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01044095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04-02-09
책 소개
목차
머리글_ 우리는 민족 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태어났을까?
1장 상상의 민족, 현실의 민족주의
토론_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상상의 공동체로서의 민족 / 민족주의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 근대국민국가의 출현과 민족 / 민족과 국가의 관계
강의_ 민족은 상상의 공동체이지만 민족주의는 살아 있는 힘이다
2장 우리말 없어지면 민족정신 없어지는가
토론_ 한국의 민족주의는 과잉인가
역사 해석에서 민족주의 과잉 문제 / '우리' 역사와 '한국사'의 차이 / 월드컵과 민족주의
강의_ 우리말 없어지면 민족정신 없어지는가
3장 민족주의는 사다리이다
토론_ 한국의 민족주의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느닷없이 발생한 민족 고유의 정서 / 야나기 무네요시의 한국의 미 / 한국학과 자기 인식의 문제 / 식민지와 근대화 : 한국 민족주의의 형성 과정
강의_ 민족주의는 사다리이다
4장 일본은 외국이다
토론_ 일본은 한국에게 무엇인가
일본은 한국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 한국에게 타자는 어느 나라인가 / 국가 통합의 도구로서 반일주의 / 역사 속의 한일 관계
강의_ 일본은 외국이다
5장 시민이 국가를 선택할 수 있다
토론_ 한국 민족주의의 장래를 전망한다
세계시민주의에 대하여 / 세계화와 민족주의 / 민족주의 이후
강의_ 세계체제 속의 시민국가
참고 문헌
도움 받은 책들
찾아보기
감사의 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제 생각에는 핏줄에 의해 민족이 그런 지위를 차지했다고 봅니다. 핏줄에 호소하는 것이 감정적으로도 호소력이 강해 국민에게 잘 흡수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한국 교과서에 보이는 '단일 민족' 개념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그것이 '한 핏줄(혈통)'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는 <중학> 하-194 '우리가 나아갈 길'(결론)에서 '우리 민족은 본래 한 핏줄로 이어져 내려온 단일 민족으로서, 하나의 국가를 이룩하고 하나의 문화를 발전시켜왔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서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한 핏줄이 한 민족의 근거가 된다는 것이지요. (p.67, '우리말 없어지면 민족정신 없어지는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