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활동과 업적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활동과 업적

한국교회사연구소 (지은이)
한국교회사연구소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활동과 업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활동과 업적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인물
· ISBN : 9791185700328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1-07-22

책 소개

김대건의 신학생 시기에 그와 함께 생활한 적이 있는 프랑스 선교사들의 서한 및 여타 자료에서 김대건 신부 관련 내용을 발췌·번역한 제 2 집. 자료 대부분이 초판 간행 당시 새로 소개된 내용들로 매우 귀중한 사료이다.

목차

간행사
축 사
해 제
연 보

제1장 신학생 선발과 마카오 유학

1. 신학생 선발과 유학 장소 논의
① 모방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조선에서 발송한 첫 번째 서한(1836. 4. 4) 39
② 모방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6. 4. 4) 49
③ 르그레즈와 신부가 모방 신부와 샤스탕 신부에게 보낸 답신(1837. 5. 2) 55

2. 마카오로 출발
① 모방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과 신학생 서약서(1836. 12. 3) 59
② 샤스탕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6. 12. 18) 69

3. 마카오 도착
① 바랑탱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37. 6. 13) 73
② 칼르리 신부가 테송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7. 10. 4) 79
③ 칼르리 신부가 테송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7. 10. 6) 85

4. 마카오 추방 위기와 대응 방안 모색
① 르그레즈와 신부가 마닐라 대주교에게 보낸 서한(1837. 8. 19) 91
② 르그레즈와 신부가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37. 8. 19) 93
③ 르그레즈와 신부가 칼레 신부에게 보낸 서한 요약(1837. 8. 19) 95
④ 르그레즈와 신부가 바랑탱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7. 8. 21) 97
⑤ 르그레즈와 신부가 파이바 씨에게 보낸 서한(1837. 8. 23) 99
⑥ 르그레즈와 신부가 바랑탱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7. 8. 25) 101
⑦ 르그레즈와 신부가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37. 12. 1) 103

5. 최방제의 사망
① 칼르리 신부가 뒤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7. 12.) 105
② 르그레즈와 신부가 앵베르 주교에게 보낸 서한의 요약본(1838. 2. 20) 113

제2장 마닐라 피신과 마카오 귀환

1. 마카오 소요와 마닐라 피신
① 르그레즈와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39. 4. 28) 117
② 리브와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39. 5. 3) 119

2. 롤롬보이에서의 생활
① 리브와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9. 5. 16) 127
② 리브와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39. 5. 28) 137
③ 르그레즈와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39. 6. 5) 143
④ 리브와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9. 6. 6) 145
⑤ 리브와 신부가 곤잘레스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9. 6. 6) 149
⑥ 리브와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9. 6. 9) 151
⑦ 리브와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9. 6. 23) 153
⑧ 리브와 신부가 랑글르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9. 8. 2) 157
⑨ 리브와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9. 8. 11) 159
⑩ 리브와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39. 8. 11) 167
⑪ 리브와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39. 9. 21) 171
⑫ 리브와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9. 9. 29) 173

3. 마카오 귀환
① 리브와 신부가 뒤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9. 10. 21) 177
② 르그레즈와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39. 10. 21) 179
③ 리브와 신부가 칼르리 신부에게 보낸 서한(1839. 10. 30) 181

4. 1840~1841년 마카오에서의 신학 공부
① 르그레즈와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40. 3. 15) 183
② 『한국 천주교회사』의 기록(하, 32쪽) 187
③ 베르뇌 신부가 쿠트랭 본당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0. 9. 24) 189
④ 베르뇌 신부가 부비에 주교에게 보낸 서한(1840. 10. 27) 191
⑤ 메스트르 신부가 알브랑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1. 11. 17) 193

제3장 마카오 출발과 조선 입국로 탐색

1. 에리곤호 승선과 마닐라 도착
① 리브와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2. 2. 11) 201
② 리브와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42. 2. 12) 203
③ 메스트르 신부가 알브랑 신부에게 보낸 서한 (1842. 2. 28) 215
④ 리브와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42. 3. 4) 217
⑤ 메스트르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2. 3. 8) 219
⑥ 메스트르 신부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2. 3. 8) 221
⑦ 리브와 신부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42. 4. 1) 225
⑧ 메스트르 신부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2. 4. 19) 229
⑨ 리브와 신부가 대목구장들에게 보낸 서한(1842. 7. 2) 233

2. 에리곤호 하선과 요동 체류
① 고틀랑 신부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2. 7. 21) 239
② 메스트르 신부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2. 9. 21) 241
③ 메스트르 신부가 알브랑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2. 10. 2) 247
④ 메스트르 신부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2. 10. 3) 255
⑤ 메스트르 신부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2. 11. 14) 259

3. 조선 교우들과의 접촉과 조선 입국로 탐색
① 페레올 주교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3. 2. 20) 269
② 메스트르 신부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3. 3. 1) 273
③ 페레올 주교가 파리 신학교 지도 신부들에게 보낸 서한(1843. 3. 5) 281
④ 메스트르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3. 3. 7) 283
⑤ 메스트르 신부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3. 11. 21) 291
⑥ 페레올 주교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4. 1. 20) 295
⑦ 메스트르 신부가 알브랑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4. 3. 28) 303

4. 김대건과 최양업의 부제 서품
① 페레올 주교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4. 5. 18) 307
② 메스트르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4. 5. 19) 311
③ 페레올 주교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4. 12. 10) 313

제4장 김대건의 활동과 사제 수품

1. 김대건 부제의 조선 입국
① 메스트르 신부가 알브랑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5. 5. 25) 319
② 메스트르 신부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5. 5. 25) 321
③ 페레올 주교가 파리와 리옹의 참사회원들에게 보낸 서한(1845. 5. 25) 325

2. 김대건 부제의 상해 도착과 사제 수품
① 고틀랑 신부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5. 5. 30) 329
② 예수회 고틀랑 신부가 같은 회 소속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5. 7. 8) 333
③ 페레올 주교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5. 8. 28) 349
④ 다블뤼 신부가 바랑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5. 8. 28) 353

3. 김대건 신부의 조선 귀국
① 페레올 주교가 바랑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5. 10. 29) 359
② 페레올 주교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5. 11. 2) 381
③ 페레올 주교가 포교성성 장관 추기경에게 보낸 서한(1845. 11. 6) 383
④ 메스트르 신부가 르그레즈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6. 1. 19) 385
⑤ 메스트르 신부가 알브랑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6. 1. 20) 387

4. 김대건 신부의 「조선전도」
① 메스트르 신부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8. 9. 8) 391
② 메스트르 신부가 리브와 신부에게 보낸 서한(1849. 5. 15) 395

색 인 398

저자소개

한국교회사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회사연구소는 1964년 8월 17일 설립된 한국 천주교회 최초의 연구 기관으로, 한국교회사연구소는 본 연구소는 지난 46년 동안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와 문화 연구 및 순교 신심의 고양을 통해 설립 이후 지금까지 여러 차례의 질곡과 변화를 겪으며 외적·질적으로 성장해 왔습니다. 한국 가톨릭 문화의 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한국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려는 설립 목적을 변함없이 실천하고 있습니다. 연구사업_보다 비중 있는 연구주제 선정에 주력 과거와 현재를 조명하고 미래의 지향점을 꾸준히 제시해 온 본 연구소에서는 매년 4회의 연구발표회와 1회의 심포지엄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논문집 《교회사연구》(연 2회)와 월간 《교회와 역사》를 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40주년을 맞은 지난 2004년부터는 교회의 문화와 가르침이 여러 학문 분야와 연계·확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교회사만이 아니라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지원에 주력하며, 우리나라 인문학계의 발전에 기여하는 연구소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자료의 보존과 연구자들을 위해 고문서고와 도서실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장학사업 및 학술연구 지원_우리나라 인문학계 발전을 위한 노력과 실천 본 연구소는 지난 1997년에 성농장학회를 설립하여 석·박사 과정 중에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개 모집과 심사를 통하여 장학금을 지급해 오고 있습니다. 이 장학회를 통하여 양성된 전문 연구자들은 학계와 한국 사회의 문화적 성장에는 물론 한국 천주교회에도 크게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인문학계 발전에 기여하고자 박사 학위 과정 수료 이상의 전문 연구자들에게도 학술연구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출판사업_한국 교회사는 물론 역사 연구에 필요한 도서의 지속적인 간행 2006년 전 12권으로 완간한 《한국가톨릭대사전》을 비롯하여 다양한 연구서 및 신심서를 간행하고 있습니다. 교회사 연구의 기초가 되는 연구 총서, 연구 논문집, 교회사 연구 자료 영인본, 명동 본당 200년사 자료집, 부산교구사 자료집, 함경도 천주교회사 자료집, 성 김대건 신부 150주년 전기 자료집 등이 대표적입니다. 특히 《리델 문서》·《브뤼기에르 주교 여행기》·《브뤼기에르 주교 서한》(2011년 간행 예정) 등의 역대 교구장 문서,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30년사》·《명동 본당사》·《소신학교사》·《서울대교구사》(2011년 간행 예정) 등을 비롯한 여러 교구사 및 단체사, 달레 신부의 《한국천주교회사》 및 교회 설립부터 현대까지 한국 천주교회사의 흐름을 다룬 통사로서의 《한국천주교회사》, 김수환 추기경과 노기남 대주교 사진집, 한국 근현대시기의 정치·사회·문화 현상을 엿볼 수 있는 《뮈텔 주교 일기》(1890∼1933년) 전 8권을 비롯하여 한국 천주교회사 및 근현대사 연구에 필요한 도서들을 꾸준하게 펴내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소는 2000년 《한국 교회사의 탐구》 Ⅲ, 2006년 《한국가톨릭대사전》 등으로 한국 가톨릭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