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얼굴 조선사
			김석준   | 부크크(bookk)
			70,000원  | 20250815  | 9791112040343
			1. 이 책의 내용
  이 책은 제 I 부 <상위맥락으로서의 조선 국가>에서 여는 장, 제1장~제3장을 다루었다. <여는장>에서 연구 목적, 연구의 명제와 가설, 연구 방법 등을 설명하고  통섭적•융합적ㆍ다학제적 연구 방법, 선행연구와 국가이론의 가능성과 한계, 인공지능 시대의 역사학, 사회과학 그리고 융합학문 등에 대해 설명했다.
제 1 장 < '백성의 나라' 조선: '나라'로서의 국가>에서는 '나라'로서의 국가: '백성의 나라'와 '문화대국'('하늘이 낳은 백성의 나라' 조선, 세계적인 유교국가와 문화대국으로서의 조선, 왕국과 재상국가 그리고 황제국가로서의 '외왕내제'의 조선),  외왕내제국가: 왕국•재상국•황제국가로서의 국호•연호•각종 제도 등(국호로서의 '조선’과 '대한제국', 국왕의 전제권 확립과 국가의 중앙집권적 지배체제 구축, 왕국•황제국•외왕내제국가로서의 여러 체제들, 도읍지•황도•수도•부수도), 주권: 조선시대 주권자와 주권을 유지하기 위한 제도•전쟁•외교(조선시대 주권의 성격, 절대권력으로서의 주권 형성 및 확장 과정, 명•청•왜구 등 주변 국가들과의 전쟁•국방을 중심으로 본 주권, 조선의 주권 유지와 외교, 역대 국왕들의 계승 및 폐위 등을 통한 주권의 성격 변화), 국민: 조선 민족형성과 국민형성(조선의 민족형성과 국민형성: 천손민족주의, 한민족과 조선의 민족•국민의 단일적 성격, 단일민족론 비판과 평가, 국민형성 변동과 다원적•개방적•역동적•다종족적 성격, '삼한일통'•'삼국부흥운동'에서 고조선계승과 '고려국가 단위의 사회통합', 조선과 고려의 민족구성과 인구 구성, 조선의 민족구성과 지역별 인구구성), 영토(조선의 영토, 조선의 영토 변동과 국경분쟁의 전개), '나라로서의 국가'의 전개(주요 역사적 사건들의 시기별 전개, 백성의 나라 조선,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 자주독립 황제국가 대한제국, 조선왕조 멸망설•망국설: 시기설과 원인론), 조선 '나라'로서의 국가의 기승전결의 전개(조선 '나라'로서의 국가의 세부 내용별 전개, '나라'로서의 국가성격의 시기별 전개), 세계 속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세계 속 조선 국가의 종합적 위상, 세계 속 문화국가 조선의 자주독립성 수준, 세계 속 문화국가 조선의 역동성 수준, 조선의 국가 성격과 종합적인 평가: '세계 속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 세계 속 대한제국의 국가 위상), 나라와 국가 변수 간 상호관계 및 나라의 역동성·정체성(나라와 국가 변수 간 상호관계, 나라의 역동성과 정체성), '백성의 나라' 조선: '나라'로서의 국가에 대한 가설검증([명제 1-1~2]와 [가설 1-11~17, 가설 1-21~26]의 내용과 검토, ChatGPT4o+, Gemini, deepseek에 의한 검증결과표, [명제 1-1~2]와 [가설 1-11~17, 가설 1-21~26]의 검증)을 설명했다.
 제 2 장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조선 국가>에서는 조선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의 전개(조선 지배이데올로기의 형성, 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 대한제국의 지배이데올로기, 지배이데올로기의 내재화와 작동, 조선시대 유학의 성격과 구성체계, 조선시대 기본적인 국정운영과 정치사상의 전개	, 유교국가의 형성과 작동 기제, 조선 지배이데올로기의 성격과 전개, 유교•선비문화의 성격), 기의 단계 조선의 종교와 지배이데올로기의 전개(건국 초기의 유교•불교•선교•풍수지리의 융합사상, 조선에서의 신유학(성리학•정주학•주자학)의 전개, 조선 전기의 이데올로기와 대표적인 정치사상, 조선 기의 단계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국가'의 작동 양식), 승의 단계 16세기 성리학•불교와 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조선 성리학의 발달, 조선유학사상의 특징, 조선 승의 단계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국가'의 작동 양식), 전의 단계 17~18세기 전반 실학의 대두와 유교지배이데올로기(17세기 초 서울 실학의 대두, 17세기 후반~18세기 초 실학의 발전,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주자학과 조선중화 사상, 18세기 후반 노론 북학의 등장, 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철학•종교의 새 경향, 조선 전의 단계 지배이데올로기와 대표적인 실학의 정치사상, 조선 전의 단계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국가'의 작동 양식), 결의 단계 19세기 전반기의 문화와 이데올로기(19세기 전반기의 개혁사상, 천주교의 전래와 탄압, 동학의 출범과 확산, 결의 단계 지배이데올로기와 실학사상), 조선시대의 지배이데올로기와 경제사상 및 사회사상(성리학 지배이데올로기와 조선시대 경제사상, 성리학 지배이데올로기와 조선시대 사회사상), 대한제국에서의 지배이데올로기의 확산과 역사의식(대한제국의 지배이데올로기, 대한제국의 <대한국국제>와 지배이데올로기, 독립협회와 헌의 14조, 조선 결의 단계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국가'의 작동 양식), 조선시대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국가'의 작동방식과 그 전개(조선시대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국가'의 기승전결 단계의 작동 양식, 조선시대 지배이데올로기와 저항이데올로기의 관계, 조선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국가'의 기승전결의 전개 요약, 지배이데올로기가 국가의 각 요소에 미친 영향, 조선 초•중•후•말기 지배이데올로기의 시기별 성격 변화, 7가지 국가변수가 지배이데올로기에 미친 영향, 지배이데올로기와 변수 간 독립•종속 상호관계, 지배이데올로기의 역동성과 정체성), '지배이데올로기• 상부구조'로서의 조선 국가([명제 2]와 [가설 2-1~10]의 내용과 검토, ChatGPT4o+, Gemini, deepseek에 의한 검증결과표, [명제 2]와 [가설 2-1~10]의 검증)을 설명했다.
 제 3 장  <양반계급국가 조선: 조선의 '지배계급'으로서의 국가>에서는 조선의 지배계급, 피지배계급, 반체제세력 및 저항세력(지배계급ㆍ피지배계급ㆍ반체제세력 및 저항세력, 조선의 지배계급•피지배계급과 신분제의 양분설•4분설), 조선 지배계급의 확대와 피지배계급과의 관계(조선 지배계급의 확대, 신진사대부의 분화와 훈구파•사림파의 형성, 훈구파와 사림파의 갈등과 네 차례의 사화, 17~18세기 왕조 중흥과 지배계급의 변동, 19세기 전반 서울•지방의 갈등과 지배계급의 변동, 문호개방, 동학농민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