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두 갈래의 길

두 갈래의 길

(내일을 열어야 하는 중국, 어제를 넘어야 하는 인도)

박번순 (지은이)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1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820원 -10% 0원
990원
16,830원 >
17,82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782원
16,038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510원 -10% 620원 10,630원 >

책 이미지

두 갈래의 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두 갈래의 길 (내일을 열어야 하는 중국, 어제를 넘어야 하는 인도)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20050084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4-03-30

책 소개

2023년, 인도는 중국을 뛰어넘어 세계 최대의 인구대국으로 등극했다. 인도경제는 정말 민주주의 진영의 기대대로 오랜 잠재력을 발휘해 중국경제를 뛰어넘는 성장세를 보여줄 수 있을까, 중국은 과연 지금을 정점(peak)으로 중진국 함정에 빠져들게 될까.

목차

제1부 중국과 인도,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
제1장 다시 돌아온 대중의 시대 _ 15
1. 중국의 개혁개방과 미국마저 위협하는 경제의 부상·16 / 2. 친디아의 세계, 세계의 친디아·23 / 3. 시아오캉과 암릿 카알·31
제2장 두 나라 이야기: 친디아 경제의 역사와 배경 _ 35
1. 중국인과 인도인, 그들의 경제·36 / 2. 중국과 인도, 모든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르다·44 / 3. 넓은 토지와 풍부한 자원·56

제2부 친디아 경제의 발전과 특징
제3장 서로 다른 경제환경, 판이한 경제성과 _ 69
1. 판이하게 벌어진 경제성과·70 / 2. 두 나라 경제구조는 어떻게 다른가·85 / 3. 빚으로 쌓은 경제의 안정성은·103
제4장 여전한 격차가 있는 산업과 양국의 주요 기업들 _ 107
1. 산업의 고도화, 여전한 시간적 격차·108 / 2. 두 나라의 주요 산업·117 / 3. 두 나라의 기업구조와 주요 대기업·134
제5장 중국과 인도의 격차는 비교 가능한가 _ 153
1. 중국과 인도의 여전한 발전격차·154 / 2. 전혀 다른 두 나라, 비교 불가능한 중국과 인도·168

제3부 인도는 중국을 넘어설 수 있을까
제6장 수렁에 빠진 역사적 대국들의 현대국가 성립 초기 경제 _ 177
1. 두 인구대국의 해도 없는 항해·178 / 2. 현대국가 성립 초기의 경제정책·195
제7장 각기 다른 개혁개방의 성과와 제조업의 현실 _ 213
1. 양국의 개혁개방과 그 차이·214 / 2. 제조업의 발전이 두 나라의 성장에 미친 영향·237
제8장 오늘날 당면한 문제 _ 255
1. 중국의 경제성장, 어떻게 가능했나·256 / 2. 중국과 인도, 내부로부터의 도전·266

맺는 글 중국과 인도, 두 나라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_ 289
1. 외부의 도전: 공공의 적 중국과 구애가 이어지는 인도·289 / 2. 적어도 지금, 중국과 인도는 비교대상이 아니다·310

주 _ 324
찾아보기 _ 337

저자소개

박번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30년 넘게 동남아시아를 비롯하여 아시아 지역과 경제를 관찰하고 연구했다.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제학석사를,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경영학박사를 받았다. 산업연구원을 거쳐 삼성글로벌리서치(SGR)에서 오랫동안 연구했고, 고려대 경제통계학부 교수로 퇴임한 후, 지금은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ARI) 연구위원으로 있다. 싱가포르 동남아연구원(ISEAS), 태국 탐마삿대학, 쭐랄롱꼰대학, 까셋삿대학에 직접 머물며 동남아 경제를 탐구하기도 하였다. 지난 2007년 이미 《중국과 인도, 그 같음과 다름》을 썼고, 《인도경제를 해부한다》를 공동 집필하였으며, 《중국기업 대해부》의 대표 저자로 책을 엮었다. 2019년 출간한 《아세안의 시간》으로 2020년 정진기언론문화상 경제·경영도서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국과 인도의 개혁개방은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고, 그 정도에서도 먼저 시작한 중국이 더 강력했고 또 효과도 더 컸다. 중국과 인도의 철도에서 엿볼 수 있는 차이는 경제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빠른 중국, 느린 인도였다. 그러나 2023년 현재의 관점에서 중국의 빠른 성장은 한계에 부딪혔다는 평가를 듣고 있으며, 미국의 경제제재로 기술진보에서도 가능성이 떨어지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더구나 오랫동안 자산시장, 특히 부동산시장에서 버블이 형성되면서 탐욕의 광기가 터진 상황에서 금융시장까지 구제불능인 상태로 돌아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머리말>


중국은 그렇지 않겠지만 인도는 중국을 중요한 경쟁국으로 생각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중국의 발전을 존중하면서도 질시한다. 인도에서는 인도가 중국보다 낫다는 보도나 평가가 큰 주목을 받는다.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산업에 규제를 가하자 인도는 반도체산업을 육성할 기회라고 생각하고 다국적 반도체업체들의 투자를 설득하고 있다. 모든 산업은 수명주기가 있고 산업이 성숙하면 그 중심은 후발국으로 이전해 간다. 중국의 생산비용 상승으로 인도는 기회를 맞을 수 있다. 이 점은 인도뿐만이 아니라 세계경제의 역동성을 유지시켜 준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도가 과연 주요 산업을 중국에서 이어받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인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 <머리말>


중국의 우월성에는 모두 동의하지만, 장기적으로 인도가 중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중국이 인도보다 성장률이 높다는 점, 수출이 거의 10배에 이른다는 점, 그리고 제조업에서 인도를 압도한다는 점에서 중국의 우위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비즈니스위크》의 친디아에서는 인도가 장기적으로 인구구조, 자본투자의 효율성, 투자율의 상승, 역동적인 중규모 기업, 더 높은 생산성 등으로 인도 제조업이 오래지 않아 중국과 경쟁할 정도로 부상할 것이라는 이유를 들어 중국을 추격하고 인도의 세기를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 <제1장. 다시 돌아온 대중의 시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20050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