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교육비평
· ISBN : 9788935655472
· 쪽수 : 446쪽
· 출판일 : 2004-10-25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 학벌을 그 근거에서 사유하는 것
[1] 권력의 독점과 사회적 불평등
1. 어떤죽음
2. 서울대와 권력독점
3. 학벌과 계급
4. 학벌과 탁월함의 신화
5. 학벌과 불평등
[2] 학벌과 사회적 주체성의 문제
1. 학벌 개념의 모호함
2. 공동주체성
3. 서로주체성의 변증법
4. 학벌의 계보
5. 학벌과 주체성의 왜곡
6. 학벌이기주의와 공동체의 붕괴
[3] 학벌과 교육의 파탄
1. 공교육 파탄의 뿌리
2. 전인교육의 붕괴 1 - 생각의 힘에 관하여
3. 전인교육의 붕괴 2 - 도덕에 관하여
4. 전인교육의 붕괴 3 - 예술교육
5. 시험의 획일성과 개성적 전문교육의 불가능성
[4] 학벌과 국가 경쟁력의 위기
1. 개성적 재능의 억압
2. 학벌과 대학교육의 위기
3. 사교육의 폐해
[5] 교육의 이념과 학교 평준화
1. 대학의 평준화가 유일한 대안이라는 것
2. 평준화된 학교교육의 이념과 대학 평준화
[6] 학벌타파의 구체적 대안들
1. 미신의비판
2. 실천의 원칙
3. 서울대 학부 폐지
4. 권력분산의 제도화
5. 교육개혁의 과제들
- 에필로그 /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학벌은 이 땅의 거의 모든 대학생들에게 하나의 트라우마, 곧 정신적 상처이다. 대다수 학생들이 학벌경쟁의 패배자들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자기의 상처를 정면으로 응시하는 것은 비상한 용기를 필요로 한다. ...이제는 학벌차별이 자기 자신에게 얼마나 큰 고통인지 스스로 인정하는 용기를 보일 때다. 트라우마와 정면으로 대면하지 않는 한 우리는 그것에 대한 노예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