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91143007223
· 쪽수 : 131쪽
· 출판일 : 2025-07-14
책 소개
목차
낸시 프레이저와 비판이론
01 포스트사회주의 시대의 사회운동
02 분배냐 인정이냐
03 변혁적 개선책
04 정치적 대표 가능성
05 지위 모델
06 자본과 돌봄의 모순
07 의존의 재구성
08 보편적 돌봄 제공자 모델과 돌봄 전환
09 식인 자본주의와 전환의 정치
10 99퍼센트 페미니즘 선언
저자소개
책속에서
프레이저의 비판적 정의론과 돌봄 이론은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시작하지만 99퍼센트를 위한 실천으로 나아간다. 99퍼센트의 인간을 위한 정의는 페미니즘 교차성의 관점에서 경제, 문화, 정치, 생태 등 다층적 차원의 억압을 변혁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정책을 마련하고 실천할 때 가능하다. 페미니즘의 실천 속에서 여성들은 다른 억압에 시달리는 소수자들과 연대하며, 이로써 궁극적으로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을 실현한다. 실천 과정에서 여성들은 집단 정체성을 고수하기보다 집단 구분에 따른 위계를 해체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_“낸시 프레이저와 비판이론” 중에서
경제적 부정의와 문화적 무시 양자의 문제는 긴밀하게 얽혀 있다. 여성 노동은 여성에게 부여되는 문화적 위계 탓에 경제적으로도 저평가되며, 경제적으로 빈곤한 탓에 쉽게 성적 대상화의 제물이 되기도 한다. 양육과 가사노동 같은 여성 노동은 핑크 노동으로 간주되며 낮은 임금을 받는다. 돌봄과 재생산노동은 저임금 노동으로 평가 절하되며 생산노동보다 덜 중요한 것으로 간주된다. 프레이저는 이런 맥락에서 ‘여성’을 이가적 집단으로 설명한다.
_“02 분배냐 인정이냐” 중에서
정체성 모델에 따르면 인정 욕망은 타자가 나의 정체성을 그 자체로 존중하고 평가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러나 프레이저가 보기에 인정 욕망이 이런 의미라면 그것의 실현은 불가능하다. 정체성은 그 자체로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있다 해도 자아와 타자 모두에게 완벽하게 인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프레이저는 정체성 중심적이지 않은 인정의 의미를 주장한다. 즉 인정을 정체성을 만들거나 지키거나 평가하는 일로 보는 대신 “지위 종속에 대항하는 저항으로, 따라서 정의 주장으로” 이해하자고 제안한다. 요컨대 프레이저의 비판적 정의론에서 인정이란 지위 종속을 낳는 위계적 문화를 탈제도화하고 참여 동등을 장려하는 패턴으로 교체하는 일이다. 여기서 어떤 것이 여성에게 더 좋은 인정인지는 ‘누가 여성인가’, ‘여성이란 무엇인가’를 묻기보다 ‘어떤 것이 개별 여성들에게 더 평등한 상호작용의 지위를 부여하는가’를 물을 때 탐구될 수 있다.
_“05 지위 모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