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천연물의약품"(으)로 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41182078

천연물 의약품 (제2판)

천연물의약품 편찬위원회  | 동명사
40,500원  | 20190826  | 9788941182078
▶ 이 책은 천연물 의약품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9788941181606

천연물 의약품

천연물의약품 편찬위원회  | 동명사
0원  | 20160307  | 9788941181606
▶ 이 책은 천연물 의약품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천연물 의약품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91196435158

천연물의약품을 개발하는 산업체용 지침서

 | KGC인삼공사
11,880원  | 20221223  | 9791196435158
천연물의약품(Botanical Drugs)을 이해하고 미국 식약처(U.S. FDA)에 등록과 허가를 획득하여 판매할 수 있는 기회와 역량을 갖추는 데 기여 본 번역서를 출간한 목적은 천연물의약품(Botanical Drugs)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건강기능식품, 제약, 화장품 등 관련 업계에서 미국 식약처(U.S. FDA)에 등록과 허가를 획득하여 판매할 수 있는 기회와 역량을 갖추는 데 기여함에 있다. 국내 업계에서 개발하여 판매하는 천연물의약품이 다수 있고 이들은 상당 부분의 제약 시장 점유율을 보여 준다. 이들이 미국 FDA에 천연물의약품으로 등록을 하여 판매를 한다면 큰 이익에 더불어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미국에서 제정한 Dietary Supplement Health Education Act(DSHEA, 1994년) 때문에 미국 내 건강기능식품(Dietary Supplement) 산업은 빠르게 성장해 왔다. 파급효과는 전 세계 건강식품산업계로 확산되어 명실공히 21세기의 전 지구적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DSHEA법의 범주 내에서 FDA는 Botanical Drug Guidance for Industry를 2004년에 1차 시행하였고 2016년에 Botanical Drug Development for Industry로 개정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 규정은 미국에만 존재한다. 물론 유사한 규정이 EU의 European Medicines Agency가 제정하여 운용하는 Herbal Medicinal Products(HMP) 명칭으로 있기는 하지만 상이한 점이 여럿이다. 미국의 Botanical Drug 개념에는 아시아 지역, 특히 중국의 한약제제가 FDA에 등록할 수 있는 여건을 포함하고 있다. 단일(single) 약초뿐만 아니라 복합(complex formula) 처방도 등록이 가능하여 동양의 약물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법률적 배경이 있다고 본다.
검색어 "천연물의약품"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