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AI혁명 (AI+신인류가 열어가는 새로운 세계)
김석준 | 부크크(bookk)
75,100원 | 20250707 | 9791112020277
이 책은 저자의 AI연구시리즈 전 11권 가운데 제 1권 <<AI혁명: 제 5차 산업혁명이 열어가는 새로운 AI 세상>>에 이은 제 2권이다.
이 책에서 설명한 장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 1장. <1~5차 산업혁명과 AI혁명>에서는 AI혁명이란? 1~5차 산업혁명과 AI혁명, AI혁명의 단계별 성격, 각 영역별 정책 대안, 국가별 대응 사례, 철학적 함의, AI 기술의 역사적 전개, 각 단계별 주요 인물, 철학자, 정책적 함의, 역사적 사건, 시대별 AI 산업 구조, 윤리적 이슈, 교육 정책, 사회적 수용 변화, 국가별 대응 비교, 노동시장, 법제도, 군사적 이용 가능성 분석, 국가 간 AI 외교 전략, 시민권 재정의, AI와 디지털 식민주의, 각 항목별 정책 제안, 사례 비교, 법적 규범 검토 등을 설명했다. 둘째, 제 2장 <세계 AI 시대의 특징>에서는 AI시대의 주요 특징, AI시대의 기술적 특징, AI시대의 경제적 특징, AI시대의 사회적 특징, AI시대의 정치적, 행정적, 법제도적 특징, AI시대의 문화적, 철학적 특징 등을 설명했다.
셋째, 제 3장 <AI 시대의 분야별 구체적 특성>에서는 데이터 중심 사회 (Data- Driven Society), 자동화와 일자리 재편(Automation & Job Disruption), 초개인화 (Hyper-Personalization), 윤리적 도전 (Ethical Challenges), 초지능(AGI)과 인간의 미래, 초연결성 (Hyper-Connectivity), 실시간 의사결정 (Real-Time Decision Making), 창의성과 인간 고유 역량, 지속가능성과 AI의 긍정적 활용, AI의 사회적 책임(Explainable AI, 공정성) 강조, 지능자동화 (Intelligent Automation)의 일상화, 인지권력의 재편과 플랫폼 중심 권력 구조 , 세계질서와 인문학의 재구성, AI 시대의 철학적 특성, AI사회의 철학적 특성, 전통사회, 산업사회, AI사회의 철학적 특성 등을 설명했다. 넷째, 제 4장 <세계의 AI혁명과 AI 국가경쟁력>에서는 세계의 AI혁명: 변화와 전망 , 2020년대 세계 AI 혁명: 기술발전과 주요 동향, 세계 AI 국가경쟁력, 세계적인 50대 AI 연구소, 세계적인 50대 AI 연구 대학, 세계적인 50대 AI 기업, 세계적인 AI혁명에서 정부가 가장 유능한 역할을 한 국가 등을 다루었다. 다섯째, 제 5장 <미국의 AI혁명>에서는 미국 AI혁명의 역사적전개, 미국 AI혁명에서의 정부, 기업, 연구계 역할, 미국 AI 혁명의 주요 특징, 미국의 AI혁명의 성격, 미국 중심의 AI혁명 타임라인, 미국 AI 생태계 맵(기업, 정부기관, 대학 등), 미국의 주요 AI 연구소, 미국의 주요 AI 대학, 미국의 주요 AI 기업, 미국 AI혁명의 SWOT분석, SWOT 관리전략, 미국과 경쟁국의 비교, 미국과 중국의 AI경쟁의 전개, 미국이 중국에 대해 지닌 강점과 약점 등을 설명했다. 여섯째, 제 6장 <중국의 AI혁명>에서는 중국 AI 혁명, 중국 AI전략의 주요 특징, 중국 AI혁명의 시기별 전개와 성격 분석, 중국 AI혁명의 주요 특징, 시기별 정부, 기업, 연구계(학계)의 역할 변화, 중국의 대표적인 AI 연구소와 AI 대학, 중국 AI 혁명의 도전 과제, 중국 AI 기업의 기술 선도와 도전, 중국 AI 초강대국 국가전략, 대만의 AI혁명, 중국 AI전략의 강점과 약점 및 전망, 중국과 미국의 AI경쟁의 과거, 현재, 미래, AI혁명에서 중국과 미국의 강점과 약점 등을 설명했다.
일곱째, 제 7장 <일본의 AI혁명>에서는 일본 AI 혁명의 역사전 전개, 일본 AI 혁명의 주요 특징, 일본 AI 혁명의 핵심 전략, 일본의 AI 혁명: 강점, 도전, 그리고 미래 전략, AI혁명의 전개와 정부, 기업, 연구계(학계) 등의 역할의 변화 , 일본의 AI 연구계와 기업, 일본ㆍEUㆍ미국의 국가 모델 비교, 국가별 AI 전략 우위 비교, 일본 AI혁명 과정에서의 정부의 역할 변화, 일본 AI혁명의 SWOT 분석 등을 다루었다.
여덟째, 제 8장 <영국의 AI혁명>에서는 영국의 AI혁명, 영국 AI 전략에 대한 SWOT 분석과 관리전략, AI혁명의 시기별 전개와 정부와 기업 및 연구계의 역할 변화, 영국 AI혁명의 강점, 도전, 및 글로벌 경쟁력, 영국 AI 전략의 핵심 요소. 영국의 향후 AI 전략 (2025~2030), 영국 AI와 미국 및 중국의 장단점 비교 등을 설명했다. 아홉째, 제 9장 <EU의 AI혁명>에서는 EU AI혁명의 전개, EU AI혁명의 성격 , EU 회원국 간 AI 전략 차이 비교, 국가 간 AI 정책 성과 비교, EU AI혁명과 정부ㆍ기업ㆍ연구계 역할 변화, 정부의 역할 변화, 기업, 연구계ㆍ학계, EU AI 혁명의 주요 특징, EU·미국·중국·한국과의 비교 등을 설명했다.
열째, 제 10장 <싱가포르의 AI혁명>에서는 싱가포르 AI혁명의 시기별 전개, 시기별 정부, 기업, 연구계(학계)의 역할, 싱가포르 AI혁명의 주요 특징, 싱가포르 AI 혁명의 내용상 특징, 싱가포르 AI전략: National AI Strategy 2.0 , 한국ㆍ일본·영국·미국의 「AI 국가전략」과 SWOT 비교 등을 설명했다. 열한째, 제 11장 <인도의 AI혁명>에서는 인도 AI혁명의 시기별 전개, 시기별 정부, 기업, 연구계(학계)의 역할, 인도 AI혁명의 주요 특징, 인도 AI혁명의 내용상 특징, 국가 AI전략: 디지털 인도(Digital India), 「디지털 인도(Digital India)」의 주요 내용, 인도 AI 전략의 SWOT 분석, 인도 vs 한국·싱가포르·영국 AI 전략 비교 등을 다루었다.
열두째, 제 12장 <UAE의 AI혁명>에서는 UAE AI혁명의 시기별 전개, 시기별 정부ㆍ기업ㆍ연구계(학계) 역할 변화, UAE AI 혁명의 주요 특징, UAE AI 국가전략, UAEㆍ싱가포르 등 국가별 비교와 SWOT 분석 등을 설명했다. 열셋째, 제 13장 <사우디아라비아의 AI혁명>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AI혁명의 시기별 전개, 시기별 전개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