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자치통감강목"(으)로 2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57942886

자치통감강목 15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30,360원  | 20210515  | 9791157942886
-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 資治通鑑綱目≫ 세종은 ≪자치통감강목≫을 중시하여 무려 100독을 하였으며, 역사에 뛰어난 대신大臣들과 학사學士들에게 명하여 이 책과 관련된 서적을 모아서 연구하여 주석하게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이다. 사정전思政殿은 경복궁景福宮의 편전便殿으로 바로 세종대왕을 상징하는 것이고, 훈의訓義는 ‘의미를 해석한다.’는 뜻으로, ‘훈의’는 ≪자치통감강목≫에 단 주석을 가리킨다. 본래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성리학性理學에 입각한 정통론적 입장에서 쓰인 강목체綱目體 사서史書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논의, 평가, 서술에 있어서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조선시대 임금들이 경연經筵에서 읽던 대표적 역사서로 이와 관련된 내용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자주 등장한다. 서거정徐居正은 훈의에 대해, 당시 중국의 여러 서책을 참조하였으며 글자의 음과 해석, 구두句讀까지 상세히 갖추었는데, 이는 모두 세종대왕의 재량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정밀함은 고금에 없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9791157942893

자치통감강목 20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31,280원  | 20210515  | 9791157942893
-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 資治通鑑綱目≫ 세종은 ≪자치통감강목≫을 중시하여 무려 100독을 하였다. 역사에 뛰어난 대신大臣들과 학사學士들에게 명하여 이 책과 관련된 서적을 모아서 연구하여 주석하게 것이 바로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이다. 사정전思政殿은 경복궁景福宮의 편전便殿으로 세종대왕을 상징하는 것이고, 훈의訓義는 ‘의미를 해석한다.’는 뜻으로, ‘훈의’는 ≪자치통감강목≫에 단 주석을 가리킨다. 본래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성리학性理學에 입각한 정통론적 입장에서 쓰인 강목체綱目體 사서史書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논의, 평가, 서술에 있어서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조선시대 임금들이 경연經筵에서 읽던 대표적 역사서로 이와 관련된 내용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자주 등장한다. 서거정徐居正은 훈의에 대해, “당시 중국의 여러 서책을 참조하였으며 글자의 음과 해석, 구두句讀까지 상세히 갖추었는데, 이는 모두 세종대왕의 재량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정밀함은 고금에 없었다.”라고 평가하였다.
9791157942527

자치통감강목 19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30,360원  | 20200430  | 9791157942527
▶ 자치통감강목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91157941278

자치통감강목 6 (한 성제 홍가 원년~신 왕망 시건국 3년)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23,000원  | 20170228  | 9791157941278
『자치통감강목』제6권에서는 한나라 성제 홍가 원년에서 신나라 왕망 시건국 3년까지의 시기(B.C. 20~A.D. 11)를 다루고 있다. 이 시기의 가장 핵심적인 주제는 바로 전한의 멸망과 왕망의 신나라의 건국이다. 한나라 외척 세력의 정치 참여와 전횡은 선제시기 곽광에서부터 시작하여 성제 시기 왕봉을 중심으로 하는 왕씨 세력이 대표적이다.
9791157941292

자치통감강목 7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27,600원  | 20170228  | 9791157941292
『자치통감강목』제7권 에서는 신나라 왕망, 한제 유현, 광무제 시기(A.D. 12~A.D. 51)를 다루고 있다. 특히 광무제는 뛰어난 군주로 당시 그의 뛰어난 지혜와 식견에서 ‘명견만리’(만 리 밖을 밝게 본다)라는 고사가 나오기도 하였다.
9791157945672

역주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23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25,200원  | 20231230  | 9791157945672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 資治通鑑綱目≫ 세종은 ≪자치통감강목≫을 중시하여 100독을 하였으며, 역사에 뛰어난 대신大臣들과 학사學士들에게 명하여 이 책과 관련된 서적을 모아서 연구하고 주석하여 편찬하게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이다. ‘사정전思政殿’라고 한 것은 세종대왕께서 경복궁景福宮 사정전思政殿에서 ≪자치통감강목≫을 연구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훈의訓義는 ‘의미를 해석한다’는 뜻으로 ≪자치통감강목≫에 주석을 단 것을 가리킨다. 본래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성리학性理學에 입각한 정통론적 입장에서 쓰인 강목체綱目體 사서史書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논의, 평가, 서술에 있어서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서거정徐居正은 훈의에 대해, 당시 중국의 여러 서책을 참조하였으며 글자의 음과 해석, 구두句讀까지 상세히 갖추었는데, 이는 모두 세종대왕의 재량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정밀함은 고금에 없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 국내 최초 완역 본서는 ≪자치통감강목≫과 그 주석을 국내 최초로 번역하였다. 한중일韓中日에서 나온 ≪자치통감≫ 연구서 등을 참조하여 고사故事와 인물人物, 역사적 사실과 제도까지 역주譯註로 밝혀 독자들의 내용 이해를 도왔다. 역사 사건과 관련된 역사 연표와 지도뿐만 아니라 해당 국가들의 세계표世系表까지 부록 처리하였다. ≪자치통감≫은 현재 중국, 일본, 한국에서 번역되었으나 주석까지 완역完譯되지는 못하였다. 이번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주석서인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의 완역을 통해 세종 시기의 동양학 연구 성과를 알리는 동시에 한국학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23≫의 구성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22≫은 원본의 제36권 중ㆍ하와 제37권 상에 해당하며, 시기적으로 수隋나라 문제文帝 개황開皇 11년(591)에서 수나라 양제煬帝 대업大業 9년(613)까지를 다루고 있다. 수 문제隋文帝의 치세로 수나라의 국력이 크게 신장된다. 그렇지만 문제는 아들들과 신하들을 의심하여 태자太子 양용楊勇을 폐하고 양광楊廣을 세우니, 이가 바로 수 양제隋煬帝이다. 왕위를 계승한 수 양제는 대외 팽창 정책을 시행하여 돌궐突厥과 토욕혼吐谷渾 등을 복속시키고 실크로드를 열어 수나라의 전성기를 열었으며, 이때 반포된 대업율령大業律令은 후대 율령제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대운하大運河와 장성長城을 건설로 백성들이 고통 받고 있는 중에 고구려高句麗 원정을 감행하여 많은 사람들이 죽게 되자 백성들이 각 지역에서 봉기하여 전국이 혼란에 빠지게 된다. 특히 양현감楊玄感의 반란이 일어나면서 수나라는 붕괴된다.
9791157941865

역주 자치통감강목 13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33,120원  | 20190515  | 9791157941865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사정전훈의본思政殿訓義本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성리학性理學에 입각한 정통론적 입장에서 쓰인 강목체綱目體 사서史書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논의, 평가, 서술에 있어서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조선시대 임금들이 경연經筵에서 읽던 대표적 역사서로 이와 관련된 내용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자주 등장한다. 특히 ≪자치통감강목≫을 중시했던 세종은 이 책을 무려 100독을 하였으며, 역사에 뛰어난 대신大臣들과 학사學士들에게 명하여 이 책과 관련된 서적을 모아서 연구하여 주석하게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강목≫이다. 사정전思政殿은 경복궁景福宮의 편전便殿으로 바로 세종대왕을 상징하는 것이고, 훈의訓義는 ‘의미를 해석한다.’는 뜻으로, ‘훈의’는 바로 ≪자치통감강목≫의 주석을 가리킨다. 서거정徐居正은 훈의訓義에 대해, 당시 중국의 여러 서책을 참조하였으며 글자의 음과 해석, 구두句讀까지 상세히 갖추었는데, 이는 모두 세종대왕의 재량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정밀함은 고금에 없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9791157941872

역주 자치통감강목 17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33,120원  | 20190515  | 9791157941872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사정전훈의본思政殿訓義本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성리학性理學에 입각한 정통론적 입장에서 쓰인 강목체綱目體 사서史書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논의, 평가, 서술에 있어서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조선시대 임금들이 경연經筵에서 읽던 대표적 역사서로 이와 관련된 내용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자주 등장한다. 특히 ≪자치통감강목≫을 중시했던 세종은 이 책을 무려 100독을 하였으며, 역사에 뛰어난 대신大臣들과 학사學士들에게 명하여 이 책과 관련된 서적을 모아 연구하여 주석하게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강목≫이다. 사정전思政殿은 경복궁景福宮의 편전便殿으로 바로 세종대왕을 상징하는 것이고, 훈의訓義는 ‘의미를 해석한다.’는 뜻으로, ‘훈의’는 바로 ≪자치통감강목≫의 주석을 가리킨다. 서거정徐居正은 훈의訓義에 대해, 당시 중국의 여러 서책을 참조하였으며 글자의 음과 해석, 구두句讀까지 상세히 갖추었는데, 이는 모두 세종대왕의 재량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정밀함은 고금에 없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9791157941889

역주 자치통감강목 18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34,040원  | 20190515  | 9791157941889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사정전훈의본思政殿訓義本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성리학性理學에 입각한 정통론적 입장에서 쓰인 강목체綱目體 사서史書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논의, 평가, 서술에 있어서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조선시대 임금들이 경연經筵에서 읽던 대표적 역사서로 이와 관련된 내용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자주 등장한다. 특히 ≪자치통감강목≫을 중시했던 세종은 이 책을 무려 100독을 하였으며, 역사에 뛰어난 대신大臣들과 학사學士들에게 명하여 이 책과 관련된 서적을 모아서 연구하여 주석하게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강목≫이다. 사정전思政殿은 경복궁景福宮의 편전便殿으로 바로 세종대왕을 상징하는 것이고, 훈의訓義는 ‘의미를 해석한다.’는 뜻으로, ‘훈의’는 바로 ≪자치통감강목≫의 주석을 가리킨다. 서거정徐居正은 훈의訓義에 대해, 당시 중국의 여러 서책을 참조하였으며 글자의 음과 해석, 구두句讀까지 상세히 갖추었는데, 이는 모두 세종대왕의 재량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정밀함은 고금에 없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9791157945498

역주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22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27,600원  | 20221230  | 9791157945498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 資治通鑑綱目≫ 세종은 ≪자치통감강목≫을 중시하여 100독을 하였으며, 역사에 뛰어난 대신大臣들과 학사學士들에게 명하여 이 책과 관련된 서적을 모아서 연구하고 주석하여 편찬하게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이다. ‘사정전思政殿’라고 한 것은 세종대왕께서 경복궁景福宮 사정전思政殿에서 ≪자치통감강목≫을 연구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훈의訓義는 ‘의미를 해석한다’는 뜻으로 ≪자치통감강목≫에 주석을 단 것을 가리킨다. 본래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성리학性理學에 입각한 정통론적 입장에서 쓰인 강목체綱目體 사서史書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논의, 평가, 서술에 있어서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서거정徐居正은 훈의에 대해, 당시 중국의 여러 서책을 참조하였으며 글자의 음과 해석, 구두句讀까지 상세히 갖추었는데, 이는 모두 세종대왕의 재량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정밀함은 고금에 없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 국내 최초 완역 본서는 ≪자치통감강목≫과 그 주석을 국내 최초로 번역하였다. 한중일韓中日에서 나온 ≪자치통감≫ 연구서 등을 참조하여 고사故事와 인물人物, 역사적 사실과 제도까지 역주譯註로 밝혀 독자들의 내용 이해를 도왔다. 역사 사건과 관련된 역사 연표와 지도뿐만 아니라 해당 국가들의 세계표世系表까지 부록 처리하였다. ≪자치통감≫은 현재 중국, 일본, 한국에서 번역되었으나 주석까지 완역完譯되지는 못하였다. 이번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주석서인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의 완역을 통해 세종 시기의 동양학 연구 성과를 알리는 동시에 한국학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22≫의 구성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22≫은 원본의 제35권 상ㆍ하와 제36권 상에 해당하며, 시기적으로 진陳나라 선제宣帝 태건太建 4년(572)에서 수隋나라 문제文帝 개황開皇 10년(599)까지이다. 이 책에서는 북제北齊, 북주北周, 진陳나라 3국으로 나누어 있던 중국을 수隋나라가 통일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당시 중국의 화북華北 지역의 동쪽을 북제가 차지하였고 서쪽 지역을 북주가 차지하였는데, 이들은 서로 대립하고 있었다. 북주는 무제武帝 우문옹宇文邕 때 국력을 신장하여 북제를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화북 지역을 차지하였다. 북주는 무제의 뒤를 이은 선제宣帝 때 국정이 혼란해졌는데, 선제가 죽자 외척이었던 양견楊堅이 정권을 장악하고 얼마 후 찬탈하여 황제가 되니, 이가 바로 수 문제隋文帝이다. 문제는 정치를 일신하고 각종 제도를 개혁하고 율령律令을 정비하여 국가의 기반을 안정시켰다. 이에 반해 강남 지역의 진陳나라 후주後主 진숙보陳叔寶는 간신들을 총애하고 장귀비張貴妃가 국정에 관여하면서 크게 혼란해졌다. 이에 수나라는 진나라를 공격하여 진나라 수도 건강建康을 함락시키고 천하를 통일하게 된다.
9791157945023

역주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6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25,760원  | 20220430  | 9791157945023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 資治通鑑綱目≫ 세종은 ≪자치통감강목≫을 중시하여 무려 100독을 하였으며, 역사에 뛰어난 대신大臣들과 학사學士들에게 명하여 이 책과 관련된 서적을 모아서 연구하여 주석하게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이다. ‘사정전思政殿’라고 한 것은 세종대왕께서 경복궁景福宮 사정전思政殿에서 ≪자치통감강목≫을 연구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훈의訓義는 ‘의미를 해석한다’는 뜻으로 ≪자치통감강목≫에 주석을 단 것을 가리킨다. 본래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성리학性理學에 입각한 정통론적 입장에서 쓰인 강목체綱目體 사서史書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논의, 평가, 서술에 있어서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서거정徐居正은 훈의에 대해, 당시 중국의 여러 서책을 참조하였으며 글자의 음과 해석, 구두句讀까지 상세히 갖추었는데, 이는 모두 세종대왕의 재량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정밀함은 고금에 없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9791157945030

역주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21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25,760원  | 20220515  | 9791157945030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 資治通鑑綱目≫ 세종은 ≪자치통감강목≫을 중시하여 무려 100독을 하였으며, 역사에 뛰어난 대신大臣들과 학사學士들에게 명하여 이 책과 관련된 서적을 모아서 연구하여 주석하게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이다. ‘사정전思政殿’라고 한 것은 세종대왕께서 경복궁景福宮 사정전思政殿에서 ≪자치통감강목≫을 연구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훈의訓義는 ‘의미를 해석한다’는 뜻으로 ≪자치통감강목≫에 주석을 단 것을 가리킨다. 본래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성리학性理學에 입각한 정통론적 입장에서 쓰인 강목체綱目體 사서史書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논의, 평가, 서술에 있어서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서거정徐居正은 훈의에 대해, 당시 중국의 여러 서책을 참조하였으며 글자의 음과 해석, 구두句讀까지 상세히 갖추었는데, 이는 모두 세종대왕의 재량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정밀함은 고금에 없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9791157942510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4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0원  | 20200430  | 9791157942510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사정전훈의본思政殿訓義本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성리학性理學에 입각한 정통론적 입장에서 쓰인 강목체綱目體 사서史書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논의, 평가, 서술에 있어서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조선시대 임금들이 경연經筵에서 읽던 대표적 역사서로 이와 관련된 내용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자주 등장한다. 특히 ≪자치통감강목≫을 중시했던 세종은 이 책을 무려 100독을 하였으며, 역사에 뛰어난 대신大臣들과 학사學士들에게 명하여 이 책과 관련된 서적을 모아서 연구하여 주석하게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강목≫이다. 사정전思政殿은 경복궁景福宮의 편전便殿으로 바로 세종대왕을 상징하는 것이고, 훈의訓義는 ‘의미를 해석한다.’는 뜻으로, ‘훈의’는 바로 ≪자치통감강목≫의 주석을 가리킨다. 서거정徐居正은 훈의訓義에 대해, 당시 중국의 여러 서책을 참조하였으며 글자의 음과 해석, 구두句讀까지 상세히 갖추었는데, 이는 모두 세종대왕의 재량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정밀함은 고금에 없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9791157941575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9 (한 순제 한안 원년 ~ 한 영제 중평 6년)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23,920원  | 20180315  | 9791157941575
강목(綱目)과 훈의(訓義)의 국내 최초 완역 역주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는 모두 39책으로 간행될 예정이다. 본서는 원본의 편집 체제의 특징을 그대로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번역문은 현대적으로 표현하여 일반 독자들이 번역문만 읽어도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번역문 아래 원문을 함께 실어놓았으며 원문에는 원문의 문장구조를 한국적인 방식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우리나라 전통적 방식의 현토懸吐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감을 하여 학술적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본서는 ≪자치통감강목≫과 그 주석을 국내 최초로 번역하였다. 거기다 사정전훈의 ≪자치통감≫ 및 한중일韓中日에서 나온 ≪자치통감≫ 연구서 등을 참조하여 고사故事와 인물人物, 역사적 사실과 제도까지 역주譯註로 밝혀 독자들의 내용 이해를 도왔다. 또한 역사 사건과 관련된 역사연표, 역사지도, 한 무제의 가계도를 부록하였다. ≪자치통감≫은 현재 중국, 일본, 한국에서 번역되었으나 주석까지 완역完譯되지는 못하였고, 그뿐 아니라 ≪자치통감강목≫은 본문만 대만에서 번역된 상황이다. 이번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주석서인 사정전훈의본 ≪자치통감강목≫의 완역을 통해 기존에 잊혔던 세종 시기의 연구 성과를 알리는 동시에 동양학과 한국학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9791157941506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8 (한 광무제 건무 28년 ~ 한 순제 영화 6년)

주희  | 전통문화연구회
32,200원  | 20171230  | 9791157941506
『자치통감강목』 원본의 편집 체제의 특징을 그대로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번역문은 현대적으로 표현하여 일반 독자들이 번역문만 읽어도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번역문 아래 원문을 함께 실어놓았으며 원문에는 원문의 문장구조를 한국적인 방식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우리나라 전통적 방식의 현토懸吐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감을 하여 학술적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본서는 《자치통감강목》과 그 주석을 국내 최초로 번역하였다. 거기다 사정전훈의 《자치통감》 및 한중일韓中日에서 나온 《자치통감》 연구서 등을 참조하여 고사故事와 인물人物, 역사적 사실과 제도까지 역주譯註로 밝혀 독자들의 내용 이해를 도왔다. 또한 역사 사건과 관련된 역사연표, 역사지도, 한 무제의 가계도를 부록하였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