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체포와 순교 (탄생 200주년 희년 기념 자료집)
한국교회사연구소 | 한국교회사연구소
18,000원 | 20210729 | 9791185700335
김대건 신부의 체포, 문초, 판결, 순교, 시신 발견과 이장, 시복 관련 자료를 모아 번역하고 원문을 첨부한 제 3 집. 조선 관변 기록, 페레올 주교의 서한과 가경자 문 헌, 시복 재판의 증언 기록으로 구성되며, 성 김제준 이냐시오 관련 기록, 김대건 신부 유해 이장 기록 및 흉상 복원 사진 등이 부록으로 실려 있다.
□ 제 3 집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체포와 순교』는 김대건 신부의 마지막 행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 김대건 신부가 1846 년 5 월 12 일(양력 6 월 5 일) 등산진(登山鎭)에서 체포된 후 7 월 26 일(양력 9 월 16 일) 새남터에서 순교하여 교우들에 의해 미리내로 안장 될 때까지의 내용으로, 본문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원문 자료는 한문 자 료ㆍ프랑스어 자료ㆍ라틴어 자료로 구분됩니다.
□ 제 1 장 「조선의 관변(官邊) 기록」은 한문 자료로 김대건 신부가 체포된 이후 부터 군문효수형을 당해 순교하기까지의 내용이고, 제 2 장 「페레올 주교의 서한과 가경자(可敬者) 문헌」에는 페레올 주교의 서한과 김대건 신부의 약전 및 순교 행적과 가경자 문헌이 수록되어 있으며, 제 3 장 「시복 재판의 증언 기록」은 증언자 일람과 증언 내용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프랑스어 자료는 제 2 장 중 페레올 주교의 서한과 제 3 장 부분으로, 제 2 장 가운데 페레올 주교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2 통의 서한(1846 년 9 월 6 일자, 1847 년 11 월 25 일자)은 1996 년 간행된 초판 자료집에서는 제 2 집에 수록된 것인데, 개정판에서 제 3 집으로 옮겨 실었습니다. 라틴어 자료는 제 2 장에 있는 김대건 신부의 순교 행적과 ‘가경자 문헌’입니다.
□ 부록으로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 김대건 신부의 부친 김제준(金濟俊, 이냐시 오), 조선 교회의 밀사 정하상(丁夏祥, 바오로), 조신철(趙信喆, 가롤로) 등의 문초 기록(조선의 관변 기록)과 김대건 신부의 유해 이장 관계 기록 및 흉상 복원 사 진, 김대건 신부의 시신을 미리내로 이장할 때 관계한 이민식(李敏植, 빈첸시오) 과 미리내 경당 기록, 라파엘호 복원 기록을 수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