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The Letters of Saint Andrew Kim Dae-geon

The Letters of Saint Andrew Kim Dae-geon

(For the 2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in 1821,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서한> 영문판)

한국교회사연구소 (엮은이), Brothers Anthony and Han-Yol of the Community of T (옮긴이)
한국교회사연구소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The Letters of Saint Andrew Kim Dae-geon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The Letters of Saint Andrew Kim Dae-geon (For the 2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in 1821,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서한> 영문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인물
· ISBN : 979118570034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1-08-17

책 소개

(재)한국교회사연구소에서는 2021년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탄생 200주년 희년’과 ‘2021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 선정을 기념하면서, '한국인 최초의 사제' 성 김대건 신부의 삶과 업적을 전 세계에 알리고자 영문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서한>'을 간행하였다.

목차

Introductory Message
Remembering Saint Andrew Kim Dae-geon · 9

Message from the Cardinal Archbishop of Seoul
Celebrating the 200th anniversary of St. Andrew Kim Dae-geon’s birth · 11

Preface :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The materials collected in this volume · 18
When and where the letters were written · 22
The recipients of the letters · 24
Historical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letters · 29
Table of the Letters and Reports · 31
Notes · 32
A Chronology of the life of Saint Andrew Kim Dae-geon · 34
Genealogy of Kim Dae-geon · 45

The Letters of Saint Andrew Kim Dae-geon
The first letter · 49
The second letter · 52
The third letter · 53
The fourth letter · 59
The fifth letter · 72
The sixth letter · 76
The seventh letter · 83
The eighth letter · 90
The ninth letter · 93
The tenth letter · 116
The eleventh letter · 122
The twelfth letter · 129
The thirteenth letter · 136
The fourteenth letter · 137
The fifteenth letter · 138
The sixteenth letter · 139
1. Report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Martyrs · 147
Part 1: Overview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hurch · 149
Part 2: The truth of the 1839 Gihae Persecution · 158
2. Report on the Korean Martyrs · 171
Laurent Imbert, Titular Bishop of Capsa and Vicar Apostolic of Korea · 171
A brief description of the priests’ martyrdom · 175
A description of the main punishments that the priests and other Christians received · 178
Prison and tribunals · 180
Father Pierre Maubant, Pro-Vicar General of Korea · 181
Father Chastan, James Jeong · 182
The Deeds of Several Important of Martyrs of 1839 in Seoul · 185
The seventeenth letter · 222
The eighteenth letter · 225
The nineteenth letter · 228
The twentieth letter · 232
The twenty-first letter · 244

Annex : The Historical Background
Meeting Catholicism through the translation into Chinese of Western Scholarship · 251
The Ganghakhoe: academic seminars on Catholicism among Korea intellectuals at Jueo Temple and nearby Cheonjinam · 253
The establishment of the Church in Korea · 255
The first crisis 256
“Pseudo-hierarchy era” and the movement to recruit priests · 257
The believers’ response to the ban on the ancestral rites · 259
The martyrdom of Yun Ji-chung and Kwon Sang-yeon · 260
The first missionary · 261
Sinyu: the first official countrywide persecution · 263
In the aftermath of the persecution · 266
Petitioning for a priest · 268
The Eulhae (1815) and Jeonghae (1827) Persecutions · 269
The ministry of Jeong Ha-sang and the movement to recruit priests · 271
The establishment of the Apostolic Vicariate of Korea (1831) · 272
The first Vicar Apostolic attempts to enter Korea · 274
The entry and work of the French missionaries · 275
The Gihae Persecution (1839) · 277
Father Andrew Kim Dae-geon, the first indigenous priest · 280
The White Martyr: Choe Yang-eop, the second indigenous priest · 283

Index · 285

저자소개

한국교회사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회사연구소는 1964년 8월 17일 설립된 한국 천주교회 최초의 연구 기관으로, 한국교회사연구소는 본 연구소는 지난 46년 동안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와 문화 연구 및 순교 신심의 고양을 통해 설립 이후 지금까지 여러 차례의 질곡과 변화를 겪으며 외적·질적으로 성장해 왔습니다. 한국 가톨릭 문화의 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한국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려는 설립 목적을 변함없이 실천하고 있습니다. 연구사업_보다 비중 있는 연구주제 선정에 주력 과거와 현재를 조명하고 미래의 지향점을 꾸준히 제시해 온 본 연구소에서는 매년 4회의 연구발표회와 1회의 심포지엄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논문집 《교회사연구》(연 2회)와 월간 《교회와 역사》를 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40주년을 맞은 지난 2004년부터는 교회의 문화와 가르침이 여러 학문 분야와 연계·확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교회사만이 아니라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지원에 주력하며, 우리나라 인문학계의 발전에 기여하는 연구소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자료의 보존과 연구자들을 위해 고문서고와 도서실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장학사업 및 학술연구 지원_우리나라 인문학계 발전을 위한 노력과 실천 본 연구소는 지난 1997년에 성농장학회를 설립하여 석·박사 과정 중에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개 모집과 심사를 통하여 장학금을 지급해 오고 있습니다. 이 장학회를 통하여 양성된 전문 연구자들은 학계와 한국 사회의 문화적 성장에는 물론 한국 천주교회에도 크게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인문학계 발전에 기여하고자 박사 학위 과정 수료 이상의 전문 연구자들에게도 학술연구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출판사업_한국 교회사는 물론 역사 연구에 필요한 도서의 지속적인 간행 2006년 전 12권으로 완간한 《한국가톨릭대사전》을 비롯하여 다양한 연구서 및 신심서를 간행하고 있습니다. 교회사 연구의 기초가 되는 연구 총서, 연구 논문집, 교회사 연구 자료 영인본, 명동 본당 200년사 자료집, 부산교구사 자료집, 함경도 천주교회사 자료집, 성 김대건 신부 150주년 전기 자료집 등이 대표적입니다. 특히 《리델 문서》·《브뤼기에르 주교 여행기》·《브뤼기에르 주교 서한》(2011년 간행 예정) 등의 역대 교구장 문서,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30년사》·《명동 본당사》·《소신학교사》·《서울대교구사》(2011년 간행 예정) 등을 비롯한 여러 교구사 및 단체사, 달레 신부의 《한국천주교회사》 및 교회 설립부터 현대까지 한국 천주교회사의 흐름을 다룬 통사로서의 《한국천주교회사》, 김수환 추기경과 노기남 대주교 사진집, 한국 근현대시기의 정치·사회·문화 현상을 엿볼 수 있는 《뮈텔 주교 일기》(1890∼1933년) 전 8권을 비롯하여 한국 천주교회사 및 근현대사 연구에 필요한 도서들을 꾸준하게 펴내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소는 2000년 《한국 교회사의 탐구》 Ⅲ, 2006년 《한국가톨릭대사전》 등으로 한국 가톨릭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펼치기
Brothers Anthony and Han-Yol of the Community of T (옮긴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