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2024 젊은작가상"(으)로 2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54638746

제15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2024)

김멜라, 공현진, 김기태, 김남숙, 김지연, 성해나, 전지영  | 문학동네
6,930원  | 20240331  | 9788954638746
“우리의 스토리가 마음에 드셨습니까?” 우리 삶의 진짜 모습을 발견하는 N가지 상상력 2010년 제정된 이래 해를 거듭하며 독자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는 젊은작가상이 어느덧 15회를 맞았다. 저만의 문제의식과 치열한 언어로 문학의 지평을 넓혀온 데뷔 십 년 이하 작가들의 눈부신 발돋움을 조명하고자 마련된 젊은작가상은 지난해까지 모두 62명에 이르는 새로운 얼굴을 소개하며 한국문학에 생기를 더했다. 올해 젊은작가상에 이름을 올린 수상 작가는 김멜라 공현진 김기태 김남숙 김지연 성해나 전지영이다. 이 상의 수상자로는 처음 이름을 올린 공현진 김기태 김남숙 성해나 전지영 다섯 명의 등장이 반갑고, 작품세계를 경신하며 세번째로 젊은작가상을 수상하는 김지연의 성취가 뜻깊다. 무엇보다 2021년부터 한 해도 빠짐없이 젊은작가상을 수상하다가 올해 마침내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대상의 영예를 안은 김멜라의 쾌거가 값지다. 우리 삶의 한 장면을 흥미진진한 상상력으로 풀어낸 이 일곱 편의 소설은 독자에게 밀도 높은 공감을 안길 뿐 아니라 독서 그 자체의 즐거움을 만끽하게 하는 새봄의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9791190566919

2024년 제25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품집

안서현, 김영삼, 김주원, 박동억, 오은교  | 작가
13,500원  | 20240725  | 9791190566919
2024년 제25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은 안서현 평론가의 「청차의 솔리로퀴), 화자의 마지막 테이프」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2000년에 ‘젊은평론가상’을 제정한 이후 우리 비평의 현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개성적인 목소리를 유지하고 있는 평론들에 주목해 왔다. 더불어 2011년부터는 기왕에 출판된 평론집을 대상으로 선정하던 방식을 직전 년도 동안 문예지에 발표된 평론들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젊은평론가상 자체의 현장성과 동시대성을 높이고자 노력했다. 올해로 25회를 맞은 이 상은 그간 우리 문단의 대표적인 젊은 평론가들의 활동에 작지만 강렬한 응원을 보냄으로써 문단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은 중요한 통로이다. 2023년 한 해 동안 각 문예지에 발표된 평론들 중에서 젊음의 열정과 새로운 시선으로 우리 평단에 새로운 목소리를 전하고 있는 우수한 작품들을 선정해 이렇게 『2024년 젊은평론가상 수상 작품집』을 내놓게 되었다. 이 책에 수록된 평론들에는 동시대 우리 문학의 다양한 모습들과, 그에 반응하면서 우리 문학을 조명해가는 평론가들의 치열한 고민과 문제의식이 뚜렷이 담겨 있다. 2023년도 한국문학의 새롭고 다기한 특성들을 음미해보고 역동적인 현장성을 느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여기에 실린 평론들은 섬세한 시선과 다양한 목소리로 우리 문학이 발표되고 소통되는 현장을 점검해 보고 있기 때문이다. 매년 그렇듯 젊은평론가상의 수상작품 선정 과정은 비평문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문제의식과 또 그에 걸맞는 비평적 성과들로 인해 치열한 의견을 주고받는 시간이기도 했다. 이번에도 역시 오랜 논의 끝에 안서현 평론가를 제25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자로 결정하였다. 안서현 평론가는 2010년 《문학사상》 평론 부문에서 신인상을 받으면서 문학평론가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한국 문학의 변화와 그 현재적 의미에 누구보다도 민감한 비평적 감수성을 가진 그는 월간 《현대시학》과 계간 《자음과모음》의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면서 우리 문학의 활로를 탐색하는 비평적 글쓰기에 매진하고 있다. 이번 수상작으로 결정된 평문 「청자의 솔리로퀴(soliloquy), 화자의 마지막 테이프」은 김숨의 소설 『듣기 시간』을 ‘청자의 서사학’이라는 관점으로 상세하게 분석하고 있는 글이다. 여기에서 안서현은 전통적인 화자와 청자의 관계가 역전되어 나타나고 있는 점에 주목하면서 이와 같은 상황이 결국 ‘진실’에 도달할 수 있는 소설적 가능성과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논리적으로 드러낸다. 특히, 이를 차학경의 『딕테』와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 「크랩의 마지막 테이프」 등과 겹쳐 읽음으로써 그 의미를 보다 심층적인 차원으로 확장시켜나가고 있는 방식은 그만의 비평적 관점과 의미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의 비평적 행보와 평문에서 확인할 수 있는 비평적 성과는 우리 문학의 가치를 보다 확산시키는 한편, 평단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믿으며 이 작품을 수상작으로 선정하였다. 좋은 작품을 선정하게 되어 기쁜 마음으로 안서현 평론가에게 축하를 드린다. 그가 보여준 비평 작업이 이번 수상을 계기로 더욱 확장되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1971년도에 창립된 이후 지금까지 한국문학의 현장에서 문학의 활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 왔다. 본 협회는 앞으로도 깊이 있고 활달한 논의를 통해 한국문학비평과 문학 전반의 생산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
검색어 "2024 젊은작가상"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