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1098014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0-03-31
목차
제8장 코람코 경영자 시절(2001년 10월~2019년 3월)
제1절 코람코의 창업 3
창업 동기 3
외환위기 직후 민간기업의 구조조정 상황과 창업 동기 3
법적 근거 마련 5
코람코의 탄생 6
자본금 모집 6
코람코의 출범 8
경영주체의 확립 9
제2절 코람코 경영이념의 정립과 구현 9
코람코 경영과 세상을 살아가는 도리 9
코람코 경영에 관한 나의 기본적인 생각의 틀 11
시대정신을 토대로 한 문제의식의 설정 11
단기.중기.장기계획을 항상 같이 생각 12
치밀한 사업계획의 수립과 과감한 실천(小心大膽) 13
고마움을 아는 경영 14
창업자로서의 나의 자세 14
코람코 경영이념의 체계화 15
이념정립의 필요성 인식 15
경영이념의 체계화 내용 16
코람코 미션 17 / 코람코 비전 17 / 코람코 핵심가치 19 /
코람코인의 자세 22
제3절 코람코 성장의 발자취(2001년~2017년) 24
사업영역의 확장 24
리츠사업으로 출발 24
부동산신탁업 진출 24
자산운용업 진출 25
사업부문별 성장 26
리츠사업 26
신탁사업 26
부동산펀드사업 27
사업부문의 영업 다각화 28
리츠사업 28
신탁사업 31
부동산펀드사업 32
인원과 조직의 확대 33
재무상태의 변화 35
제4절 코람코 경영의 실제(實際) 37
주주와 경영 37
소유와 경영의 분리 37
주인-대리인 문제(principal-agent problem) 해소 38
이사 선임의 객관화와 이사회 운영의 효율화 38
감사위원회 운영의 효율화 39
경영 후계자 선정 40
경영 후계자 선정의 중요성 40 / 코람코 경영책임자의 필요 요건 40 /
경영후계자 선정을 위한 노력 41 / 경영후계자 선정과 나의 진로 42 /
코람코 매각 43
전문직 임직원과 경영 44
코람코 경영에서 전문직 임직원의 역할 44
사업 계획자(project organizer)와 사업추진 핵심(driving force) 44 /
사업 실천 방식의 혁신 46 / 우리가 해야 할 기본과제와 코람코 웨이 46
전문직 임직원의 현업 수행방식 정립 46
일일결산 실시와 일과표 작성 47 / 정례적(routine) 업무는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식으로 제때에 실시 48
교양 있는 직장인 48
교양 함양을 위한 임직원 스스로의 노력 48 / 교양 함양을 위한 회사의 노력 48
사회적 책임의 실천 49
코람코 경영의 실제와 나의 멘토링 51
지시라 하지 않고 멘토링(mentoring)이라고 하는 이유 51
경영부문의 실제와 나의 멘토링 52
경영기획본부 53 / 경영관리본부 59
리츠부문의 실제와 나의 멘토링 67
리츠업무와 운영메커니즘 67 / 리츠의 한국적 발전양상과 운영시스템의 개선 69 / 리츠부문에 대한 나의 주요 멘토링 72
신탁부문의 실제와 나의 멘토링 73
신탁의 의미 73 / 코람코의 부동산신탁 74 / 신탁관계 기본법률 74 /
신탁부문의 주요 경영시스템 개선 75 / 신탁부문에 대한 나의 주요 멘토링 77
자산운용사의 부동산펀드 운용의 실제와 나의 멘토링 78
부동산펀드의 겸업 추진 78 / 국토교통부의 리츠와 부동산펀드의 겸업 허용방침과 대응 79 / 자산운용사의 부동산펀드 발전방향 설정 79 / 자산운용사의 부동산펀드에 대한 나의 주요 멘토링 80
사업부문 간 협업의 실제와 나의 멘토링 81
협업의 필요성과 코람코 내의 협업 81 / 협업에 대한 나의 주요 멘토링 82
제5절 코람코 경영혁신의 발자취 83
제6절 코람코 경영 이외의 활동 84
국가와 사회를 위한 봉사 84
국가에 대한 봉사 84
카이스트 겸임교수로서의 활동 84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 회장 역임 85
하나금융공익재단 이사장 역임 85
대외강연 활동 86
<별첨 자료> 89
별첨 8-1기업윤리와 성학십도(聖學十圖) 91
별첨 8-22009년 송년사 94
별첨 8-32017년 송년사 99
별첨 8-4코람코 혁신방안 106
별첨 8-5코람코의 재도약은 누가 어떻게 주도해야 하는가? 126
별첨 8-6한국의 개혁 ? 그 과제와 추진방향 151
별첨 8-7한국경제의 도전과제와 그 활로 163
별첨 8-82016년 한국경제 186
별첨 8-9니어재단 주최 신년 세미나 주제강연 209
별첨 8-10한국의 금융개방 경험과 교훈 215
별첨 8-11왜 시장인가? 234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이 자료는 내가 걸어온 삶을 정리하면서 그동안 쓴 글과 나와 관련된 기록들을 모아서 발간한 것이다. 소이(素怡)는 나의 호(號)로서 그저 빙그레 웃는다는 뜻이다.
최근에 대략 정리가 끝난 이 논집은 단순히 과거의 내 글만을 편집한 자료집이 아니다. 이번 논집은 내가 지금까지 걸어온 길을 공무원 시절, 장관 시절, 교수 시절, 경영자 시절의 네 시기로 나누어 각각의 책으로 발간하는 것이다. 이처럼 시기별로 나뉜 내 글을 읽는 분들이 그 내용을 보다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내가 태어나서 성장하고 사회생활을 하는 동안 내가 인식하고 있는 시대적 배경과 내가 해온 일들을 정리된 글 앞에다가 약술해 놓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이 논집이 나의 회고록 또는 자서전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만 이와 같은 추가적인 서술은 어디까지나 내가 쓴 글들의 배경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런 연유에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나의 개인적인 일이나 같이 일했던 사람들의 이름을 거명하는 것은 자제했다.
한편 코람코 경영시절의 이야기는 보다 자세한 기록을 토대로 별도의 책으로 발간하여 나의 기업경영에 대한 기본방향을 소상하게 알리려고 했었으나 여기에 합하여 발간하게 되었다.
공무원으로 시작해 대학교수를 거쳐 민간기업의 최고경영자에 이르기까지 나는 많은 글을 썼다. 내가 현재 가지고 있는 각종 정책보고서, 연구보고서, 강연록, 강의록, 연설문, 기고문, 치사(致辭) 등 여러 방면에 걸친 다양한 글들이 총 400여 편에 달한다. 이런 글 가운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58편만을 가려서 각 권에 별첨으로 수록했다.
한편 재정경제부장관 시절에 썼던 글들은 연설문의 경우 1999년 재정경제부 발간으로 국문과 영문 연설문집이 두 권의 별책으로 나왔기 때문에 중복을 피하고자 이번 논집에서는 가급적 별첨 게재에서 제외했다.
이 논집을 정리하는 데는 일차적으로 이춘성 중앙일보 전 경제부기자와 강봉희 코람코 전 자문위원이 실무적으로 많은 도움을 주었다. 다만 코람코 경영자 시절에 관한 자료 정리에서는 코람코의 강승일 및 홍은기 두 분 본부장과 김지영 차장, 그리고 ㈜사사硏 장형규 대표의 도움도 컸다. 그러나 이 논집과 관련된 모든 책임은 저자에게 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출판을 흔쾌히 수락해 주신 박영사 안종만 회장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리는 바이다.
2020년 1월
이 규 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