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인문과학대학 > 중어중문학과
· ISBN : 9788920036804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0-07-25
목차
제1부 중국의 언어와 중국어의 구조
제1장 중국어란 무엇인가
1.1. ‘중국어’의 가격은 얼마인가
1.2. 중국어는 상상의 언어인가
1.3. 중국어는 다 같은 중국어 아닌가
제2장 중국의 언어 분포
2.1. 한자를 알면 중국어는 저절로 되나
2.2. 중국에는 몇 개의 언어가 있나
2.3. 중국에 한위 방언은 몇 개나 있나
2.4. 베이징 사람은 홍콩 사람 말을 얼마나 알아듣나
제3장 단어의 형성과 구조
3.1. 형태소와 단어는 어떻게 다른가
3.2. 중국어 단어는 어떻게 구성되나
3.3. 중국어에도 ‘엄친아’ 같은 말이 있나
제4장 어휘의 종류와 변화
4.1. 무엇이 중국어 어휘인가
4.2. 용두사미(龍頭蛇尾)는 중국어로 뭐라고 하나
4.3. ‘짝퉁’은 중국어로 뭐라고 하나
제5장 중국어의 언어 체계
5.1. 중국어에도 문법이 있나요
5.2. 중국어는 무엇부터 말하나
5.3. 선생님께 ‘너(?)’라고 해도 되나
제2부 중국 언어의 사용
제6장 중국어의 언어 교류
6.1. 고대중국어에도 차용어가 많이 있나
6.2. 중국어도 일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나
6.3. 중국 병원에서도 CT를 CT라고 하나
제7장 다양한 중국어 말소리
7.1. 중국어, 어떻게 발음하나
7.2. 옛날 중국어의 발음을 알 수 있나
7.3. ‘머리’ 말씀이십니까, ‘손’ 말씀이십니까
제8장 언어로 본 중국 사회
8.1. 중국인 사이의 소통은 동상이몽인가
8.2. 언어에도 지위 차이가 있나
제9장 한중 관계 속의 중국어
9.1. ‘주은래’와 ‘저우언라이’는 같은 사람인가 다른 사람인가
9.2. ‘김씨’의 이유 있는 항변
9.3. 중국어는 어디에 깃들어 있는가
제10장 중국의 언어개혁
10.1. 중국인들은 왜 한자를 없애려고 했나
10.2. 중국의 간화자는 누가 만들었나
10.3. 중국과 타이완의 교과서는 왜 발음기호가 다른가
제3부 한자와 중국문화
제11장 한자의 이해
11.1. 한자의 모양으로 뜻을 알 수 있나
11.2. 베이징 올림픽 참가국 입장 순서는 어떻게 정해졌나
11.3. 한자는 점과 선만의 결합인가
11.4. 한자는 여섯 종류인가
제12장 한자의 역사
12.1. 한자는 상형문자에서 시작되었나
12.2. 갑골문은 어떻게 오늘날의 한자로 변해 왔나
12.3. 예서는 ‘노예의 글자’인가
제13장 중국어 학습과 한자
13.1. 한 · 중 · 일 한자는 얼마나 다를까
13.2. 한자를 많이 알면 중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나
13.3. 놀면서 한자를 익힐 수 있나
제14장 한자 예술
14.1. 서예는 읽는 것인가 보는 것인가
14.2. 중국인들은 모두 서예를 하나
14.3. 한자는 쓰는 것보다 새기는 것이 먼저 발달했나
14.4. 한자는 구상인가 추상인가
제15장 현대 기술문명과 중국어
15.1. 중국어는 디지털 시대에 맞지 않는 언어인가
15.2. 컴퓨터로 중국어 작문 숙제를 어떻게 하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