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음식디미방"(으)로 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7443749

음식디미방 (다시 보고 배우는)

한복려, 박준희, 이소영, 임승정, 정라나, 진선미, 최순아, 장소영  | 선일당
63,000원  | 20221005  | 9791197443749
“17세기 규방에서 나온 한글 조리서, 해석과 재현으로 전통음식 연구의 지침이 되다.” 〈음식디미방〉은 석계 (石溪) 이시명(李時明)의 처 정부인(貞夫人) 안동 장씨 장계향(張桂香)이 말년에 저술한 음식 조리서로, 집필 시기는 1670년경으로 추측되며 집안의 조리법을 딸과 며느리에게 전해주기 위해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6개 항목에 달하는 음식 조리법을 서술한 ‘책 한 권으로 된 최초의 한글 조리서’로 17세기 중엽 우리 조상들의 식생활 실상을 잘 알려 주는 중요한 문헌이며, 조선시대 음식 문화 연구에 있어 그 어떤 자료보다 귀한 가치를 지닌다. 〈음식디미방〉의 내용은 크게 면병류(麵餠類), 어육류(魚肉類), 과일 · 채소 저장법, 소채류(蔬菜類), 맛질방문, 주류(酒類) · 초류(醋類)로 나눌 수 있다. 실제 책(원작)에는 면병류와 어육류로만 표시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기록된 순서에 준하여 필자가 임의대로 구분한 것이다.
9788971801338

음식디미방 (고전총서 10)

편집부  | 경북대학교출판부
75,000원  | 20110923  | 9788971801338
17세기 중엽의 음식문화, 음식 조리 방법을 알 수 있는 한글로 쓰여진 최고(最古)의 조리서. 은 경상북도 영양 지방에 살았던 사대부가의 정부인 안동 장씨가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거나 스스로 개발한 조리법을 기록한 생활사 자료로, 가루음식과 떡 종류의 조리법을 설명한 면병류 등 모두 146개 항에 달하는 음식 조리법을 한글로 서술한 최초의 한글 조리서이다. 이 책은 을 컬러로 영인하고 현대어로 각주을 달아 소개하고 있다.
9788985719032

음식디미방

안동장씨부인  | 궁중음식연구원
0원  | 20100320  | 9788985719032
『다시보고 배우는 음식디미방』은 크게 음식디미방의 재현, 불천위 제례 총 2부로 구성했다. 46품의 음식을 골라 현대어로 만드는 법과 재료, 참고가 될 내용을 사진과 함께 수록했으며, 그 외 원문도 누구든지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풀어썼다. 원문 영인도 덧붙였다. 2부에서는 안동장씨를 불천위 제례로 모시게 된 연유와 제수 준비, 그리고 제수 만드는 과정을 설명했다.
9791197482816

음식디미방 총람 總覽

이진학  | 한국음식디미방문화원
113,400원  | 20230728  | 9791197482816
우리나라 최초의 순한글 조리서인 음식디미방을 이해하고, 저자인 장계향 선생에 일생과 철학, 그리고 음식디미방 원문에 서록된 146가지의 음식법을 원문에 입각해서 기술함으로써 350여 년 전인 조선중기 우리나라 전통음식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뿐만 아니라 음식디미방에 수록된 음식이 다른 고조리서에는 어떻게 기술되어 있고,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전통음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초점을 두고 기술하였다. 한식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음식디미방 총람』이 지침서가 될 수 있는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9788991990111

음식디미방 주해

백두현  | 글누림
26,100원  | 20060228  | 9788991990111
흘림체 글씨와 난해한 어휘로 읽기가 어려워 연구자들이 이용하기 어려웠던 책을 주해하고 주석을 단 책이다. 국어연구의 귀중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음식은 물론 당대의 언어사실들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풍부한 자료이다....
9791192153049

중국의 음식디미방: 수원식단 (수원식단 隨園食單)

원매  | 도서출판 수류화개
18,000원  | 20220615  | 9791192153049
청나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요리책 《수원식단隨園食單》을 번역한 《중국의 음식 디미방》 출간!! 음식 서적의 출현은 매우 오래되었지만 명나라·청나라 때처럼 대량으로 출간된 적은 없었다. 이 시기에 출간된 자료가 전체에서 약 3분의 2가량이나 된다. 그 중 건륭乾隆 57년(1792)에 출간된 원매의 《수원식단》은 청나라 요리의 기준을 마련하였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청나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요리책이다. 《수원식단》은 우선 이전에 출간된 그 어떤 음식 서적보다 내용이 방대하면서도 제비집, 해삼, 상어지느러미 등 다양한 요리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또한 육식이 채식만 못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에 대해 청나라 학자 양장거梁章鉅는 “《수원식단》이 중요시하는 조리법은 항상 채소를 먹고, 산해지미가 없어도 우아한 사람의 깨끗한 정취를 잃지 않는 것이다.”라고 평가하였다. 원매의 요리를 대하는 태도와 적극적인 자세를 잘 보여주는 책 《수원식단》의 서문을 보면, 대접받은 음식이 맛이 있으면 그 요리법을 적극적으로 배우기를 자청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겼다. 또 첫머리에 일종의 개론이라고 할 수 있는 글을 두어 요리를 대하는 태도를 포괄적으로 기술하였다. 그중 첫 번째로 ‘식재료의 성질에 대하여 제일 먼저 알아야 한다[先天須知]’고 강조한다. 식재료는 모든 음식의 기본이며 맛을 결정짓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각 재료의 성질이나 자라는 환경에 따라 요리하는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요리의 완성에서 요리사의 공로가 60%라면 올바른 재료의 선택이 40%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요리에 대한 인식은 오늘날 값비싼 재료의 범벅이 아닌 재료의 본맛을 살린 것이야 말로 최상의 요리가 됨을 강조한 것으로, 오늘날 요리사가 강조하는 요리법의 뿌리가 됨을 알 수 있다.
9788971804605

음식디미방과 조선시대 음식문화

남권희  | 경북대학교출판부
21,850원  | 20170907  | 9788971804605
음식디미방은 조선시대 한글 음식 조리서의 백미이다. 장씨 부인은 조리의 주체로서 식재료의 생산과 획득, 조리 과정, 조리 기구, 빈례와 집안의 각종 대소사에 따른 음식 준비, 시의적절한 식품의 갈무리 방법을 꼼꼼히 기술하여, 350년 뒤 후손들도 17세기 경상도 지역 사대부가의 식생활을 엿볼 수 있게 하였다. 전문 조리자가 읽어도 감탄을 자아낼 만큼 서술이 생생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과학적이다. '음식디미방'은 학계 및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과 일반인들에게까지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조선시대 음식 조리서를 대표하는 책으로 평가받아 왔다. 이런 평가를 받으면서 일반 대중들에게까지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이 책이 그만한 가치를 가졌기 때문이다. '음식디미방과 조선시대 음식문화'는 '음식디미방'이 이와 같이 높이 평가된 근거를 밝히고, '음식디미방'의 위상과 가치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