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학벌"(으)로 2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8731578

학벌-입시의 정치에 반하여 (한국사회 모든 문제의 핵심)

박준상  | 오월의봄
16,650원  | 20250820  | 9791168731578
살인적인 입시지옥, 시험능력주의가 지배하는 사회, 대학 서열의 신분제를 쟁취하기 위한 과열 경쟁, 출신 대학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사회, ‘스카이’·‘인서울’과 ‘지잡대’ 사이의 차별, 열패감과 소외감에 비틀거리는 아이들, 결국 좌절해 자살을 선택하는 아이들, 한 해 사교육비만 29.2조 원(공식 통계에 잡히지 않는 금액까지 합치면 약 40조 원)을 쓰는 사회, 자신의 노후를 포기해서라도 아이들의 사교육만큼은 챙기는 부모들, 심지어는 이를 위해 입시 부정에 가담하는 부모들, 악순환에 악순환을 거듭하는 사회, 그런데도 지난 100년간 절대 변하지 않은 이 학벌-입시 체제…… 일제강점기 때부터 시작된 이 학벌-입시 체제의 모순은 지금도 해결되지 않은 채 한국사회를 병들게 하고 있다. 한국에 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땅의 교육 현실에 큰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안다. 초중고 모든 교육이 대입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한국의 학벌-입시 체제가 타당성, 정당성, 상식에도 맞지 않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그런데도 이 학벌-입시 체제는 왜 바뀌지 않을까? 왜 절대다수가 이 학벌-입시 체제를 맹목적으로 따라야만 하는 것으로 믿는 걸까? 왜 이 체제를 바꿀 수 없다고 믿는 걸까? 왜 이 체제의 승리자인 소수의 엘리트계층이 지배하는 사회를 그대로 놔두는 걸까?
9788935655472

학벌사회 (사회적 주체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

김상봉  | 한길사
0원  | 20041025  | 9788935655472
우리나라 학벌사회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이론적 해석을 시도한 책. 학벌이라는 왜곡된 사회적 공동주체성에 맞서 학벌사회에서 학벌 없는 사회로 나아가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학벌로 인한 권력의 독점과 사회적 불평등, 사회적 주체성의 문제, 교육의 파탄, 국가경쟁력의 위기, 교육의 이념과 학교 평준화 등의 문제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벌 타파의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하였다.
9791137262690

학벌자본주의 비판

최준호  | 부크크(bookk)
0원  | 20211118  | 9791137262690
학교 가는게 싫고, 공부하기도 싫고... 하지만 공부는 나를 위한 것이니... 라고 생각하며 속으로 삭혀가며 오늘도 억지로 학교와 학원가를 전전하는 이 땅의 중고등학생들에게 이 책을 ‘학습 해방의 지침서’로써 바친다. 지금까지 이 교육체제에 불만은 많았지만, 그저 묵묵히 따르며 살아야 했던 학생들에게 대한민국 교육체제가 얼마나 문제가 많으며 옳지 않은 체제인지 알리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이 책에는 단순히 한국 교육체제의 문제점과 원인을 밝히는 수준을 넘어서, 교육체제를 바꾸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진정으로 학생들이 행복할 수 있는 ‘대안 교육체제’는 무엇인지, 그런 세상은 어떤 모습일지까지 그 모든 것을 담고 있다. 힘겹고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고 있는 이 땅의 중고등학생들에게 이 책은 교육체제의 문제부터 교육체제를 무너뜨릴 수 있는 방법까지 총망라하고 있는 이론서이자 실천 지침서이며, 학벌주의에 지친 심신을 달래줄 위로의 책이다.
9788991402461

학교를 버리고 시장을 떠나라 (학벌없는 사회)

학벌없는사회  | 메이데이
0원  | 20100722  | 9788991402461
죽어가는 우리 교육을 살리기 위한 안티학벌선언! 학벌을 위한 학교, 사장을 위한 교육을 비판하고 교육의 근본 문제를 다시 생각해보기 위해 구성된 ‘학벌없는 사회’가 펴낸 첫 번째 책이다. 강남 출신이 서울대생이 되고, 무한경쟁과 소위 ‘스펙쌓기’만이 난무하는 우리의 교육현실을 지적하며 교육을 제자리로 돌려놓기 위한 대안들을 내놓는다. 내부적으로 병들어 있는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을 질타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용기를 격려해야 한다는 시각은 신선하다. 또한 점점 기업화되고 있는 학교들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입사원서의 학력란을 없애는 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저자들은 학교가 바뀔 수 없다면 학교를 버리고 시장을 떠나서 교육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입을 모아 말하고 있다.
9788971805794

한국 학력·학벌사회론 (절반의 공정성을 넘어)

김부태  | 경북대학교출판부
25,650원  | 20220225  | 9788971805794
이 책은 민주화 시대를 거치면서 한국사회의 학력·학벌주의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밝히고 그 완화·해소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력·학벌사회는 학력과 학벌이 주요 사회구성 지표가 되는 사회이다. 학력·학벌주의는 바로 이 학력·학벌사회를 정당화하는 사회적 신념체계이다. 학력·학벌주의는 정당하고 공정한가? 학력·학벌주의는 불완전한 사회구성 지표로서의 학력·학벌을 능력으로 인정하고, 능력주의에 기대어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을 정당화하는 ‘절반의 공정성’을 가진 이데올로기이다. 학력·학벌사회는 학력·학벌주의가 사회와 교육의 모순을 야기하는 비민주적인 사회이다. 민주화는 좀 더 자유롭고, 좀 더 평등하며, 좀 더 정의로워지는 사회변화를 의미한다. 필자는 민주화 시대의 정부들이 학력·학벌주의 문제에 어떻게 대응했는지, 민주화 시대를 통해 학력·학벌주의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한국사회의 학력·학벌주의는 매우 느리게 점진적으로 완화되어 왔지만, 아직도 건재하다.
9791193168073

교육개혁은 없다 1 (한국은 왜 학벌 전쟁 사회가 되었나?)

박정훈  | 민중의소리
14,400원  | 20240313  | 9791193168073
“우리의 삶이 팍팍하고, 청년 세대는 앞날이 보이지 않아 결혼과 출산을 포기하는 시대인데 어떻게 교육이 교육의 논리로 움직일 수 있을까요? 대한민국이 71년째 정전 상태이고, 사회가 전쟁터인데, 어떻게 교육이 인간의 얼굴을 할 수 있을까요?”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한국교육 안내서 〈교육개혁은 없다(전2권)〉가 출간됐다. 1권은 전 세계에서 가장 치열한 경쟁으로 내몰린 한국 학생들의 고통을 성찰하고 그 원인을 분석했다. 전 세계에 학력에 따른 사회적·경제적 대우의 차이가 없는 나라, 교육을 통해 부모의 사회적 지위가 자녀에게 대물림되지 않는 나라, 부모가 자식에게 공부를 강요해서 발생하는 갈등이 없는 나라는 없다. 그러나 한국처럼 학력 경쟁에 ‘죽기 살기’로 매달리지 않으며, ‘모든’ 국민이 매달리지 않으며, ‘스무 살’에 결정된 대학이 평생을 따라다니는 신분처럼 작동하지 않는다. 한국은 왜 학벌전쟁 사회가 되었을까? 언제부터 그렇게 되었을까? 해방과 분단, 친일파의 집권, 3년의 전쟁, 군부독재 30년, 외환위기 이후 신자유주의 30년, 고난의 한국 현대사를 알아야 원인을 알 수 있고, 원인을 알아야 다음 세대는 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9791167552556

내가 찾는 직업이 세상에 없다면 (학벌 스펙 벗어나 남다르게 먹고살기)

권인택, 김자유, 이동희, 정수현, 황용국  | 우리학교
13,500원  | 20240513  | 9791167552556
“세상의 기준을 버리고 매 순간 ‘나’에게 집중했어요.” 꿈도 성적도 좋아하는 걸 찾는 일도 막막한 십 대에게 학벌 스펙을 넘어선 스타트업 CEO가 전하는 특급 진로 수업 대학을 졸업하지 않았어도, 공부를 잘하지 못했어도, 남들 다 가는 길을 가지 않았어도 자신만의 진로를 찾아 즐겁고 의미 있게 가슴 두근거리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부모님과 세상이 원하는 미래에 눌려 하고 싶은 일은커녕 좋아하는 걸 찾는 일마저 막막한 청소년들은 쉽게 만날 수 없는 이야기. 󰡔내가 찾는 직업이 세상에 없다면󰡕은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한국 스타트업 CEO들이 진로 고민에 지친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보여주는 책이다. 저자들의 이력은 독특하다. 진로 교육 스타트업 ‘오픈놀’ 대표 권인택, 소셜벤처 ‘누구나데이터’ 대표 김자유, 하우스키핑 긱 워커 플랫폼 ‘열한시’ 대표 이동희, 공간 공유 기업 ‘앤스페이스’ 대표 정수현, 인공 지능 알고리즘 전문 회사 ‘블루바이저시스템즈’ 대표 황용국까지. 일부는 고졸 출신이고, 일부는 전문대나 지방대 출신이며, 일부는 소위 명문대 출신이었지만 대기업 생활을 포기하고 창업의 길로 들어섰다. 이들은 화려한 학벌과 남들 다 쌓는 스펙 대신 창업가 기질과 정신을 길러 세상에 없던 직업을 만들었다.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작은 성공의 경험을 쌓고 도전을 즐기게 된 사람들, 그 과정을 겪으며 진정한 ‘자기다움’이 무엇인지 찾아낸 사람들. 이 책은 청소년 독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선사하고 위로와 용기를 전할 것이다.
9791193904237

열두 개의 성공 블록 (돈, 학벌, 인맥, 운을 뛰어넘는 성공의 촉매제)

패트릭 벳-데이비드, 그레그 딘킨  | 서삼독
18,000원  | 20241129  | 9791193904237
고졸 영업사원에서 1,800억 CEO가 된 자수성가 부자가 알려 주는 돈, 학벌, 인맥, 운을 뛰어넘어 압도적인 성공을 거두는 법.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연쇄 창업가인 패트릭 벳-데이비드는 지난 15년 동안 수많은 이들과의 코칭을 통해 독창적인 비즈니스 플랜 수립과 실행 방법을 개발했다. 그의 코칭에서 가장 독특한 지점은 바로 비즈니스 플랜에 강한 열정과 현실적이고 논리적인 계획이 모두 담길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는 점이다. 왜 그토록 열심히 일해야 하는지 확실하고 강렬한 이유와 어떻게 해야 그 일을 해낼 수 있는지 논리적인 방법이 결합되었을 때 누구에게도 패배하지 않는 독보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성공하고 싶다는 열망은 강하지만 방법을 모르는 사람, 똑똑하고 논리적이지만 무엇에도 열정을 느끼지 못해 무기력한 사람 모두에게 지속적이고 기하급수적인 성공을 거두는 방법을 알려 줄 것이다.
9791159317132

국립대 통합네트워크(리커버) (입시 지옥과 학벌 사회를 넘어)

정진상  | 책세상
8,910원  | 20211001  | 9791159317132
한국 사회의 교육문제는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일까? 지은이는 무한 입시경쟁으로 성격지워지는 우리 교육의 문제의 근본원인이 서울대를 정점으로 하는 '대학서열체제'와 우리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로 군림하고 있는 '학벌주의'에 있다고 지적한다.
9791167550842

채용 대전환, 학벌 없는 시대가 온다 (7인의 전문가가 들려주는 채용과 교육에 관한 놀라운 이야기)

손주은, 이소영, 도현명, 신태균, 이형우  | 우리학교
16,200원  | 20221219  | 9791167550842
“학벌·스펙으로 사람을 뽑는 시대는 지났다.” 채용 대전환 시대의 최전선에 선 전문가 7인이 직업과 교육에 대해 들려주는 놀라운 통찰과 해법 『채용 대전환, 학벌 없는 시대가 온다』는 채용 대전환 시대의 최전선에 서 있는 전문가 7인이 생생한 현장 겸험과 풍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출해낸, 직업과 교육에 대한 놀라운 통찰을 담고 있는 책이다. 손주은 메가스터디 회장을 비롯하여 이소영 마이크로소프트사 이사, 도현명 임팩트스퀘어 대표, 신태균 전 삼성인력개발원 부원장, 이형우 마이다스아이티 회장, 이혜영 아쇼카 한국 대표, 송인수 교육의봄 공동대표가 이 책의 저자로 참여했다. 이들은 사교육계의 상징적인 인물, 세계적 기업의 한국인 이사, ‘임팩트 비즈니스’라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을 키우는 일을 해온 활동가이자 기업가, 삼성그룹의 연수 총괄 책임자, 역량검사라는 새로운 채용 도구를 개발한 기업가, 전 세계 사회혁신가를 발굴하고 그들을 지원하며 세상의 변화를 응원하는 국제적 조직의 한국 대표, 교육의봄 공동대표 등 자신의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사람들이다. 리더로서 시대의 흐름을 보는 눈 또한 탁월하다. 이 책은 단순히 ‘채용’과 ‘교육’의 실상을 알려주는 책이라기보다는 시대의 흐름을 앞서 설명하고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한다. 모든 것이 급격하게 변하는 혼란의 소용돌이에서 우리 사회을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인 ‘채용’과 ‘교육’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다. 저자들은 한목소리로 기업의 채용은 변화가 불가피하며 학벌·스펙에 의존하지 않는 채용이 대세가 될 것이라고 단언한다. 그리고 더 늦기 전에 교육도 비상한 자세로 변화의 길을 가야 한다고 힘주어 말한다.
9788970908229

왜 학벌은 세습되는가 (퓰리처상 수상 기자가 밝힌 입학사정관제의 추악한 진실)

대니얼 골든  | 동아일보사
14,220원  | 20101101  | 9788970908229
입학사정관제는 정말 공정한가? '월스트리트저널'의 교육 담당기자로 일해온 저자, 대니얼 골든이 입학사정관제의 추악한 진실을 파헤친『왜 학벌은 세습되는가?』. 2년 이상의 끈질긴 취재 끝에 일류 대학들이 밝히고 싶어하지 않는 사실을 드러냄으로써 미국이 실력사회라는 신화를 무너뜨렸다. 함량미달의 부잣집 자제들이 뒷문으로 입학함으로써 중산층과 아시아계의 똑똑한 학생들이 어떻게 희생되는지 적나라하게 파헤친다.
9791165218614

나는 학벌보다 돈이 좋습니다만 (마흔 살, 순자산 0원이던 전문직 부부의 3년 17채 부동산 투자 비법)

풍선빵  | 길벗
15,300원  | 20220210  | 9791165218614
부동산 투자에 망설일 이유가 없다! 개원대출 2,000만원도 두려워하던 범생이 한의사, 투자 3년 만에 17채 자산가가 된 ‘초특급 자산불리기’ 노하우
9791159317514

한국의 학벌, 또 하나의 카스트인가

김동훈  | 책세상
8,010원  | 20220928  | 9791159317514
저자인 김동훈 교수는 <대학이 망해야 나라가 산다>라는 책으로 한국의 지식 권력의 문제점을 파헤친 바 있다. 또한 저자를 비롯한 몇몇 뜻있는 이들이 만든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모임'에서는 인터넷 홈페이지(www.antihakbul.org)등을 통해 생산적인 토론을 이어가고 있다. 저자는 우선 학벌사회를 옹호하는 견해들을 경쟁동기론, 기회균등론, 능력지표론 등으로 분류하여 그 주장의 부당함을 논박한다. 그리고 이러한 학벌사회 옹호론에 대한 비판을 근거로 학벌사회의 수혜자와 방조자, 피해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을 가한다.
9788996789994

큰 꿈에 투자하라 (학벌, 스펙, 인맥... 다 없어도)

백진성  | 이룸나무
12,600원  | 20130205  | 9788996789994
성공 신화, 당신도 이룰 수 있다! 학벌, 스펙, 인맥… 다 없어도『큰 꿈에 투자하라』. 창업 5년 만에《비타민 PC방》과《커피베이》체인점 280개를 운영 중이며, ‘절대 긍정’, '무한 희망’, ‘과잉 성실’ 세 가지 키워드로 창업 5년 만에 성공 신화를 쓴 저자 백진성이 ‘누구나 이룰 수 있는 성공’에 대해 이야기한다. 젊은 나이에 창업하여 5년 만에 성공 신화를 달성했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한다. 저자는 스펙이나, 어학연수, 대기업만을 바라보는 취업 앞에서 좌절을 맛보고 있는 청춘들에게 무엇보다 큰 꿈에 투자해야 할 것을 조언한다. 학벌, 스펙, 인맥 다 없이도 직장과 비즈니스 현장에서 성공하는 다양한 노하우를 고스란히 담아냈다. 현실에 안주하거나, 현재의 힘든 상황 앞에 무릎 꿇고 좌절하는 젊은이들에게 반성과 깨침을 주고, ‘하면 된다, 이룬다’는 무한도전의 큰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안내한다.
9791187150893

부자가 되고 싶은 아이들 (학벌이 밥 먹여주는 시대는 끝났다)

하수정  | 어바웃어북
15,120원  | 20210601  | 9791187150893
◎ 지폐지기(知幣知己) 돈을 알고 나를 알아야, 돈의 주인으로 살 수 있다! 근로소득만으로는 집 한 채 마련하기 힘든 시대다. 오랫동안 우리 사회를 지탱했던, ‘학벌’이라는 계층이동 사다리는 부러진 지 오래다. 학벌은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지위, 무엇 하나 보장해주지 못한다. 열심히 일해도 ‘빈곤의 중력장’을 벗어날 수 없고, 부의 대물림은 더 심화되고 있다. “돈 신경 쓰지 말고, 넌 그냥 공부만 해.” 어른들은 자나 깨나 돈 걱정뿐이면서도, 입시 교육에 매몰된 나머지 정작 아이의 돈공부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아이들은 온종일 책상에만 앉아 있다가 불쑥 사회로 내몰린다. 아무런 준비 없이 팍팍한 현실을 마주한 아이들은 절망할 수밖에 없다. 지난해부터 계속된 ‘투자 광풍’ 속에 2030세대는 “인생 한 방”을 외치며 빚을 내 부동산ㆍ주식ㆍ가상화폐 투자에 뛰어들고 있다. 젊은 세대의 투자 방식이 무모하다 비난하기 전에, 이들에게 돈을 어떻게 벌고, 쓰고, 불려야 할지 가르쳐준 적 있는지 반문해보자. 우리 사회 돈공부의 부재는 돈 모르는 어른을 만든다. 돈공부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기술을 배우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수학 공식 하나, 영어 단어 하나 외우게 하는 것보다 급한 것이 바로 돈공부다. 일찍이 자본주의 문법을 배워야 돈에 휘둘리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 돈공부에도 순서가 있다. 대개의 재테크 책은 돈을 쓰고 불리는 방법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자본은 노동의 아들”이라는 에이브러햄 링컨의 말처럼, 돈공부는 ‘노동’을 가르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돈을 어떻게 벌어야 할지에 대한 고민과 탐색은 돈을 대하는 태도를 바꾸고, 꿈을 구체화하는 원동력이 된다. 투자에서 아이가 주인공이 되면 종목 선정부터 투자 기법, 매매 방법까지 어른의 투자와는 접근 방법부터 달라진다. 예를 들어 업계 1등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전문가들이 꼽는 좋은 투자법이지만, 우리 아이가 장기적으로 묻어둘 종목을 선택할 때는 ‘미래에도 1등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어른들도 돈을 잘 모르긴 마찬가지다. 부모가 ‘부린이’ ‘주린이’ ‘코린이’라도 괜찮다. 돈공부에 늦은 때란 없다.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투자자로 꼽히는 워런 버핏의 자산 중 99.6%는 그가 50세 이후 번 돈이다. 우리 아이들에게는 ‘시간’이라는 강력한 무기가 있다. 지폐지기(知幣知己). 돈의 가치를 알고 쓰임을 제대로 이해해야 돈의 주인으로 살 수 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