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음식디미방

음식디미방

(다시 보고 배우는)

한복려, 박준희, 이소영, 임승정, 장소영, 정라나, 최순아 (지은이), 장계향(정부인 안동 장씨) (원작), 김귀영, 박록담 (감수)
선일당
7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3,000원 -10% 0원
3,500원
59,500원 >
63,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6,300원
56,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음식디미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음식디미방 (다시 보고 배우는)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나라별 요리 > 한국요리
· ISBN : 9791197443749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2-10-05

책 소개

〈음식디미방〉은 146개 항목에 달하는 음식 조리법을 서술한 ‘책 한 권으로 된 최초의 한글 조리서’로 17세기 중엽 우리 조상들의 식생활 실상을 잘 알려 주는 중요한 문헌이며, 조선시대 음식 문화 연구에 있어 그 어떤 자료보다 귀한 가치를 지닌다.

목차

여는 글
필연으로 만난 규방 최초의 한글 조리서
음식디미방의 새로운 해석본

음식디미방의 내용과 가치

음식디미방 • 현대어 풀이

[면병뉴 · 면병류 麪餠類]
면 · 면(麵)
만두법 · 만두법(饅頭法)
싀면법 · 세면법(絲麵法)
토쟝법 녹도나화 · 토장법 녹두나화
탹면법 · 착면법(着麵法)
상화법 · 상화법(霜花法)
증편법 · 증편법(蒸餠法)
셩이편법 · 석이편법(石耳餠法)
섭산ᄉᆞᆷ법 · 섭산삼법(葉山蔘法)
젼화법 · 전화법(煎花法)
빈쟈법 · 빈자법(貧子法)
슈교ᄋᆡ법 · 수교애법(水餃子法)
잡과편법 · 잡과편법(雜果餠法)
밤설기법 · 밤설기법(栗糕法)
연약과법 · 연약과법(軟藥果法)
다식법 · 다식법(茶食法)
박산법 · 박산법(薄饊法)
ᄋᆡᆼ도편법 · 앵두편법(櫻桃片法)

[어육뉴 · 어육류 魚肉類]
어젼법 · 어전법(魚煎法)
어만도법 · 어만두법(魚饅頭法)
ᄒᆡᄉᆞᆷ 달흐ᄂᆞᆫ 법 · 해삼 다루는 법
대합 · 대합(大蛤)
모시죠개 가막죠개 · 모시조개 가막조개(蝸角湯)
ᄉᆡᆼ포 간숏ᄂᆞᆫ· 생복(生鰒) 간수하는 법
게젓 ᄃᆞᆷᄂᆞᆫ 법 · 게젓 담는 법(蟹醢)
약게젓 · 약게젓(藥蟹醢)
별탕 · 별탕(鼈湯) 자라탕
붕어ᄶᅵᆷ · 붕어찜(鮒魚蒸)
대구겁질느ᄅᆞ미 · 대구껍질느르미
대구겁질ᄎᆡ · 대구껍질채
ᄉᆡᆼ치팀ᄎᆡ법 · 생치침채법(生雉沈菜法) 꿩김치법
ᄉᆡᆼ치ᄌᆞᆫ지히 · 생치짠지
ᄉᆡᆼ치지히 · 생치지히
별미 · 별미(別味)
난탕법 · 난탕법(卵湯法)
국의 ᄐᆞᄂᆞᆫ 것 · 국에 타는 것
쇼ㅣ고기 ᄊᆞᆷᄂᆞᆫ 법 · 소고기 삶는 법
양슉 · 양숙(羘熟)
양슉편 · 양숙편(羘熟片)
죡탕 · 족탕(足湯)
연계ᄶᅵᆷ · 연계찜(軟鷄蒸)
웅쟝 · 웅장(熊掌)
야졔육 · 야제육(野猪肉) 멧돼지고기
가뎨육 · 가제육(家猪肉) 집돼지고기
개쟝 · 개장(狗腸) 개창자순대
개장고지느ᄅᆞᆷ이 · 개장고지느르미 개고기산적느르미
개쟝국느ᄅᆞᆷ이 · 개장국(狗醬)느르미
개쟝ᄯᅵᆷ · 개장찜(狗腸蒸)
누른개 ᄡᆞᆷᄂᆞᆫ 법 · 누렁개 삶는 법
개장곳ᄂᆞᆫ법 · 개장 고는 법 개고기 고는 법
고기 ᄆᆞᆯ노이ᄂᆞᆫ 법 · 고기 말리는 법
고기 ᄆᆞᆯ로이고 오래 두ᄂᆞᆫ 법 · 고기 말려 오래 두는 법
ᄒᆡᄉᆞᆷ 젼복 · 해삼(海蔘) 전복(全鰒)
년어난 · 연어알
ᄎᆞᆷ새 · 참새

[맛질방문]
셕뉴탕 · 석류탕(石榴湯)
슈어만도· 숭어만두(秀魚饅頭)
슈증계 · 수증계(水蒸鷄)
질긘고기 ᄡᆞᆷᄂᆞᆫ 법 · 질긴 고기 삶는 법
쳥어념혀법 · 청어염해법(靑魚鹽醢法)
ᄃᆞᆰ국ᄂᆞᆫ법 · 닭 굽는 법
양봇ᄂᆞᆫ법 · 양 볶는 법
계란탕법 · 계란탕법(鷄卵湯法)
난면법 · 난면법(卵麵法)
별챡면법 · 별착면법(別着麵法)
싀면법 · 세면법(細麵法)
약과법 · 약과법(藥果法)
듕박겨 · 중박계(中朴桂)
빙ᄉᆞ과 · 빙사과(氷沙菓)
강졍법 · 강정법
인뎔미 굽ᄂᆞᆫ 법 · 인절미 굽는 법

[소채류 蔬菜類]
복셩 간숏ᄂᆞᆫ 법 · 복숭아 간수하는 법
동화느ᄅᆞ미 · 동아느르미
동화선 · 동아선(冬瓜饍)
동화돈ᄎᆡ · 동아돈채
동화젹 · 동아적(冬瓜炙)
가지느ᄅᆞᆷ이 · 가지느르미
가지짐 외짐 · 가지찜(茄子蒸) 오이찜(瓜蒸)
외화ᄎᆡ · 오이화채(瓜花菜)
년근ᄎᆡ · 연근채(蓮根菜)
숙탕 · 쑥탕(艾湯)
슌탕 · 순채탕(蓴菜湯)
산갓침ᄎᆡ · 산갓침채(山芥沈菜) 산갓김치
잡ᄎᆡ · 잡채(雜菜)
건강법 · 건강법(乾薑法) 생강 말리는 법
슈박 동화 간숏ᄂᆞᆫ 법 · 수박, 동아 간수하는 법
동화ᄃᆞᆷᄂᆞᆫ법 · 동아 담는 법
가지간숏ᄂᆞᆫ 법 · 가지 간수하는 법
고사리 담ᄂᆞᆫ 법 · 고사리 담는 법
마ᄂᆞᆯ ᄃᆞᆷᄂᆞᆫ 법· 마늘 담는 법
비시ᄂᆞ믈 ᄡᅳᄂᆞᆫ법 · 비시(非時)나물 쓰는 법 제철이 아닌 나물 쓰는 법

[주방 酒方]
쥬국방문 · 주국방문(酒麴方文)
술과 누룩 만드는 법
슌향쥬법 · 순향주법(醇香酒法)
삼ᄒᆡ쥬 스무말 비지 · 삼해주(三亥酒)1 20말 빚기
삼ᄒᆡ쥬 열말 비지 · 삼해주(三亥酒)2 10말 빚기
삼ᄒᆡ쥬 · 삼해주(三亥酒)3
삼ᄒᆡ쥬 · 삼해주(三亥酒)4
삼오쥬 · 삼오주(三午酒)
삼오쥬 · 삼오주(三午酒)2 15말 빚기
니화쥬 누록법 · 이화주(梨花酒) 누룩법
니화쥬법 ᄒᆞᆫ말 비지 · 이화주(梨花酒)1 1말 빚기
니화쥬 닷말 비지 · 이화주(梨花酒)2 5말 빚기
니화쥬법 · 이화주법(梨花酒法)3 2말 빚기
니화쥬법 · 이화주법(梨花酒法)4
졈감쳥쥬 · 점감청주(粘甘淸酒)
감향쥬 · 감향주(甘香酒)
송화쥬 · 송화주(松花酒)
듁엽쥬 · 죽엽주(竹葉酒)
뉴화쥬 · 유화주(流霞酒)
향온쥬 · 향온주(香蘊酒)
하졀 삼일쥬 · 여름철 삼일주 (夏節 三日酒)
ᄉᆞ시쥬 · 사시주(四時酒)
쇼곡쥬 · 소곡주(少麯酒)
일일쥬 · 일일주(一日酒)
ᄇᆡᆨ화쥬 · 백화주(百花酒)
동양쥬 · 동양주(冬陽酒)
졀쥬 · 절주(節酒)1
벽향쥬 · 벽향주(碧香酒)1
남셩쥬 · 남성주(南星酒)
녹파쥬 · 녹파주(綠波酒)
칠일쥬 · 칠일주(七日酒)1
벽향쥬 · 벽향주(碧香酒)2
두강쥬 · 두강주(杜康酒)
졀쥬 · 절주(節酒)2
별쥬 · 별주(別酒)
ᄒᆡᆼ화츈쥬 · 행화춘주(杏花春酒)
하졀쥬 · 하절주(夏節酒)
시급쥬 · 시급주(時急酒)
과하쥬 · 과하주(過夏酒)
졈쥬 · 점주(粘酒)
졈감쥬 · 점감주(粘甘酒)
하향쥬 · 하향주(荷香酒)
부의쥬 · 부의주(浮蟻酒)
약산츈 · 약산춘(藥山春)
황금쥬 · 황금주(黃金酒)
칠일쥬 · 칠일주(七日酒)2
오가피쥬 · 오가피주(五加皮酒)
챠쥬법 · 차주법(借酒法)
쇼쥬 · 소주(燒酒)1 쌀소주
밀쇼쥬 · 밀소주(小麥燒酒)
ᄎᆞᆸᄡᆞᆯ쇼쥬 · 찹쌀소주(糯米燒酒)
쇼쥬 · 소주(燒酒)2 쌀소주
초 ᄃᆞᆷᄂᆞᆫ 법 · 초 담그는 법1
초법 · 초법(醋法)2
ᄆᆡᄌᆞ초 · 매자초(梅子醋)

음식디미방 • 음식 만들기

[면병뉴 · 면병류 麪餠類]
면 · 면(麵) 메밀국수
만두법 · 만두법(饅頭法) 메밀만두, 채소만두
싀면법 · 세면법(絲麵法) 가는 녹말국수
토쟝법 녹도나화 · 토장법 녹두나화 깻국녹말국수
탹면법 · 착면법(着麵法) 오미자착면
상화법 · 상화법(霜花法)
증편법 · 증편법(蒸餠法)
셩이편법 · 석이편법(石耳䭏法)
섭산ᄉᆞᆷ법 · 섭산삼법(葉山蔘法) 더덕병
젼화법 · 전화법(煎花法) 화전
빈쟈법 · 빈자법(貧子法) 빈자병
슈교ᄋᆡ법 · 수교애법 오이물만두
잡과편법 · 잡과편법(雜果䭏法)
밤설기법 · 밤설기법(栗糕法)
연약과법 · 연약과법(軟藥果法)
다식법 · 다식법(茶食法)
박산법 · 박산법(薄饊法)
ᄋᆡᆼ도편법 · 앵두편법(櫻桃片法)

[어육뉴 · 어육류 魚肉類]
어젼법 · 어전법(魚煎法) 숭어전
어만도법 · 어만두법(魚饅頭法)
ᄒᆡᄉᆞᆷ 달흐ᄂᆞᆫ 법 · 해삼 다루는 법 해삼느르미, 해삼찜
대합 · 대합(大蛤) 대합구이, 대합회
모시죠개 가막죠개 · 모시조개 가막조개
(蝸角湯) 조개탕
약게젓 · 약게젓(藥蟹醢)
소금참게젓, 간장참게젓
별탕 · 별탕(鼈湯) 자라탕
붕어ᄶᅵᆷ · 붕어찜(鮒魚蒸)
대구겁질느ᄅᆞ미 · 대구껍질느르미
대구겁질ᄎᆡ· 대구껍질채
ᄉᆡᆼ치팀ᄎᆡ법 · 생치침채법(生雉沈菜法) 꿩김치
ᄉᆡᆼ치ᄌᆞᆫ지히 · 생치짠지 꿩짠지볶음
ᄉᆡᆼ치지히 · 생치지히 꿩오이지볶음
별미 · 별미(別味) 닭대구편
난탕법 · 난탕법(卵湯法) 수란국
국의 ᄐᆞᄂᆞᆫ 것 · 국에 타는 것 닭장
양슉 · 양숙(羘熟)
양슉편 · 양숙편(羘熟片)
죡탕 · 족탕(足湯)
연계ᄶᅵᆷ · 연계찜(軟鷄蒸)
가뎨육 · 가제육(家猪肉) 집돼지고기볶음
ᄒᆡᄉᆞᆷ 젼복 · 해삼(海蔘) 전복(全鰒)
해삼탕, 전복탕
년어난 · 연어알
소금연어알젓, 간장연어알젓

[맛질방문]
셕뉴탕 · 석류탕(石榴湯) 석류만두탕
슈어만도 · 숭어만두(秀魚饅頭) 숭어만두탕
슈증계 · 수증계(水蒸鷄) 닭찜
쳥어념혀법 · 청어염해법(靑魚鹽醢法)
청어젓, 방어젓
ᄃᆞᆰ국ᄂᆞᆫ법 · 닭 굽는 법 닭구이
양봇ᄂᆞᆫ법 · 양 볶는 법 양볶기
계란탕법 · 계란탕법(鷄卵湯法) 수란국
난면법 · 난면법(卵麪法) 계란국수
챠면법 · 차면법 오미자메밀국수
약과법 · 약과법(藥果法)
듕박겨 · 중박계(中朴桂)
빙ᄉᆞ과 · 빙사과(氷沙菓)
강졍법 · 강정법
인뎔미 굽ᄂᆞᆫ 법 · 인절미 굽는 법

[소채류 蔬菜類]
동화느ᄅᆞ미 · 동아느르미
동화선 · 동아선(冬瓜饍)
동화돈ᄎᆡ · 동아돈채 동아깨즙채
동화젹 · 동아적(冬瓜炙)
가지느ᄎᆡ이 · 가지느르미
가지짐 외짐 · 가지찜(茄子蒸) 오이찜(瓜蒸)
외화ᄎᆡ · 오이화채(瓜花菜) 오이국수
년근ᄎᆡ · 연근채(蓮根菜) 연근적
숙탕 · 쑥탕(艾湯) 청어쑥국
슌탕 · 순채탕(蓴菜湯) 순정과
산갓침ᄎᆡ · 산갓침채(山芥沈菜) 산갓김치
잡ᄎᆡ · 잡채(雜菜)

정부인 안동 장씨 생애와 불천위 제례
-장계향(안동 장씨 부인)의 생애와 조리서 집필 이야기
-불천위 제례
찾아보기
음식디미방 원본

저자소개

한복려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식품공학과 졸업(농학석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졸업(이학박사)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궁중음식' 기능보유자이자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과 공익법인 궁중음식문화재단 이사장이다. 조선왕조 마지막 주방 상궁에게 궁중 음식을 전수받아 사라질 위기에 처했던 한국 음식 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는 데 큰 공을 세운 고(故) 황혜성 교수의 장녀이기도 하다. 어릴 때부터 어머니에게 음식을 전수받았고 전통 음식의 학문적 연구와 조리 기능 전수에 정진하고 있다. 2000년부터 국가 주요 행사에서 메뉴를 자문했으며 2004년 MBC 드라마 〈대장금〉에서 궁중 음식 자문과 제작을 맡아 전 세계에 한식을 알리는 중추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 1960년대부터는 국가 전수생으로 궁중 음식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50여 년간 궁중 음식 전수 교육과 재현, 관련 연구서 저술 등의 활동을 펼치며 한국 음식 문화의 원형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데 힘썼다. 저서로는 『조선왕조 궁중음식』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한국인의 장』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우리 김치 백가지』 『쉽게 맛있게 아름답게 만드는 떡』 『떡과 과자』 『혼례』 『다시 보고 배우는 음식 디미방』 『다시 보고 배우는 산가요록』 『잡지』 『음식고전』 외에 다수가 있다.
펼치기
박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박사 ㈜풀무원 근무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 궁중음식’ 이수자
펼치기
이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 박사과정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학예연구실장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 궁중음식’ 이수자
펼치기
임승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차문화과학협동과정 박사과정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겸임교수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 궁중음식’ 이수자
펼치기
장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박사 경민대학교 호텔조리학과 교수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 궁중음식’ 이수자
펼치기
최순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박사 장안대학교 호텔조리과 겸임교수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 궁중음식’ 이수자
펼치기
박록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이자 전통주 연구가인 그는 조선대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에서 식품가공학을 공부했다. 전통주 연구활동으로 ‘한국의 전통주와 떡 축제’ 추진위원 겸 심사위원, 경기도 ‘경기명주’ 심사위원, 농림부 주최 ‘BEST 5’ 선정 전통주 부문 심사위원, 전통주 표준화 심의위원, G20 정상회의 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전통주 교육을 통한 전통양주 기술보급과 가양주 활성화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2차례의 농식품장관상과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객원교수 및 중요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인정 심의위원, 서울고멧 전통주자문위원, 경기도문화재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우리술훈련교육기관협의회장으로 있으며, 한식예술장인(가양주장)으로 지정되었다. (사)한국전통주연구소 소장으로 국내 최초의 전통주 교육기관인 ‘전통주교육원’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시집으로 <겸손한 사랑 그대 항시 나를 앞지르고>(도서출판 산방), <그대 속의 확실한 나>(문학과지성사), <사는 동안이 사랑이고만 싶다>(조선문학), <박록담의 시주풍류>(도서출판 바룸) 등이 있으며, 전통주 관련 저서로는 <전통주>, <문배주>, <면천두견주>, <주찬방 주해>(공저), <우리 술 빚는 법>(공저), <우리 술 103가지>(공저), <다시 쓰는 주방문> <양주집>(공저) <전통주 비법 211가지> <버선발로 디딘 누룩>(공저) <꽃으로 빚는 가향주 101가지>(공저) 등 《한국의 전통명주》(전5권 세트) 시리즈와, <한국인의 잔치술> <방향과 청향의 술 上, 下> <효도하는 술> <세월을 담는 술> 등 우리나라 고문헌에 수록된 주방문을 총망라한 《한국의 전통주 주방문》(전5권 세트)이 있다.
펼치기
김귀영 (감수)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졸업(이학석사) 세종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조리학전공 졸업(가정학박사) 한국 식문화의 대부인 고 이성우 교수님의 지도로 1977년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석사 과정 중 식생활 문화 연구에 입문하여, 일찍부터 고조리서에 관한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다. 1980년에 상주대학교(현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교수로 부임하여 2018년 8월 정년퇴직하였 으며, 경북문화재 전문위원이며, 경북 지역의 종가 음식 문화 조사에 관한 연구를 다수 수행 하였다. 현재는 경북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재단법인 궁중음식문화재단 학술교수로 궁중 음식과 미발표된 고조리서를 연구하고 논문 발표에 힘쓰고 있다. 대표적인 고조리서에 관한 논문으로 『주방문』 『온주법』 『음식보』 『음식책』 『임원십육지』 『잡지』 『계미서』 『음식절조』 등에 관하여 연구 발표하였다. 저서로는 『우리 음식의 맛』 『발 효식품』 외에 다수가 있다.
펼치기
장계향(정부인 안동 장씨) (원작)    정보 더보기
정부인 안동 장씨
펼치기
장계향(정부인 안동 장씨)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