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인공지능/빅데이터
· ISBN : 9791112032287
· 쪽수 : 906쪽
· 출판일 : 2025-07-31
목차
제 I부 대한민국 산업혁명과 AI혁명
제 1장 1~5차 산업혁명과 AI혁명 19
I. AI혁명이란? 19
II. AI 혁명이 사회에 미친 영향 23
III. 1~5차 산업혁명과 AI혁명 26
IV. 한국사 속에서 1차~5차 산업혁명과 AI혁명 28
V. 한국과 세계에서의 1~5차 산업혁명과 AI혁명 31
VI. 한국과 세계 5차 산업혁명의 공통점과 차이점 35
VII. 1~5차 산업혁명과 AI 혁명에서 한국의 세계적인 위상 38
제 2장 대한민국 AI혁명의 전개 43
I. 대한민국 AI혁명의 시기별 전개 43
II. 제 3차 산업으로서의 AI 45
III. 제4차 산업으로의 AI 47
IV. 제5차 산업혁명으로서의 AI: 인간 중심의 지능화 시대 50
V. 산업혁명으로서 AI혁명의 성격 52
VI. 제5차 산업혁명으로서의 한국 AI 혁명 55
VII. AI혁명의 전개와 산업혁명과의 관계 분석 57
제 3장 대한민국 AI혁명의 시기별 국가전략 65
I. 대한민국 AI혁명의 시기별 국가전략 65
II. 대한민국 AI혁명의 1기 국가전략 71
III. 대한민국 AI혁명의 2기 국가전략 76
IV. 대한민국 AI혁명의 3기 국가전략 81
V. 대한민국 AI혁명의 4기 국가전략 87
VI. 한국의 AI 혁명 시기별 전개 및 특징 90
VII. 2024년 이후 한국 AI 혁명 SWOT 분석과 관리 91
제 4장 대한민국 AI혁명의 특징 95
I. 대한민국 AI혁명의 특징 95
II. 대한민국 AI혁명과 1~4차 산업혁명의 특징 비교 100
III. 대한민국 AI혁명과 주요 외국 경쟁국 특징 비교 106
IV. 종합적 관점에서의 대한민국 AI혁명의 특징 111
V. 한국 AI혁명과정에서의 정부, 기업, 연구계(학계)의 시기별 역할 변화 117
VI. 한국 AI혁명의 향후 방향 120
제 II부 AI혁명에서의 정부ㆍ기업ㆍ학계의 역할 127
제 5장 대한민국 AI혁명에서 정부의 역할 128
I. 1기 AI혁명에서의 한국 정부의 역할 128
II. 2기 AI혁명에서의 한국 정부의 역할 131
III. 3기 AI혁명에서의 한국 정부의 역할 134
IV. 4기 AI혁명에서의 한국 정부의 역할 137
V. AI혁명을 위한 한국 각 정부 부처의 역할 142
VI. 현재 한국 AI혁명의 장애 요소와 극복 153
VII. AI혁명에서 정부가 당면한 문제해결 방안 156
VIII. 구체적인 현안들과 해결방안(1): 전력문제 159
IX. 구체적인 현안들과 해결방안(2): AI인재 확보 164
X. 구체적인 현안들과 해결방안(3): 52시간 노동법 174
제 6장 AI혁명에서 한국 기업의 역할 183
I. 1기(2000년대 초반 이전) 한국 기업의 역할 183
II. 2기 한국 기업의 역할 184
III. 3기 한국 기업의 역할 187
IV. 4기 AI혁명에서의 한국 기업의 역할 189
V. 성공적인 AI혁명을 위한 한국 대표기업 191
VI. AI혁명의 장애 요소 극복을 위한 기업 역할 206
VII. 기업들이 당면한 문제와 그 해결방안 208
제 7장 AI혁명에서의 한국 학계ㆍ연구계의 역할 211
I. 1기 AI혁명에서의 한국 학계ㆍ연구계의 역할 211
II. 2기 AI혁명에서의 한국 학계, 연구계의 역할 213
III. 3기 AI혁명에서의 한국 학계, 연구계의 역할 215
IV. 4기 AI혁명에서의 한국 학계ㆍ연구계의 역할 217
V. 한국의 대표적인 AI 연구소 220
VI. 한국의 대표적인 AI대학 222
VII. AI혁명 장애 극복을 위한 대학ㆍ연구소의 역할 223
VIII. 대학과 연구소들의 당면 문제와 그 해결방안 226
IX. 학계와 연구계가 향후 해야할 역할 229
제 III부 세계와 대한민국의 AI혁명 232
제 8장 세계속 대한민국 AI혁명 233
I. AI혁명 제1기 세계국가경쟁력과 대한민국의 위상 233
II. AI혁명 제2기 세계국가경쟁력과 대한민국 위상 240
III. AI혁명 제3기 세계국가경쟁력과 대한민국 위상 249
IV 현재 세계국가경쟁력과 대한민국의 위상 259
V. 2025년 한국 AI의 세계적 위상 270
제 9장 세계와 함께하는 대한민국 AI혁명 277
I. 세계와 함께하는 대한민국 AI혁명 277
II. 미국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279
III. 중국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281
IV. EU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283
V. 일본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285
VI. 영국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288
VII. 독일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290
VIII. 프랑스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292
IX. 싱가포르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295
X. 카나다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297
XI. 인도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300
XII. UAE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302
XIII. 사우디아라비아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304
XIV. 주요 외국의 AI혁명과 한국의 관계 307
제 10장 세계와 한국의 AI혁명 310
I. 국가별 AI전략과 경쟁력 비교 310
II. AI혁명에서 한국과 미국의 관계 317
III. 한국과 중국의 AI 경쟁과 협력 329
IV. AI혁명에서 한국과 EU의 경쟁과 협력 337
V. AI혁명에서 한국과 일본 339
VI. AI혁명에서 한국과 영국의 경쟁과 협력 관계 342
VII. AI혁명에서 한국과 싱가포르 344
VIII. AI혁명에서 한국과 인도 346
IX. AI혁명에서 한국과 UAE 349
X. AI혁명에서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 350
제 IV 부 AI시대 문명사와 인간의 변화 353
제 11장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문명사적 변화 354
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문명사적 변화 비교 354
I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지식생산 변화 357
II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시간·공간 감각 변화 365
IV.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인류 비전 변화 373
V. 지속가능성과 AI의 긍정적 활용 381
VI. 지능자동화의 일상화 388
VII. 전통사회, 산업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