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예배/기도/묵상(QT)
· ISBN : 9788904210039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5-08-28
책 소개
목차
추천의 말
서문: 케빈 드영
들어가는 말: 환영합니다
1. 예배의 약속
2. 예배의 목적
3. 예배의 원리
4. 예배의 능력과 기둥
5. 예배의 형식
개혁교회의 예배에 관한 질문과 답변
추천 자료
주
책속에서
예배는 우리의 행위가 아닌 하나님의 행위로 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예배 시간에 무엇을 해야 마땅한지 생각해 보기 전에 먼저 하나님이 어떻게 예배를 가능하게 하시는지 보아야 한다. 테니스 경기를 떠올려 보자. 상대 선수가 먼저 공을 쳐서 서브를 넣기 전에는 그 공을 맞받아 칠 수 없는 일이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예배는 대화를 나누는 일과 같다. 우리는 그 대화를 시작하는 편이 아닌 응답하는 편에 서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먼저 우리에게 자신을 알려 주시고 또 우리에게서 무엇을 요구하시는지 알지 못하면, 우리는 어떻게 응답해야 그분을 기쁘시게 하는지 알 수 없다.
1. 예배의 약속
사람이 그분께 드릴 수 있는 것 중 이미 그분의 것이 아닌 것이 어디 있겠는가? 사람이 무엇을 드리면 전지전능하시고 영원토록 만족을 누리시는 하나님께 이익이 되겠는가?
하나님의 자족성은 우리가 예배를 이해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대단히 크다. 우리가 주일에 모이면 이익을 얻는 쪽은 누구인가? 하나님이 아니라 우리다. 우리가 모이는 이유는 그분께 우리가 필요하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에게 그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우리는 드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얻기 위해 모이는 것이다. 그러지 않고서 어떻게 연약하고 부족한 죄인이 모든 생명의 주인이신 하나님께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겠는가?
2. 예배의 목적
우리는 하나님을 만나기를 원한다. 우리는 그분이 구원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오신다는 것도 알고 있다. 하지만 주일 아침에 잠에서 깨면, 그리스도는 하늘에 계시고 나는 이 땅에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그분을 찾을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아름다우면서도 단순한 대답은 그분이 이미 어디에서 자신의 백성을 만나 그들에게 복 주고자 하는지 말씀해 주셨다는 것이다. 바로 하나님이 정하신 방편을 통해서인데, 특히 성경과 성례(세례와 성찬)를 통해서다. 이런 요소를 우리 예배의 중심에 둔다면, 우리가 예배 중에 어떤 감정을 느끼든 그와 상관없이 주님을 만날 수 있음을 겸손히 확신할 수 있다.
3. 예배의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