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물리학 > 쉽게 배우는 물리학
· ISBN : 6000301942
· 쪽수 : 68쪽
· 출판일 : 2008-12-01
목차
1.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상대성 이론
제1장 다이제스트 상대성 이론
1. 특수 상대성 이론 요약
2. 일반 상대성 이론 요약
3. 상대성 이론 키워드 맵
제2장 상대성 이론이 나오기까지
1. 광속으로 비행하면 거울에 얼굴이 비칠까?
2. 에테르의 수수께끼
3. 절대 좌표와 절대 시간
4. 천동설과 지동설
5. 상대성 원리
6. 광속도 불변의 원리
* 제2장 요점 정리
제3장 특수 상대성 이론이란 무엇인가?
1. 시간의 흐름이 느려진다
2. 공간이 줄어든다.
3. 상대성 이론을 체험하는 입자
4. 질량이 늘어난다.
5. 질량이란 무엇인가?
6. 질량과 에너지는 같다.
* 제3장 요점 정리
제4장 일반 상대성 이론이란 무엇인가?
1. 중력에의 도전
2. 등가 원리
3. 일반 상대성 이론의 핵심
4. 휘어지는 빛
5. 공간이 휘어진다
6. 휜 공간과 빛
7. 중력이 공간을 휘게 한다
8. 중력에 의해 느려지는 시간
* 제4장 요점 정리
제5장 상대성 이론의 의미
1. 그리고 우주론으로
2. 상대성 이론이란 결국 무엇인가?
더 알고 싶다! Q&A 10
2.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양자론
제1장양자론이란 무엇인가?
1. 미래는 결정되어 있을까?
2. 양자론이란?
3. 양자론 요약
제2장양자론의 탄생
1. 이해의 열쇠 ‘파동과 입자의 이중성’
2. 빛의 파동설
3. 양자론에서 생각하는 빛
4. 원자의 모형
5. 양자론에서 생각하는 전자와 원자
요점 정리 : 양자론의 탄생
제3장양자론의 핵심에 다가간다
1. 이해의 열쇠 ‘상태의 공존’
2. 전자의 간섭
3. 해석을 둘러싼 논쟁
4. 불확정성 관계
요점 정리 : 양자론의 핵심에 다가간다
제4장발전하는 양자론
1. 진공의 새로운 이미지
2. 터널 효과
3. 화학과 고체물리학으로의 발전
4. 자연계의 4개의 힘
5. ‘무(無)’에서 생겨나는 우주
요점 정리 : 발전하는 양자론
제5장양자론 총정리
1. 양자론의 주요 인물
2. 양자론 연표
3. 양자론 키워드 맵
4. 양자론이란? 다중 세계 해석이란?
제6장 아인슈타인과 양자론의 발전사
아인슈타인과 양자론 이야기
3. 주기율표
제1장 프롤로그
·원자는 물질의 화학적인 기본 단위
·전자는 일정한 궤도를 운동한다
·원자와 원소는 어떻게 다를까?
·원자는 전자를 출입시키는 이온이 된다
·분자는 그 물질의 특성을 가진 최소의 입자
·화학 결합은 크게 세 종류로 나누어진다
·원자의 교환이나 결합이 일으키는 화학 반응
제2장 주기율표란?
·원소의 주기성을 깨달은 선각자들
·주기율표의 탄생 이야기
·주기율표의 역사 ①~②
·주기율표의 메커니즘 ①~④
·발전하는 주기율표 ①~②
제3장 주기율표를 해독하자
·반응성 높은 ‘알칼리 금속’
·다양한 화합물을 만드는 탄소와 규소
·반응하기 어려운 ‘비활성 기체’
·금속의 성질은 왜 생길까?
·금속의 정체를 불꽃 반응으로 파헤친다
·현재 주목되는 희토류(希土類)
·몸 속에는 어떤 원소가?
·상대 질량
·원소의 기준은 왜 탄소가 되었을까?
·원소의 탄생 과정
·현대의 연금술! 새로운 원소 만들기
제4장 111원소 집중 분석
·원소명의 유래
·111원소 각각의 특성
* 좀더 알고 싶다!
·원자나 분자를 측정하는 편리한 단위 ‘몰’
·주기율표를 만들어 낸 멘델레예프의 생애
·화학의 주춧돌을 놓은 연금술
·현대에 되살아나는 니포늄
4. 이온과 원소
제1장 이온이란 무엇인가?
이온의 발견 이야기 / 원자의 구조 / 이온의 정체 / 이온의 법칙 / 이온의 결합 / ‘물에 녹는다’는 무슨 뜻인가? / ‘어는점 내림’과 이온 / 물과 전기와 이온 / 이온화 에너지 / 이온화 경향
제2장 우리 주변의 이온의 메커니즘
전지의 구조 / 녹의 구조 / 몸 속의 이온 / 산과 알칼리 / 불꽃 반응
제3장 이온의 최첨단
이온의 교환막 / 이온 액체 / 우주의 이온 / 이온 엔진
제4장 이온 Q&A
마이너스 이온 / 알칼리 이온 등 / 스포츠 음료
제5장 원소의 탄생 1
원소의 종류 / 우주의 탄생 / 빅뱅 / 빅뱅 원소 합성 / 별 내부에서의 원소 합성
제6장 원소의 탄생 2
초신성 폭발 / 지구의 탄생 / 인공 합성된 원소 / 철보다 무거운 원소
* 더 알고 싶다! 칼럼
금속 결합과 공유 결합 / 바닷물과 혈액의 성분은 비슷하다 / 왜 금속은 전기가 통하고, 설탕물은 전기가 통하지 않을까? / 원자가 이온이 되는 에너지를 측정하려면? / 음이온이 되기 쉬운 원자가 있을까? / 이온화 경향은 수소를 기준으로 측정한다 / 가장 오래 된 전지는 기원전 3세기 무렵에 있었다!? / 도금은 전지의 역반응을 이용한다 / 표백제는 달라붙은 때의 색깔을 없앨 뿐 / 녹이 산화라면 ‘녹 제거제’는 환원제? / 과연 산(酸)이란 무엇인가? 강산과 약산의 차이는? / 주변의 산성·알칼리성과 산성화에 의한 지구 환경 문제 / 불꽃 반응이란 어떤 현상인가? / 이온 교환막보다 단순한 이온 교환 수지 / 바닷물을 여과해 음료수로 바꾸는 ‘역삼투막’ / 아름다운 오로라는 태양풍에 의해 만들어진다 / 만약 양성자와 중성자의 핵력이 약했다면 / 만약 항성 속에서 탄소가 합성되지 않았다면 / 만약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이 같았다면 / 만약 양성자가 중성자보다 무거웠다면 / 멀리 떨어진 천체의 원소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5. 블랙홀 화이트홀
제1장 블랙홀이란 무엇인가?
·다이제스트 블랙홀.다이제스트 화이트홀.웜홀
제2장 블랙홀 입문
·중력이란 무엇인가?
·보이지 않는 천체
·상대성 이론의 탄생
·슈바르츠실트의 해(解)
·백색 왜성
·블랙홀이 생기는 메커니즘
·중성자별 펄서
·블랙홀의 관측
·블랙홀의 후보 발견
·쌍성계 블랙홀의 메커니즘
제3장 거대 블랙홀
·거대 블랙홀
·은하계의 중심
·거대 블랙홀의 메커니즘
·거대 블랙홀 갤러리
제4장 좀더 알고 싶은 블랙홀
·블랙홀의 종류
·블랙홀의 조석력
·에르고 영역
·고리 모양의 특이점
·시간의 느려짐
·미니 블랙홀
·블랙홀의 증발
·블랙홀의 미래
제5장 화이트홀과 웜홀
·화이트홀이란 무엇인가?
·화이트홀의 관측
·빅뱅은 화이트홀?
·웜홀이란 무엇인가?
·극히 미세한 웜홀
·막우주와 웜홀
제6장 블랙홀의 최첨단 연구와 이용
·퀘이사의 수수께끼
·감마선 버스트
·중력파
·인공 블랙홀
제7장 양자 중력 이론
·양자 중력 이론
·좀더 알고 싶다! 19개 칼럼
지구를 어느 정도 압축하면 블랙홀이 될까? / 질량이 전혀 없는 빛이 중력으로 휘어진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 질량의 차이에 따른 다양한 별의 일생 / 블랙홀 관측을 개척한 X선 천문 위성 / 거대 블랙홀의 상대성 이론 효과를 포착했다 / 가시광선으로도 포착된 블랙홀의 유력한 증거 / 우리은하 중심부의 최신 상세 관측 / 300년 전, 우리은하의 중심은 폭발적으로 활동했다 / 블랙홀 가까이에서 밤 하늘은 어떻게 보일까? / 강착 원반을 멀리서 보면 어떻게 보일까? / 미시(微視) 세계를 규명하는 양자론 / 미니 블랙홀은 암흑 물질의 후보? / 퀘이사가 화이트홀이라고 주장한 노비코프 / 퀘이사의 정체는 초대질량 블랙홀 / 감마선 버스트가 수백만 년에 한 번 지구를 습격한다? / 태양 질량 180억 배의 초거대 블랙홀 발견 / 블랙홀을 망원경으로 이용한다 / 블랙홀을 이용해 발전(發電)한다 / 블랙홀을 이용해 쓰레기 문제도 해결
6. 빛이란 무엇인가?
제1장여러 가지 빛의 현상
태양빛 ①~② / 굴절 ①~④ / 빛의 분산 ①~③ / 대기에 의한 굴절 ①~② / 반사 ①~④ / 간섭 ①~④ / 산란 ①~②
제2장색깔이란 무엇인가?
빛의 삼원색 ①~④ / 색의 삼원색 ①~②
제3장빛의 정체
빛은 전자기파 ①~⑨ / 전자기파의 발생 ①~⑧ / 투명과 불투명 / 편광 ①~② / 광자 / 빛의 압력
제4장빛의 21세기
레이저 ①~③ / 광섬유
제5장 놀라운 최첨단 연구
1000조분의 1초의 섬광 ①~③
특별 인터뷰 : 에릭 이펜(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교수)
자전거보다 '느린 빛' ①~②
특별 인터뷰 : 레네 하우(미국 하버드 대학 교수)
제6장 에필로그
'빛'이란 결국 무엇인가?
좀더 알고 싶다! Q&A
Q1. 조명을 끄면 즉시 어두워지는 이유는?
Q2. 빛이 굴절하는 이유를 납득할 수 없다
Q3. 빛의 정체는 어떻게 규명되어 왔는가?
Q4. 눈앞을 지나가는 광선이 보이지 않는다?
Q5. 흰 물체의 표면을 닦으면 거울이 되는가?
Q6. '빛은 전자기파'란 무슨 뜻인가?
Q7. 빛은 파동인데, 왜 진공 속에서도 전해지는가?
Q8. 광자란 무엇인가? 질량이 없는 광자에서 왜 압력이 생길까?
Q9. 블루레이 디스크나 HD DVD는 왜 대용량인가?
Q10. 빛의 빠르기는 불변이며, 자연계의 최고 속도가 아닌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