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창의 교육
· ISBN : 9788901058399
· 쪽수 : 190쪽
· 출판일 : 2006-06-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chapter 1 당신은 어떤 유형의 아빠인가>
1. 친구처럼 가까운 민주적 권위형 아빠
2. 이성만 생각하는 감정 억압형 아빠
3. 무조건 억누르는 독재 지배형 아빠
4. 바람 불면 날아갈까, 과잉보호형 아빠
5. 뭐든지 다 좋은 과잉허용형 아빠
6. 돈만 벌면 된다고 생각하는 무관심형 아빠
7. 아이를 방임하고 학대하는 아빠
<chapter 2 아이의 정서 상태에 따른 아빠의 대화 노하우>
1 긍정적 정서 상태를 보일 때
1. 아이가 웃고 있다
2. 아이가 희망과 기대에 부풀어 있다
3. 아이가 자신감을 표현하고 있다
2 부정적 정서 상태를 보일 때
1. 아이가 울고 있다
2. 아이가 화를 내고 있다
3. 아이가 다른 사람을 무시하거나 경멸한다
4. 아이가 수줍어한다
5. 아이가 컴퓨터 때문에 불만이 가득하다
6. 아이가 반항적이다
7. 아이가 자주 짜증을 내고 화를 낸다
8. 아이가 부모 말이나 지시를 듣지 않는다
9. 아이가 자신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소리를 지른다
10. 아이가 지금 화가 나 있다
11.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다른 사람을 혐오하는 말을 한다
12. 형제자매가 서로 다투고 있다
13. 아이의 주의가 산만하다
14. 아이의 친한 친구가 전학을 가게 되어 슬픔에 잠겨 있다
15. 아이가 무서워하고 있다
16. 아이가 걱정하고 있다
17. 아이가 짜증을 내고 물건을 던진다
18. 아이가 자신감 없는 태도를 보인다
19. 아이가 친구들에게 맞고 들어온다
20. 아이가 욕설이나 은어를 사용한다
21. 아이가 키우던 애완동물이 죽었다
<chapter 3 아빠의 대화 기술>
1 아이를 칭찬할 때 - 칭찬 효과가 두 배로 늘어나는 대화 기술
1. 아이가 점수를 잘 받았다
2. 아이가 착한 일을 했다
2 아이를 야단칠 때 - 아이에게 상처 주지 않고 야단치는 대화 기술
1. 아이가 실수를 했다
2. 아이가 친구를 괴롭힌다
3. 아이가 밥을 먹을 때 음식을 흘린다
4. 아이가 소변을 보다가 변기에 묻혔다
3 아이가 아빠의 관심과 참여를 원할 때 - 아이에게 사랑을 표현하는 대화 기술
1. 아이가 아빠를 찾는다
2. 아이가 아빠가 대답하기 곤란한 질문을 한다
4 아이가 아빠를 회피할 때 - 아이 마음속으로 들어가는 대화 기술
1. 아이가 아빠와 눈을 마주치려고 하지 않는다
2. 아빠 말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3. 아이가 늘 부정적인 말을 먼저 한다
5 아이가 아빠를 비난할 때 - 아이를 포용하는 대화 기술
1. 아이가 아빠를 비난하는 말을 한다
2. 아빠가 아이에게 잘못을 지적하면 자기가 왜 그랬는지 아빠보다 더 큰 소리로 따지듯이 말한다
3. 아이가 아빠에게 '우리집은 왜 이렇게 가난해?' 라고 묻는다
6 아이가 아빠에게 의존적일 때 -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 주는 대화 기술
1. 아이가 아빠에게 의지하며 자신감 없는 태도를 보인다
2. 아이가 자신의 장래를 아빠에게 묻는다
3. 아이가 혼자서 친구 집에 놀러 가지 못하고 꼭 아빠에게 데려다 달라고 한다
4. 아이가 하려고 했던 일이 잘 안 되었다
7 아이가 아빠와 타협하려고 했을 때 - 생각의 차이를 좁히는 대화 기술
1. 아이는 아빠에게 숙제와 컴퓨터 게임 시간을 타협하려고 한다
8 아이가 아빠에게 요구할 때
1. 아이는 아빠에게 게임 CD를 사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chapter 4 아빠가 꼭 알아야 할 대화 십계명>
1. 좋은 말은 밖으로 표현하고 나쁜 말은 속으로 삼켜라
2. 대화란 잘 듣는 것이다
3. 설교하지 말라
4.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말라
5. 칭찬은 두 번, 야단은 한 번 해라
6. 아이에게 반응을 보여라
7. 과격하고 극단적인 표현은 삼가라
8. 말을 빙빙 돌리지 말고 분명하게 메시지를 전달하라
9. 아이의 말을 끊지 말고, 말꼬리를 잡지 말라
10. "왜?"라는 말을 자주 쓰는 아빠는 되지 말자
에필로그
부록
< >
< >
< >
< >
리뷰
책속에서
"그깟 강아지 죽은 것 갖고 그렇게 슬퍼하면 어떡하니? 울지 마!"
"아빠가 또 한 마리 새로 사 줄게."
이렇게 키우던 동물이 죽었는데도 아빠가 아무렇지도 않게 넘기거나 마치 물건을 잃어버린 것처럼 반응하는 것은 아이의 감정을 전혀 배려하지 않는 처사다. 또한 아빠는 아이에게 생명 경시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고통을 배려하지 못하는 반사회적인 인격으로까지 자라도 좋다는 메시지를 자신도 모르게 전달하고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본문 8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