 받았는지, 그리고 앞으로는 또 어디에 어떤 꽃들을 심고 가꿔나갈 생각인지……. 그래서 내가 물어보기로 했다. 지난 10월 18일 행정안전부는 시·군·구 89곳을 ‘인구 감소 지역’으로 지정했다. 정부가 직접 나서서 지수를 만들고 지역을 지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건 지자체들이 저마다 현실에 맞는 ‘맞춤형’ 정책 대안을 ‘지역 주도의 상향식’으로 수립해 시행할 수 있도록 정부가 뒷받침하겠다는 대목이다. 전국 곳곳에 혁신도시를 조성해 인구를 분산시키려던 정책처럼 중앙정부가 하나부터 열까지 계획을 세워 똑같이 내려 먹이는 것만으로는 기대하는 효과를 거두기 힘들다는 사실을 인식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남은 문제는 지역마다 제대로 된 ‘맞춤형’ 해법을 만들어내는 일이다. 어떻게 하면 될까. 두 번의 큰 선거를 앞두고 있는 오늘, 여전히 로컬 의제는 뒷전으로 밀린 상황에서 그 실마리를 제공할 책이 출간되었다. 서울 밖에서,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고 싶은 삶을 사는 생생한 목소리를 담은 『슬기로운 뉴 로컬생활』(2021년 세종도서 선정)에 이어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은 1년 만에 다시 『로컬 꽃이 피었습니다』를 출간했다. 『슬기로운 뉴 로컬 생활』이 도시마다 점 하나를 찾아 살핀 책이었다면, 『로컬 꽃이 피었습니다』는 도시 여기저기에 흩어진 여러 점들을 찾고 이어가며 그 점들 사이의 관계를 들여다본 책이다. ‘로컬 생태계’의 현실을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려 한 첫 번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로컬이 사라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로컬에서 자기에게 어울리는 일거리를 찾거나 만들어서 지금까지 생각지도 못했던 ‘더 나은 삶’을 살면서 로컬 꽃을 피우는 이들과 그들과 관계를 맺으며 다양하게 협력하는 이들도 있다. 주저자인 윤찬영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현장연구센터장은 2월부터 8월까지 여섯 달 동안 공주 봉황동ㆍ반죽동을 시작으로 군산 개복동과 영화동ㆍ월명동, 부산 영도 곳곳, 속초 동명동ㆍ교동 그리고 거제 장승포동을 돌며 이른바 기업 가치 창업가와 로컬 크리에이터, 중앙ㆍ지방정부 공무원과 지방의원, 연구자와 중간지원기관 활동가, 문화예술인, 임팩트 투자사와 사회기관 대표, 대기업 CSR 담당자 등 약 70명을 만나 그들의 관계와 발자취를 다섯 개의 이야기로 담아냈다. 공저자인 심병철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책임연구원도 충청북도 청주와 충주 곳곳을 돌면서 10여 명을 만나 이야기 하나를 보탰다. 『로컬 꽃이 피었습니다』는 예쁜 꽃의 모습만 담아내지 않았다. 꽃이 비바람에 흔들리듯 하루하루 로컬에서 경험하는 모습 그대로 보여준다. 또한 이 책은 로컬을 지키고 꽃을 피우려 애쓰는 이들의 분투기이기도 하지만, 어떻게 하면 로컬이 다시 번성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미완의 성공담’이기도 하다.
9791190812658

뉴 로컬 컬처 키워드 (NO 지역 소멸 YES 지역 재생, 지방에 부는 새로운 바람)

박우현, 박누리, 서진영, 윤찬영  | 북바이북
16,200원  | 20250814  | 9791190812658
주거 공간부터 문화 시설까지 모든 것이 수도권으로 모여드는 도시 집중화 시대다. 날이 갈수록 심화하는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면 지역의 삶과 문화를 세심하게 들여다봐야 한다. 이 책에서는 교육, 청년, 지역 재생, 마을 스테이, 러닝 등 각 지역의 주목할 만한 키워드 18개를 선정해 그와 관련된 다양한 로컬 문화를 살펴본다. 저자들은 지역으로 이주하거나, 좋아하는 지역을 일상의 거점으로 삼거나, 도시에 살지만 로컬 지향적으로 살아가는 등 다양한 형태로 지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심층적으로 풀어낸다. 이 책은 지역 활성화 해법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지역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9791198103031

사면안정 설계이론 및 실무해석 (설계이론 및 실무해석)

김병일, 김영근, 윤찬영, 봉태호  | 에이퍼브프레스
19,800원  | 20230112  | 9791198103031
- 사면안정 교재의 친절한 변신 - 학생들이 원하고 교수진이 기다리던 교재 21세기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공학교육 인증제도가 보편화되면서 실무 중심의 설계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학부 및 대학원에서 오랫동안 전공 강의를 진행해 오고 있는 김병일 교수를 비롯한 필진들이 힘을 모아 시대에 맞춤한 강의용 교재를 집필했다. 지반 분야 전문가들로 이뤄진 저자들은 이 책이 “취업 후에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능력 향상의 바이블이 될 것”을 바라며 집필했다고 밝힌다.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현장에서 필요한 능력은 별개인 경우가 많다. 하여 제아무리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전공자들도 취업 후 바로 직무에서 제 역량을 발휘하기가 어려운 현상이 왕왕 있다. 저자들은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실무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되는 알짜배기 지식 위주로 교재를 구성했다. 특히 기존 교재들의 아쉬운 점으로 꼽히는 구성의 복잡함과 난해함을 경계하며 학부와 대학원생 수준에서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서술하고 배치하는 데 공을 들였다. 사면안정 개요, 사면안정 해석이론, 사면안정 대책공법, 사면안정 해석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사면안정 해석 프로그램으로는 최근 각 대학 및 엔지니어링 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TALREN과 SLOPE/W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방법, 실제 해석 예제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9788999728600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윤찬영, 김광병, 송인규, 이윤진  | 학지사
16,200원  | 20230225  | 9788999728600
사회복지실천의 도구이자 수단으로 법을 활용하는 사회복지법제 실천을 돕는 친절한 교과서 살아가면서 우리는 불가피하게 어떠한 사건이나 사고에 휘말리곤 한다. 사건·사고는 각종 법률관계에 묶여 있다. 특히 사회복지는 삶과 죽음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사건들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법은 따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을 정도다. 사회복지법은 우리 생활을 광범위하게 규율하는 법이자 실생활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기 때문에 사회복지법이란 무엇인지 알아보는 일은 필연적일 것이다. 사회복지학도 혹은 관련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하루하루 인생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사회복지법이란 무엇인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법 영역인지 살펴보는 일은 중요하다. 사회복지의 등장은 국가가 국민을 돕는 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점차 국가의 규모가 커지고 사회 구성원들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사회복지는 법의 영역과 필수불가결한 분야로 거듭나게 됐다. 법이 없는 사회복지는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법을 기반으로 한 사회복지실천이 요구되는 현실이다. 중요성과 당위성도 알고 있지만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법학을 다루는 일은 매우 어렵고 까다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사회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도구이자 수단으로 법을 활용하는 사회복지법제에 대한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당위성을 기반으로 윤찬영 교수를 포함한 여러 전문가들이 모여 『사회복지법제 실천』를 출간하였다. 학문의 융합과 통섭의 시대에 발맞춰 학자와 사회복지사 출신 변호사가 협업하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교과목 지침서에 따라 사회복지 학도들이 사회복지법을 쉽게 공부하여 실천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도서는 사회복지실천 현장과 강의실에서 전공자들에게 요긴한 길잡이로 쓰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9791197058172

INTO THE METAVERSE

이유리, 홍주원, 윤찬영, 김준호, 이서윤  | 더컴퍼니엘
18,000원  | 20220505  | 9791197058172
To simply explain, without any pretenses - this book is about the Metaverse. This word might sound familiar to some of you, you might remember hearing about it somewhere and searching it up right after as you were left feeling confused. The search might not even help much as the internet is currently overflowing with information about virtual reality, bitcoin, NFTs and so much more. It might leave you even more frustrated and curious about what does this actually mean and how important it is? In this collection of essays, we tried answering some of those questions and giving you a quick rundown of what Metaverse is and what it can mean for our future. All of the essays were written by middle school students who similar to you were also taken aback by this concept the first time they heard about it. But through a lot of hard work and a little bit of luck, they finally managed to bring this project to an end and see this collection come to light. Various Metaverse topics are covered in these essays, from the economy to the gaming industry, education, and even the narrative essays about the more fictional side of it. We hope that by the end of this book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a bit more about what this mysterious world of the metaverse is and how to navigate through it.
9788993156058

지반구조물 설계이론과 실무

윤찬영, 이승현, 권오순, 김정환  | 새론
0원  | 20091130  | 9788993156058
이 책은 옹벽, 흙막이 벽체, 널말뚝 등 기초 이외의 대표적인 지반구조물의 설계 이론과 설계방법을 다룬 것으로 대학 및 대학원 과정의 강의용과 실무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책에 수록된 대부분의 내용은 국내에서 설계시 이용되고 있는 보편적인 내용을 토대로 서술되었으며, 복잡한 내용은 배제하고 가능하면 간결하고 쉽게 설명하려 노력하였습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