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문화시민교육

다문화시민교육

(세계시민을 위한 교육적 탐색)

이해주, 이로미 (지은이)
에피스테메(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문화시민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문화시민교육 (세계시민을 위한 교육적 탐색)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20049033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4-01-05

책 소개

다문화시민교육은 다양한 이주민이 함께 생활하는 다문화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그 사회의 바람직한 발전에 기여하는 시민의 자질을 키우는 교육이다. 여기에는 공동체 내에서 이주민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민으로서 책임을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지구를 만들기 위해 실천하는 노력까지 포함된다.

목차

1장 다문화사회의 등장과 다문화시민교육_11
1. 서론_12
2. 다문화사회의 특징과 현상_15
3. 다문화사회의 의미와 핵심 가치_18
4. 다문화시민교육의 개념과 필요성_25
5. 맺는말_35

2장 시민성과 시민교육_41
1. 서론_42
2. 시민성과 시민교육_46
3. 현 시민교육의 문제점과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_53
4. 평생교육 차원에서의 시민교육 재구조화 전략_55
5. 맺는말_61

3장 세계시민교육과 인권교육_67
1. 서론_68
2. 인권교육의 의미와 내용_72
3. 시민교육의 패러다임과 세계시민성_78
4. 세계시민교육의 내용과 방법_81
5. 맺는말_88

4장 한국의 다문화 현상과 특징_93
1. 서론: 누가 한국인인가?_94
2. ‘다문화사회’로의 변화_95
3. 다문화 시민사회의 과제_115
4. 맺는말: ‘함께 사는 사회’를 향한 시민의 과제_120

5장 다문화사회의 주요 특징과 시민교육: 미국과 캐나다_127
1. 서론: 전통 이민국가 미국과 캐나다의 ‘함께 살기’_128
2. 다문화사회로서의 미국사회_129
3. 다문화사회로서의 캐나다사회_141
4. 맺는말: 모두가 동등한 권리를 누리는 사회를 향한 과제 154

6장 다문화사회의 주요 특징과 시민교육: 영국과 프랑스_159
1. 서론: 선발 이민국가 영국과 프랑스의 ‘함께 살기’_160
2. 다문화사회로서의 영국사회_161
3. 다문화사회로서의 프랑스사회_174
4. 맺는말: ‘다름’으로 인한 갈등 극복의 과제_187

7장 다문화사회의 주요 특징과 시민교육: 일본과 대만_193
1. 서론: 후발 이민국가 일본과 대만의 ‘함께 살기’_194
2. 다문화사회로서의 일본사회_195
3. 다문화사회로서의 대만사회_206
4. 맺는말: ‘서로 이웃 되기’의 선주민과 이주민의 과제_219

8장 가정에서의 다문화시민교육_225
1. 서론: 가정 다문화시민교육의 의미와 중요성_226
2. 가정에서 시작하는 다문화시민교육_228
3. 자녀를 위한 부모의 실천_235
4. 이주배경 가정의 특별한 노력_242
5. 맺는말: 가정에서 시작되는 다문화시민교육의 과제_247

9장 학교에서의 다문화시민교육_253
1. 서론: 학교 다문화시민교육의 중요성_254
2. 학교 다문화시민교육의 필요성과 목표_258
4. 교사의 중요성과 전문성_270
5. 맺는말: 학교 다문화시민교육을 위한 과제_274

10장 지역사회에서의 다문화시민교육_279
1. 서론: 지역사회 중심 다문화시민교육의 의미와 중요성_280
2. 지역사회 다문화교육의 실태와 문제점_283
3. 지역사회 중심 다문화교육의 실천방안 모색_288
4. 지역사회 중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예시_292
5. 맺는말: 다문화교육의 지역화를 통한 지역공동체 형성_301

11장 인종과 차별_307
1. 서론: 우리 안의 인종주의_308
2. 미국과 캐나다의 인종주의_310
3. 우리 사회의 인종주의_316
4. 인종주의에 대항하는 다문화시민교육의 해법_320
5. 맺음말: 공존을 위한 숙의(熟議)_327

12장 여성과 차별_331
1. 서론: 여성이라는 렌즈를 통해 본 차별_332
2. 여성과 교육_335
3. 여성주의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_340
4.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시민성 논의_344
5. 맺는말: 성평등적 관점의 교육방안 모색_350

13장 장애와 차별_355
1. 서론: 장애, 우리 모두의 문제_356
2. 장애의 이해_358
3. 장애인의 인권과 시민권_365
4. 장애 이해를 둘러싼 시민교육_373
5. 맺음말: 역지사지를 통한 시민 되기_380

14장 글로벌 사회를 위한 다문화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_385
1. 서론: 이제 우리는?_386
2. 다문화사회의 현실과 문제_389
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ESD)과 인권_395
4. 다문화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_402
5. 맺는말: 다문화시민교육을 위한 평생교육적 노력_407

저자소개

이해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교육과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교육원 원장, 교육과학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주로 시민교육 분야를 연구해 왔고 다문화교육, 여성교육, 노인교육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다문화교육론》(공저), 《평생교육방법론》(공저), 《교육사회학》(공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로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경인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학과 전임대우강의교수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사회 및 산업교육으로 교육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에서 성인교육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인교육 및 학습, 다문화 및 이주민 교육, 노인 교육, 시민 교육 분야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 『교육학개론』(2판, 공저, 공동체, 2024), 『유아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 정민사, 2021), 『노인교육론』(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4), 『다문화시민교육』(공역, 에피스테메,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다문화시민교육은 기본적으로 다문화사회에서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이 사회의 바람직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이다. 다문화시민교육의 목적은 한 공동체 내에서 다양한 문화를 인정, 존중하는 다문화주의의 수용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행동양식을 갖고 행동하는 시민을 길러 내는 것이다. 인종적, 민족적, 문화적, 종교적 편견과 그에 기인하는 갈등을 예방하고 공존을 위한 ‘더불어 사는 생활양식(모두스 비벤디, Modus vivendi)과 참여’를 중시한다(최성환, 2015). 이를 위해서는 몇 가지 원칙이 요구된다.
- 1장 다문화사회의 등장과 다문화시민교육


이 장에서는 한국사회의 이주민 집단을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주민,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난민, 북한이탈주민, 재외동포, 이주민의 가족, 유학생 등 여덟 집단으로 정리했는데, 이들은 우리 사회의 ‘새로운 소수자’이다. 그런데 ‘오래된 소수자’도 있다. 예를 들면 장애인도 우리 사회의 오랜 소수자이며 이주로 인해 유입된 ‘새로운 소수자’와 교차·중첩하며 더 많고 다양한 소수자 집단을 만들어 낸다. ‘새로운 소수자’도 시간이 가면서 주류사회와 교류로 인해 차후 더 큰 다양성이 생기게 된다. 이는 이주민의 유입이 더 오래전에 시작되었고 더 큰 규모로 일어나고 있는 영국 등 유럽 국가에서는 이미 일상이 되어버린 개념, 즉 ‘초다양성(super-diversity)’이다(NIACE, 2009).
- 4장 한국의 다문화 현상과 특징


부모는 다문화시민교육의 유효한 행위자로서 어려서부터 자녀가 문화다양성 역량을 키워 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자신 또한 다문화사회의 성인 시민으로서 역량을 가지고 살아가기 위해서는, 먼저 부모부터 자신이 문화적으로 상대적인 존재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서로 다른 사람들을 만나고 이해하며 이웃으로 함께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할 것이다. 부모부터 이렇게 변화한다면 자녀 역시 단순히 ‘아는 다문화’를 넘어서 ‘행동하는 다문화’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성인의 다문화수용성 지표의 하락은 우려되는 부분이므로 가정에서부터 다문화시민교육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학자들의 실천적인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양육에 적용하여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 8장 가정에서의 다문화시민교육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