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정중하지만 직설적으로"(으)로 북프라이스의 도서 검색결과 입니다.
9791170220626

정중하지만 직설적으로

앨런 파머 (지은이), 문지혜 (옮긴이)  | 처음북스
14,000원  | 2016-07-04  | 9791170220626
이제 말하는 방법을 바꿔야 한다.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일반적인 화술이 아니다. 회사생활을 포함한 사회생활에서 "어떻게 오해 없이 내 말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그 방법은 "정중하지만 직설적으로" 즉 정직 대화법이다.
9788953442313

정중 무상대사

변인석 (지은이)  | 한국학술정보
35,000원  | 2009-04-30  | 9788953442313
저자는 ‘당과 신라문화교류사’ 시리즈를 기획한 뒤 약 20년간 신라구법승의 발자취를 끈기 있게 좇았다. 무상대사의 모든 것이 이 한 권의 책으로 탄생하기까지 6년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린 데는 그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무하다시피 했다는 데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9788953124585

직설

박영선, 김관성 (지은이)  | 두란노
13,000원  | 2016-04-18  | 9788953124585
기독교 신앙의 실체를 위한 박영선 목사와 김관성 목사의 대담집이다. 10회에 걸친 대담은 다른 어떤 현실이 아닌, 한국 교회와 목회자와 성도들이 처한 현실 위에서 믿음의 본질과 신앙인의 삶에 대한 전방위적 주제들을 다루었다.
9788984314917

직설

고경태, 한홍구, 서해성 (지은이)  | 한겨레출판
18,000원  | 2011-08-31  | 9788984314917
‘걸어다니는 한국 현대사’ 한홍구와 ‘박학다식 소설가’ 서해성이 뭉쳤다. 지난 10년간 한국 사회, 진보가 잃어버린 것이 무엇이냐, 이명박 시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이냐에 대해 터놓고 말해보자는 것이 의도이다. 그렇다면 어떤 말의 형식을 취할 것인가. 이들은 에둘러 말하지 않는 ‘직설’을 택했다.
9791157060580

직설 무령왕릉

김태식 (지은이)  | 메디치미디어
22,000원  | 2016-04-30  | 9791157060580
국정 역사 교과서, 수능 한국사 필수, 동북아역사지도 편찬 중단, 박근혜의 경주 방문 등 권력과 역사의 관계가 수상하다. 정부가 역사교과서, 나아가 역사학을 통제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문화재 전문기자로 20년 가까이 ‘무령왕릉, 고고학과 권력의 유착관계’에 천착한 결과물이 나왔다.
9791155100196

사진 직설

최건수 (지은이)  | 다빈치
15,000원  | 2014-02-07  | 9791155100196
한국을 대표하는 사진평론가 최건수의 30년 사진 인생의 깊이가 담긴 책이다. 사진은 무엇인지, 현대사진은 무엇인지부터 사진계의 생태계, 갤러리와 아트페어가 돌아가는 현실, 전시회 기획과 포트폴리오 작성에 이르기까지, 사진과 사진계의 속살을 파헤친다.
9788996849384

강용석의 직설

강용석 (지은이), 박봉팔 (엮은이)  | 미래지향
14,500원  | 2013-07-24  | 9788996849384
<강용석의 고소한 19>와 <썰전>으로 알려진 강용석의 못다 한 이야기. 먼저 저자가 어떻게 방송을 시작하게 됐으며 그 출발점이 된 <화성인 바이러스>와 <슈퍼스타K>의 출연 비화를 다룬다.
9791158460112

직설 연애 상담

이재익, 유은이 (지은이)  | 북클라우드
12,800원  | 2015-08-03  | 9791158460112
화제의 네이버 웹소설 <마성의 카운슬러>에서 완벽한 연애 고수 ‘이권양’ 캐릭터를 통해, 명쾌한 연애 상담을 들려주며 독자들의 칭송을 얻고 있는 이재익, 유은이 작가의 주옥같은 연애 코칭을 한 권의 책으로 압축했다.
9791195161614

우리 명의와 의료 직설

최진규 (지은이)  | 썰물과밀물
19,000원  | 2014-05-13  | 9791195161614
우리 조상은 아무리 하찮은 병에 걸렸더라도 무심하게 지나가지 않았고, 또 아무리 시간이 오래 걸려도 그 약재의 성질과 효과를 확인한 다음 사용했다. 아직도 가늘게나마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이들을 오늘날 우리는 민간의사라 부른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