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어 방언학의 기초

중국어 방언학의 기초

리샤오판, 샹멍빙 (지은이), 강은지, 노혜정, 변지원, 신수영, 신원철, 이경민, 이옥주, 이재혁, 장정임 (옮긴이)
학고방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0,000원 -0% 0원
2,500원
47,500원 >
45,000원 -10% 0원
0원
4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어 방언학의 기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어 방언학의 기초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91169955799
· 쪽수 : 700쪽
· 출판일 : 2025-01-31

책 소개

베이징대학교 중문과에서 수십 년간 축적해 온 방언학 교육과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집필된 책이다. 다양한 중국어 방언의 음운, 어휘, 문법 자료의 조사 및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 주요 방언군의 지리적 분포, 어음 특징과 특징적 어휘, 하위방언 분류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중국어 방언학의 기초』는 베이징대학교 중문과에서 수십 년간 축적해 온 방언학 교육과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집필된 『汉语方言学基础教程』(李小凡·项梦冰)의 역서이다. 이 책은 다양한 중국어 방언의 음운, 어휘, 문법 자료의 조사 및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 주요 방언군의 지리적 분포, 어음 특징과 특징적 어휘, 하위방언 분류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특히 개별 방언 음성에 대한 국제음성기호 전사와 방언 간 음운 대응 분석, 방언 구획 이론과 자료 분석, 80개 방언지점에 대한 군집분석을 제공하여, 방언학 이론과 방언 조사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뛰어난 학술서이자 입문서로 평가된다. 제1장은 중국어 방언의 개념, 공시적 분포, 차이 형성 요인 및 방언학 연구의 발전사를 다루며, 제2장은 음운, 어휘, 문법 영역에서 방언 연구방법론을 상세히 소개한다. 제3장은 중국어 방언사의 흐름과 방언 구획 이론을 논의하고, 관화·샹·간·우·웨·커자·민 등 주요 방언의 구조적 특성과 언어 자료를 제시한다. 또한 방대한 방언 데이터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를 도출하여 중국어 방언의 내적 구조와 계열성을 증명한다. 『중국어 방언학의 기초』는 학부 및 대학원 수준의 언어학 전공자뿐만 아니라, 중국어 방언 및 방언, 언어지리학에 관심을 갖는 연구자에게 이론적 깊이와 실용적 활용도를 갖춘 길잡이가 될 것이다.

목차

《汉语方言学基础教程》 韩文译本序

『중국어 방언학의 기초』 한국어판 서문

초판 서문

제1장 서론

1.1 방언의 기본 개념
1.1.1 언어와 방언
1.1.2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1.1.3 방언과 공통어

1.2 중국어 방언과 공시적 분포
1.2.1 현대 중국어 방언의 지리적 분포
1.2.2 방언섬과 해외 중국어 방언
1.2.3 귀속이 확정되지 않은 중국어 방언

1.3 방언 차이의 형성 요인
1.3.1 언어 차이를 형성하는 근본적인 원인
1.3.2 언어 체계의 내적 변화와 외부 접촉
1.3.3 언어 변화의 사회적 조건

1.4 중국어 방언 연구와 중국어 방언학
1.4.1 고대 중국어 방언 연구
1.4.2 근대 서양 선교사와 한학자의 중국어 방언 연구
1.4.3 현대 중국어 방언학의 성립과 발전
1.4.4 신시대의 중국어 방언학
1.4.5 중국어 방언학의 의의와 방법

제2장 중국어 방언의 조사

2.1 방언 어음 조사
2.1.1 음소와 음높이
2.1.2 음절과 음절 구조
2.1.3 음계의 귀납과 자음의 기록
2.1.4 중국어 방언의 자음 차이와 어음 대응 규칙
2.1.5 어류 음변

2.2 방언 어휘 조사
2.2.1 방언 어휘와 방언 단어
2.2.2 중국어 방언의 어휘 차이와 특징
2.2.3 방언 어휘 조사의 요점
2.2.4 방언 단어를 표기하는 한자의 본자 고증

2.3 방언 문법 조사
2.3.1 중국어 방언의 문법적 특징
2.3.2 방언 문법적 특징의 발굴
2.3.3 방언 문법 특징의 조사와 기록

2.4 방언 조사의 실시
2.4.1 방언 조사의 목적과 임무
2.4.2 방언 조사의 유형
2.4.3 방언 조사의 방식
2.4.4 방언 조사의 작업 요점

제3장 중국어 방언 개황

3.1 중국어 방언의 역사 조감
3.1.1 역사 이전 중국어의 다원적 융합
3.1.2 상고 중국어의 공통어와 방언
3.1.3 중고 중국어 방언 구조의 형성
3.1.4 근대 중국어 방언의 발전 변화

3.2 중국어 방언 구분의 역사
3.2.1 서양인의 중국어 방언 지역 구분
3.2.2 중국 학자들의 중국어 방언 구획
3.2.3 소결

3.3 중국어 방언 구획
3.3.1 방언 구획
3.3.2 중심구, 과도구, 방언구의 경계
3.3.3 등어선의 중요성 배열
3.3.4 구획 기준과 작업 특징

3.4 관화방언
3.4.1 분포 지역
3.4.2 어음 특징
3.4.3 특징적 단어
3.4.4 하위방언의 구획
3.4.5 베이징말의 텍스트 언어 자료(푸퉁화)

3.5 샹방언
3.5.1 분포 지역
3.5.2 어음 특징
3.5.3 어휘적 표현
3.5.4 하위방언의 구획
3.5.5 창사말의 텍스트 언어 자료

3.6 간방언
3.6.1 분포 지역
3.6.2 어음 특징
3.6.3 어휘적 표현
3.6.4 하위방언의 구획
3.6.5 난창말의 텍스트 언어 자료

3.7 우방언
3.7.1 분포 지역
3.7.2 어음 특징
3.7.3 특징적 단어
3.7.4 하위방언의 구획
3.7.5 쑤저우말의 텍스트 언어 자료

3.8 웨방언
3.8.1 분포 지역
3.8.2 어음 특징
3.8.3 특징적 단어
3.8.4 하위방언의 구획
3.8.5 광저우말의 텍스트 언어 자료

3.9 커자방언
3.9.1 분포 지역
3.9.2 어음 특징
3.9.3 특징적 단어
3.9.4 커자말과 간어의 구분
3.9.5 하위방언의 구획
3.9.6 메이저우말의 텍스트 언어 자료

3.10 민방언
3.10.1 분포 지역
3.10.2 어음 특징
3.10.3 특징적 단어
3.10.4 하위방언의 구분
3.10.5 샤먼말의 텍스트 언어 자료

3.11 80개 방언지점의 군집분석
3.11.1 방언지점
3.11.2 언어 항목과 특징 전사 설명
3.11.3 군집분석 결과와 분석

부록 1 초판의 교수 요목
부록 2 확인 학습 문제
수정 후기
역자 후기
지명대조표
색인

저자소개

샹멍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이징대학 중문과 교수(北京大學 中國語言文學系 教授)
펼치기
리샤오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이징대학 중문과 교수(北京大學 中國語言文學系 教授)
펼치기
변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국립사회과학고등교육원(E.H.E.S.S.)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 『두 개의 혀』, 『중국언어산책』 외 다수가 있다. 텔레비전과는 담을 쌓고 평생 논문이나 학술서, 교재만 쓸 줄 알았는데, 남다른 오빠를 둔 덕택에 이 책을 쓰기에 이르렀다. 지금까지의 저서 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책이다.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교육, 저개발 국가 교육 지원을 위한 유네스코 사업에서 책임자를 지냈던 경험이 있어, 우리 텔레비전의 미래 가능성에 주목한다.
펼치기
신수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어 형태론, 의미론 전공 가천대학교 동양어문학과 부교수 復旦⼤學 中國語⾔文學系 박사 대표 저역서로 『디지털로 되살린 근대 중국어의 세계』, 『언어유형론』, 대표 논문으로 「『譯語類解』 수록된 어업 관련 어휘의 특징에 대한 소고」, 「형태소 빈도를 기반으로 한 초급중국어 교재 어휘 선정의 특성 분석 및 교육적 제안」 등이 있다.
펼치기
신원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번역 및 주해자 신원철은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와 동 대학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고대언어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HK교수이다. 저서로는 『《경전석사》에 나타난 인성구의 연구』, 『문헌과 주석』 등이 있고, 역서로는 『고대중국어: 한문학습의 길잡이』, 『좌전명문장100구』, 『고대중국어어법론』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혜림 《일체경음의》의 한국 전파와 중국의 재유입”, “사가르(Sagart)의 《상고 중국어의 어근(The Roots of Old Chinese)》 중 어휘의 어원(1)~(6)”(공저), “중국어 성경에 반영된 차용어 표기법 연구: ‘以’자를 중심으로”(공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옥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오하이오주립대학(The Ohio State University) 중국어언어학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역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펼치기
강은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언어정보과학과 교수
펼치기
노혜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부 교수
펼치기
이경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펼치기
이재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생
펼치기
장정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