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베이징올림픽 이후 중국의 변화와 한국의 과제

베이징올림픽 이후 중국의 변화와 한국의 과제

박번순, 박승록, 이문형, 김익수, 한광수, 남수중, 이진영, 김주영, 양평섭 (지은이), 박승록 (엮은이)
굿인포메이션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베이징올림픽 이후 중국의 변화와 한국의 과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베이징올림픽 이후 중국의 변화와 한국의 과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아시아
· ISBN : 9788988958650
· 쪽수 : 511쪽
· 출판일 : 2008-07-10

책 소개

중국이 올림픽개최를 열망했던 이유와 기대, 중국의 올림픽 개최를 전후해서 중국에서 변화가능성이 높은 ·정치외교 ·투자환경 ·위안화 절상 ·대외무역구조변화 ·산업구조변화 ·중국 소비자의 변화 ·기업구조변화 ·소수민족문제 ·경제성장의 지속가능성 등과 같은 분야에서 전문가들의 견해를 모았다.

목차

Ⅰ.머리말

Ⅱ.중국에서 올림픽이 중요한 이유(박승록)
1.올림팩개최까지 걸어온 신중국의 노정
2.올림픽개최국으로서 중국의 문제
3.중국에서 올림픽이 갖는 의미

Ⅲ.올림픽 이후 중국의 정치체제 및 외교전략의 변화(한광수)
1.올림픽 이후 중국 정치체제의 향방
2.중국의 외교전략 변화가능성

Ⅳ.중국의 투자환경 변화(김주영)
1.올림픽이 투자환경 변화를 몰고 왔나
2.중국의 투자환경은 어떻게 변화되나
3.한국의 중국에 대한 투자는 어떤가
4.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Ⅴ.중국의 위안화절상 추세 가속화(남수중)
1.중국 위안화 환율 추이와 절상 배경
2.올림픽 이후의 위안화 환율 전망과 영향 분석
3.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4.요약 및 결론

Ⅵ.중국 대외무역구조 변화(양평섭)
1.세계경제를 주도한 중국과 세계 속의 중국
2.상생의 한중 무역관계
3.한중 무역관계 : 경쟁적 보안 관계
4.올림픽 이후 한중 무역관계 변화

Ⅶ.주요 산업의 경쟁력 변화(이문형)
1.올림픽과 산업간의 관계
2.세계시장에서의 한중간 산업경쟁력 비교
3.제조업의 한중간 산업구조 및 기술경쟁력 비교
4.한중 교역에서의 경쟁과 보완관계
5.맺음말

Ⅷ.올림픽과 중국 소비시장의 변화(박번순)
1.경제성장에 미치지 못한 민간소비 성장
2.고도화된 소비구조
3.변화하는 소비환경
4.올림픽 이후 소비의 역할 증대
5.최종소비재 수출에 관심 가져야 할 한국

Ⅸ.올림픽 이후 중국기업이 구조변화(신광용)
1.중국 국유기업의 개혁과 경쟁력 향상
2.기업의 사회적책임(CSR)의식의 대두
3.기술중심형 중소기업의 육성과 정책적 지원
4.중국기업의 성장과 글로벌 경영전략의 전개
5.중국투자 다국적기업의 경영전략변화와 전략방향
6.결론 및 시사점

Ⅹ.중국 민족문제와 중국의 변화(이진영)
1.올림픽과 중국 민족문제
2.국가목표와 소수민족 : 중화민족의 부흥과 대단결의 시대
3.중국의 민족관리정책
4.21세기 중국민족문제의 변화와 올림픽
5.한국에의 영향과 대응방안

ⅩⅠ.올림픽 이후 중국경제의 지속성장 가능성(김익수)
1.올림픽과 지속성장
2.지속성장의 제약요인
3.지속성장은 가능하다
4.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5.정부와 기업의 대응
6.맺는말

저자소개

박번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30년 넘게 동남아시아를 비롯하여 아시아 지역과 경제를 관찰하고 연구했다.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제학석사를,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경영학박사를 받았다. 산업연구원을 거쳐 삼성글로벌리서치(SGR)에서 오랫동안 연구했고, 고려대 경제통계학부 교수로 퇴임한 후, 지금은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ARI) 연구위원으로 있다. 싱가포르 동남아연구원(ISEAS), 태국 탐마삿대학, 쭐랄롱꼰대학, 까셋삿대학에 직접 머물며 동남아 경제를 탐구하기도 하였다. 지난 2007년 이미 《중국과 인도, 그 같음과 다름》을 썼고, 《인도경제를 해부한다》를 공동 집필하였으며, 《중국기업 대해부》의 대표 저자로 책을 엮었다. 2019년 출간한 《아세안의 시간》으로 2020년 정진기언론문화상 경제·경영도서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펼치기
박승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동 대학원을 거쳐 미국 노던 일리노이 대학(North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한국 제조업의 마컵, 규모의 경제, 가동률과 총요소생산성”이란 주제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산업연구원(KIET), 삼성경제연구소(SERI), 한국경제연구원(KERI)에서 주로 국가 간 산업, 기 업 수준에서의 생산성 연구를 하였다. 현재 한성대학교 경제학과에 재직하면서 미시경제, 산업 조직, 통계학, 계량경제, 규제경제, 중국경제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국내논문으로는 “우리나라 지역별 제조업 생산성”, “정보통신기술의 활용과 일자리창출 및 성장”, “세계 기업 생산성의 추격-피 추격에 관한 연구”(이상 생산성논집), “기업가 정신의 결정요인, 성과와 발현의 인과관계”(중소기업연구), “중국의 성별 1인당 국민소득의 수렴화”(동 북아경제연구) 등이 있다. 주요 해외논문으로는 “Club Convergence and Factors of Digital Divide across Countries” (Techn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Has Korean Chaebol Model Succeeded?” (Journal of Economic Studies), “Information Technology,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Asian Economic Journal), “A Review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Studie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Rapid Economic Growth with Increasing Returns to Scale and Little or No Productivity Growth”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등이 있다. 주요저서로는 『계량경제학 방법론』(비봉출판사), 『중국 일류기업을 찾아서』(굿인포메이션), 『中國的經濟增長和外商投資』(中國高等敎育出版社) 등이 있다. 이런 연구업적으로 “매경이코노미스트상”, “매경비트학술상”, “중소기업학회 논문상”, 2018년 앨버트 넬슨 마퀴스 평생공로상(Albert Ne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을 받았다. 미국의 “마퀴스 후스 후(Marquis Who's Who)” 인명사전에 등재되어 있기도 하다.
펼치기
이문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하였으며 타이완대학교에서 경제학석사, 중국 베이징대학교에서 경제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8년 현재 산업연구원 수석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세계 화상 네트워크 분석과 한.화인 경제권 협력강화 방안>(1999 공저), <동북아 경제협력 추진 전략>(1999), <아시아 역내무역 활성화 방안>(1998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익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국제경영 분야 교수로 2019년 9월부터 아세아문제연구원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학원(University of Oxford)에서 ‘중국 경제 과도투자에 관한 연구’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후 1991년 5월부터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서 연구위원으로 한·중 경제협력, 동북아 경제협력에 관한 연구를 하다가 1995년 3월에 고려대 교수로 부임하였다. 국내외 학술저널에 중국 시장 진입, 지재권 보호, 철수와 구조조정, 경쟁전략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주요 저서로는 『중국의 부패 관성과 反부패 정책 대응: 동학, 성과 및 한계』, 『중국 내 지적 재산권: 침해실태, 원인?배경 및 대응전략』, 『비단장수 왕서방의 기업가 정신』, 『중국투자론: 이론과 실제』,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과 사례』 등이 있다.
펼치기
한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사)미래동아시아연구소를 운영하며 한중관계 연구와 실무에 종사하고 있다. 인천대 동북아국제통상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와 동대학원 경제학과를 거쳐 베이징대학교 경제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9년 해외경제연구소에서 중국 경제 연구를 시작하여 국제경제연구원, 산업연구원, 외무부 파견, 중국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 방문학자, 베이징대학교 베이징시장경제연구소 연구원 등으로 일했다. 1991년부터 1996년까지 베이징에 주재하면서 주중한국대사관, 한국무역협회, SK, 한솔제지, 현대건설 등의 현지 고문으로 일했다.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중국 고문(2003∼2010), 〈KBS 스페셜〉 중국 프로그램 자문(1998∼2007), KBS 객원해설위원, 동북아경제학회와 현대중국학회 고문, 비교경제학회 이사 등으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 《미중 관계의 변화와 한반도의 미래》, 《중화경제권시대와 우리의 대응》, 《중국의 잠재력과 우리의 대응》, 《현대 중국의 이해》(공저)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중 교역협력구조의 변화〉, 〈미중경제협력의 불안정성과 한국경제〉, 〈중국 자본시장 개방의 특성〉, 〈최근 미중 통상관계의 특성〉, 〈중국 정치체제 및 외교 전략의 변화〉, 〈위안화 환율 변동과 미중 통상관계〉, 〈한중 경제협력의 위상과 과제〉 등이 있다.
펼치기
이진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영국 런던정경대(LSE)에서 중국민족문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재외한인학회 회장 및 이민학회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국제정치와 이민, 안보와 이민, 국제이민협력, 재외동포정책, 중국동포, 차세대재외동포 등 이민정책 및 재외동포정책과 연관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논저로는 “중국식 다문화 관련 논의의 이론과 실천”(2014), “독일의 외국인 우수인재 유치 제도와 정책 연구: 한국에의 시사점”(2014), “유럽연합 이민협력에 있어서의 새로운 흐름에 관한 연구”(2014)가 있다.
펼치기
김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8년 현재 한국수출입은행 해외진출컨설팅센터 팀장이다.
펼치기
박승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동 대학원을 거쳐 미국 노던 일리노이 대학(North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한국 제조업의 마컵, 규모의 경제, 가동률과 총요소생산성”이란 주제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산업연구원(KIET), 삼성경제연구소(SERI), 한국경제연구원(KERI)에서 주로 국가 간 산업, 기 업 수준에서의 생산성 연구를 하였다. 현재 한성대학교 경제학과에 재직하면서 미시경제, 산업 조직, 통계학, 계량경제, 규제경제, 중국경제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국내논문으로는 “우리나라 지역별 제조업 생산성”, “정보통신기술의 활용과 일자리창출 및 성장”, “세계 기업 생산성의 추격-피 추격에 관한 연구”(이상 생산성논집), “기업가 정신의 결정요인, 성과와 발현의 인과관계”(중소기업연구), “중국의 성별 1인당 국민소득의 수렴화”(동 북아경제연구) 등이 있다. 주요 해외논문으로는 “Club Convergence and Factors of Digital Divide across Countries” (Techn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Has Korean Chaebol Model Succeeded?” (Journal of Economic Studies), “Information Technology,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Asian Economic Journal), “A Review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Studie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Rapid Economic Growth with Increasing Returns to Scale and Little or No Productivity Growth”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등이 있다. 주요저서로는 『계량경제학 방법론』(비봉출판사), 『중국 일류기업을 찾아서』(굿인포메이션), 『中國的經濟增長和外商投資』(中國高等敎育出版社) 등이 있다. 이런 연구업적으로 “매경이코노미스트상”, “매경비트학술상”, “중소기업학회 논문상”, 2018년 앨버트 넬슨 마퀴스 평생공로상(Albert Ne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을 받았다. 미국의 “마퀴스 후스 후(Marquis Who's Who)” 인명사전에 등재되어 있기도 하다.
펼치기

책속에서

베이징올림픽 이후에도 중국외교전략의 근저에 미국이 핵심적 자리를 차지할 것임은 물론이다. 중국이 경제발전을 토대로 국력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해도 미국과 서방 선진국들에 비하여 여전히 취약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이는 중국 무역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미중경제관계의 특성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앞으로 중국외교가 적극외교로 전환한다는 것은 지금까지 취해온 방어적 외교자세를 감안할 때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의미다.-본문 113p 중에서


올림픽 이후 한중간 무역분야 협력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이슈는 한중간 분업구조가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중국에 대한 수출을 지속적으로 확대.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핵심 부품산업에서 중국과의 격차를 유지하고, 중국의 추격이 빨라지고 있는 전통제조업에서 중국산 제품과의 차별화를 통해 대중국 수출잠재력 저하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본문 247~248p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