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89709051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8-12-19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강 원명 교체기, 실패에 그친 공민왕의 개혁
2강 정도전, 새로운 나라, 새로운 세상을 기획하다
3강 유교 국가, 법치국가를 지향한 조선
4강 리더 세종, 문명국가를 만들어가다
5강 세종 이후 누가 왕이 될 것인가
6강 조선의 완성, 그리고 사림파의 등장
7강 연산군, 참혹한 폭정과 타락의 시대
8강 중종과 조광조, 어긋날 수밖에 없었던 이상
9강 이황, 조선 성리학의 화두를 던지다
10강 이이의 투쟁과 ‘세습’된 붕당정치의 배신
11강 16세기 조선, 근본에서부터 몰락하다
12강 격변하는 동아시아, 세력의 균형이 깨지기 시작하다
13강 당쟁에 빠진 채 임진전쟁 발발
14강 임진전쟁, 그 치열하고 참혹한 기억
15강 광해군, 탁월한 외교력과 무능한 정치력
16강 17세기 초 동아시아, 천하의 주인이 바뀌다
17강 병자전쟁, 무엇으로 싸울 것인가
18강 승산 없는 북벌론 논쟁으로 허상의 시대를 지나다
19강 대동법으로 극복한 대재난의 시대
20강 조선의 회복기에 벌어진 숙종의 환국과 붕당정치
21강 영조와 정조, 군주다운 군주의 시대가 도래하다
22강 정치적 혼란기에도 역동적인 변화를 이끈 상업의 역사
23강 세도 정치로 막 내린 조선 그리고 실학
마무리하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351년은 동아시아, 적어도 중국과 고려로서는 가히 '운명의 해'라고 말해도 손색이 없습니다.
《단박에 조선사》의 집필 방향은 명확합니다. ‘왕조실록’이 아닌 ‘조선 역사’에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조선 시대는 단순히 구중궁궐에서 벌어지는 암투만으로 채워졌던 시간이 아닙니다. 국가는 체계적인 통치 방식에 의해 운영되었고, 신분에 따른 의무와 역할이 있었으며, 500년이라는 긴 시간은 각각의 단위에 따라 각자의 의미와 맥락으로 채워져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